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calization Learning Materials in the case of Cheongju City -Based on the Exploring the Phase Change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Local Textbooks
[book] Barr, Bath, Schermis / 1993 / 사회과교육의 이해 / 서원
[thesis] 강경미 / 2005 / 제주도 초등 사회과 지역화 교수·학습에 관한 연구 : 3·4학년 지역 교과서를 중심으로 / 석사 /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
[thesis] 고영호 / 1997 / 아동의 흥미에 기초한 향토사 수업모형의 구안 및 적용 : 제주도 지역화 교과서의 향토사 단원을 중심으로 / 석사 /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
[other] 교육부 / 1992 / 초등학교(총론, 국어,수학) 해설서
[other] 교육부 / 1997 /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/ 교육부 고시 제 1997-15호 [별책 1]
[other] 교육과학기술부 / 2009 /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: 총론
[other] 교육부 / 2015 / 2015 교육과정 총론 / 제2015-74호
[thesis] 權赫豊 / 1995 / 地域化論理에 따른 한국 社會科敎育課程의 분석 / 박사 /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
[thesis] 김가현 / 2003 / 4학년 지역화 교과서 내용 및 구성에 대한 만족 실태 / 석사 /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
[thesis] 김경희 / 2004 /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교과서에 반영된 지역 특수성 연구 : 초등학교 3학년 서울시 지역화 교과서를 중심으로 / 석사 /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
[journal]
김다원
/ 2018
/
A Study on Content Composition of Local Textbook for Localized Learning in Primary Social Studies
/ 한국지역지리학회지
/ 한국지역지리학회
24
(4)
: 557~573
/ https://doi.org/10.26863/JKARG.2018.11.24.4.557
[journal] 김만곤 / 1998 /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지역교과서 편찬 / 향토사연구 10 : 11~40
[journal] 김만곤 / 2006 / 초등학교 사회과 지역 교과서의 변천과 전망 / 교과서연구 47 : 31~36
[journal]
김민하
/ 2015
/
The Educational Approaches to the Musical Culture of Chungcheongdo for the Localization Education
/ 국악교육연구
/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
9
(1)
: 57~93
[journal] 김보경 / 2010 / 사회과 지역교과서에서의 다문화 관련 내용 구성의 탐색적 연구 / 다문화 교육 1 (2) : 1~19
[journal]
김봉석
/ 2013
/
A Case of Developing a Localization Textbook We All Make Together - Based on the place name and changes of visible landscapes -
/ 사회과교육
/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
52
(3)
: 109~121
[journal]
김수업
/ 2003
/
Situa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Local Setting: Reconsidering Localization
/ 배달말
/ 배달말학회
(33)
: 339~363
[journal] 김용찬 / 2005 / 세계화 지방화 시대 교육과정 지역화의 현황과 과제 / 기전문화 연구 32 : 125~154
[thesis] 김유화 / 2004 / 초등학교 지역화교과서 개발의 방향 탐색 / 석사 /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
[thesis] 김종순 / 2008 / 초등학교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전통 민속문화 분석 연구 : 충남지역 3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/ 석사 /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
[thesis] 남영수 / 2010 / 사진기반 가상현실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: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 지역화교과서를 중심으로 / 석사 /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
[journal]
남영수
/ 2010
/
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hotographic Virtual Reality Contents
/ 정보교육학회논문지
/ 한국정보교육학회
14
(2)
: 149~156
[journal]
남호엽
/ 2002
/
Representing Historical Landscapes and the Rationality of Regional Education: A Case Study of Regional Textbook in Jeju Province in Korea
/ 시민교육연구
/ 한국사회과교육학회
34
(2)
: 2~41
[journal] 남호엽 / 2003 / 지역교과서에 나타난 지도의 스케일 재현 방법 / 사회과교육연구 10 (2) : 13~28
[journal]
류수열
/ 2009
/
An Essay on Localization of Korean Arts Curriculum
/ 한국언어문학
/ 한국언어문학회
(68)
: 187~208
[report] 문종국 / 2017 / 2017년 초등 3, 4학년 지역화 교재 개발 담당자 저작권 연수 / 한국저작권위원회
[thesis] 박민정 / 2015 /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지역화 교재 개발: 3학년 1학기 교과서 -김해시를중심으로 / 석사 / 부산교육대학교
[journal]
박순경
/ 2010
/
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rriculum localization in Korea
/ 교육과정연구
/ 한국교육과정학회
28
(3)
: 85~105
/ 10.15708/kscs.28.3.201009.004
[thesis] 서병화 / 2002 / 초등사회과 지역화 교과서 경제영역 비교 분석 / 석사 /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
[journal]
송언근
/ 2019
/
Development of Regional Curricula and Text books in the 4th grade Social Studies :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
/ 한국지역지리학회지
/ 한국지역지리학회
25
(1)
: 1~19
/ https://doi.org/10.26863/JKARG.2019.02.25.1.1
[journal]
심규철
/ 2004
/
