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ulti-cultural Society and Education Studies 2021 KCI Impact Factor : 0.37
Application and Significance of Corpus-based Programs for Korean Vocabulary Education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350 Viewed
234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2)
열림/닫힘 버튼[journal]
권순희
/ 2020
/
Language Education and Education Gap Resolution Suggestions for Second Language Korean Learners
/ 독서연구
/ 한국독서학회
(56)
: 161~192
[journal]
김상무
/ 2010
/
Intercultural Education Policy in Germany and its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South Korea
/ 교육사상연구
/ 한국교육사상학회
24(3)
: 65~89
/ 10.17283/jkedi.2010.24.3.65
[journal]
김석수
/ 2011
/
Multi-cultural Education in Global Times
/ 가톨릭철학
/ 한국가톨릭철학회
(17)
: 327~354
[journal]
김선미
/ 2013
/
Études sur l'enseignement interculturelle: autour des approches interculturelles dans l'enseignement/apprentissage des cultures étrangères en milieu universitaire coréen
/ 인문과학
/ 인문학연구원
98
: 87~116
/ 10.23017/inmun.2013.98..87
[journal] 김소형 / 2018 / 중도입국청소년 한국어 교육 지원 현황 및 개선방안-레인보우스쿨 사례를 중심으로 /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3(2) : 31~66
[journal] 김효정 / 2018 /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정 연구 / 다문화와 인간 / 대구카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원 7(1.2) : 59~103
[book] 마르틴 압살라 프렛세이 / 2010 /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/ 한울
[confproc] 딩징야 / 2019 / 한국출생 및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우울 및 영향요인 /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: 138~138
[journal]
류영철
/ 2016
/
Effective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Students Entering Middle
/ 다문화와 평화
/ 다문화평화연구소
10(1)
: 72~102
/ 10.22446/mnpisk.2016.10.1.004
[journal]
손영화
/ 2015
/
The Case Study on Immigrated Teenager's Right Outside of the School
/ 교육문화연구
/ 교육연구소
21(1)
: 75~102
/ 10.24159/joec.2015.21.1.75
[confproc] 신성록 / 2016 / 학령기 중도입국청소년 실태와 비자제도 개선 방안 /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년도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: 399~419
[confproc] 양계민 / 2016 / 중도입국청소년의 생활 및 적응실태 /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6(1) : 33~46
[report] 오성배 / 2013 / 중도입국 청소년 지역별 지원 실태에 대한 분석 / IOM이민정책연구원
[journal]
오성배
/ 2018
/
A Case Study on Educational Assistance for Multicultural Students
/ 한국교육문제연구
/ 한국교육문제연구소
36(1)
: 71~92
/ https://doi.org/10.22327/kei.2018.36.1.071
[journal] 이경희 / 2011 / 다문화사회 교육의 두 관점-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 / 다문화교육 2(1) : 37~55
[journal]
이경희
/ 2011
/
A Critical Review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Korea
/ 교육사회학연구
/ 한국교육사회학회
21(1)
: 111~131
/ 10.32465/ksocio.2011.21.1.005
[journal]
이명희
/ 2017
/
Issues of Multicultural Preparatory School: from the Teaching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
/ 교육문화연구
/ 교육연구소
23(4)
: 409~432
/ 10.24159/joec.2017.23.4.409
[journal] 이민경 / 2013 / 이주 가정 자녀 정책 해외 사례 분석:방향성과 실제 / 현대사회와 다문화 3(1) : 144~177
[journal]
이병준
/ 2016
/
A Study on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petence
/ 문화예술교육연구
/ 한국문화교육학회
11(6)
: 1~24
/ 10.15815/kjcaes.2016.11.6.1
[journal]
이효인
/ 2015
/
A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mmigrate children - focus on addressing the present and tasks of Jeollanamdo -
/ 호남학
/ 호남학연구원
(58)
: 307~331
[book] 장한업 / 2014 / 이제는 상호문화교육이다 / 교육과학사
[journal]
장한업
/ 2017
/
A Comparative Study of Three Guidebooks on European Intercultural Education
/ 비교교육연구
/ 한국비교교육학회
27(1)
: 199~222
/ http://dx.doi.org/10.20306/kces.2017.27.1.199
[journal]
장한업
/ 2018
/
Comparative Discussion of Intercultural Discourses in the 20th Century
/ 비교교육연구
/ 한국비교교육학회
28(3)
: 265~289
/ http://dx.doi.org/10.20306/kces.2018.28.3.265
[journal]
정영근
/ 2007
/
Interkulturelle Erziehung im globalisierenden Zeitalter
/ 교육의 이론과 실천
/ 한독교육학회
12(1)
: 257~272
[journal] 정영근 / 2006 / 다문화사회 학교와 상호문화교육의 필요성 / 교육연구 : 1~18
[journal]
양계민
/ 2012
/
The Exploratory Study of Psycho-Social Adjustment of Immigrant Youth in Korea
/ 청소년학연구
/ 한국청소년학회
19(11)
: 195~224
[journal] 최대희 / 2014 / 중도입국청소년 정체성 연구를 위한 일고찰 / 다문화와 인간 3(2) : 133~165
[journal]
최대희
/ 2016
/
The Concept of Multi-culture, Trans-culture, and Inter-culture as a Strategy of the Social Integration
/ 대한정치학회보
/ 대한정치학회
24(2)
: 59~83
/ 10.34221/KJPS.2016.24.2.3
[journal] Auernheimer, G / 2012 / Einführung in die interkulturelle Pädagogik / WBG
[report] 김정숙 / 2018 /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/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
[report] 배상률 / 2016 / 중도입국청소년 실태 및 자립지원 방안 연구 /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
[report] 서덕희 / 2016 / 중도입국청소년의 사회진출을 위한 직업군개발 및 취업지원 방안 연구 / 무지개청소년센터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
[report] 신윤정 / 2018 / 인구 변화 대응을 위한 포용적 다문화 정책 방안: 이주 배경 아동의 발생·성장 환경 분석
[book] 유럽평의회 / 2007 / 언어학습, 교수, 평가를 위한 유럽공통참조기준 / 한국문화사
[report] / 2010 / 2010년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계획 / 교육과학기술부
[report] / 2010 /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(2010~2012) / 국무총리실·관계부처합동
[report] / 2012 /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(2013~2017) / 여성가족부·관계부처합동
[report] / 2018 /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(안)(2018~2022) / 여성가족부
[other] / 2019 / 다문화 정책 토론회 / 한국여성정책연구원
[other