Study on Realities of Science Curriculum Localization :
Daejeon and Chungnam Area
/ 생물교육
/ 한국생물교육학회
32
(3)
: 181~188
[journal] 심승희 / 2004 / 초등 사회과에서의 '지역화 학습을 둘러싼 기존 논의들의 재검토 / 초등사회과교육 16 (1) : 83~102
[thesis] 심정아 / 2017 /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 체제 및 활용실태 : 2009 개정 초등 3, 4학년 서울시 지역화 교과서를 사례로 / 석사 / 서울교육대학교
[thesis] 오명심 / 2004 / 초등학교의 발음 지도 내용 요소 선정을 위한 실태 조사 연구 : 충청남도 지역의 지역화 교과서 편찬을 위하여 / 석사 /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
[journal]
윤옥경
/ 2007
/
Contents Construction of Learning a Region through the Analysis of Local Textbook, Social Studies Inquiry: Life in Seoul
/ 한국지역지리학회지
/ 한국지역지리학회
13
(2)
: 220~233
[journal]
윤옥경
/ 2017
/
A Study on the Constructing PDS for the Reinforcement of Teacher’s Self-Directed Teaching Competency in Community Based Elementary Social Studies
/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
/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
25
(2)
: 15~27
/ 10.17279/jkagee.2017.25.2.15
[journal]
이경윤
/ 2017
/
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Learning Using Web2.0
/ 시민교육연구
/ 한국사회과교육학회
49
(1)
: 69~91
/ 10.35557/trce.49.1.201703.003
[thesis] 이상현 / 2012 / 초등학교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 분석 및 발전 방안 : 지역화 교과서 / 석사 /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
[journal]
이승미
/ 2019
/
Exploring the Directions of the Curriculum Slimming on the General Guidelines of National Curriculum : Focusing on the Needs Analysis of Teachers and Supervisors
/ 한국교육학연구
/ 안암교육학회
25
(2)
: 195~224
/ http://dx.doi.org/10.29318/KER.25.2.8
[thesis] 이윤경 / 2015 /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와 연계한 미술지도 방안중국 선양한국국제학교를 중심으로 / 석사 / 서울교육대학교
[journal]
이윤미
/ 2016
/
The search of development courses for localized complementary elementary textbooks based on the writings of 'The life of Jeollabukdo' in the fourth grade
/ 통합교육과정연구
/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
10
(3)
: 141~164
[thesis] 이인식 / 2014 / 전라남도 초등 사회 3학년 지역화 교과서의 향토 자원 활용 양상 분석 / 석사 /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
[thesis] 이종숙 / 2009 / 대전지역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발전 방안 : 4학년 「사회과탐구 : 대전의 생활(2009)」을 중심으로 / 석사 /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
[thesis] 이태수 / 2013 /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 체제 및 내용 분석 : 충남지역 초등학교 3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/ 석사 /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
[thesis] 임준미 / 2000 / 초등학교 사회과 지역화교과서 비교분석 : 서울,경기,강원을 중심으로 / 석사 /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
[thesis] 장연옥 / 2002 / 지역화 학습을 위한 웹 기반의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: 초등학교 4학년 지역 교과서를 중심으로 / 석사 /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
[thesis] 장정숙 / 2003 / 지역 교과서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지역화의 적합성에 대한 연구 : 초등학교 3학년 '전주의 생활' 중심으로 / 석사 /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
[thesis] 정애란 / 2009 / 초등학교 국어과 지역화 교과서 개발 방안 : <부산 지역 설화>를 중심으로 / 석사 /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
[thesis] 정우선 / 2017 /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지역화 교과서의 활용실태와 개선방안 3학년 서부의 생활을 중심으로 / 석사 / 광주교육대학교
[thesis] 정훈일 / 2017 /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 형식과 내용 요소에 대한 연구: 경기도의 시·군을 중심으로 / 석사 / 경인교육대학교
[thesis] 조윤정 / 2019 / 3·4학년 사회교과서 및 지역화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특성 분석 / 석사 / 한국교원대학교
[thesis] 채수운 / 2003 / 울산지역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지역화에 관한 연구: 4학년 사회과 지역교과서를 중심으로 / 석사 /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
[journal]
허영훈
/ 2016
/
A Critical Review of the third grade textbooks localization system configuration: Focusing on the textbooks of 25 regions in Gyeonggi Province
/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
/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
16
(12)
: 45~78
/ http://dx.doi.org/10.22251/jlcci.2016.16.12.45
[thesis] 허정숙 / 2016 / 지역화 교육을 위한 기록 이용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초등학교 4학년 지역교과서「부산의 생활」을 중심으로 / 석사 / 부산대학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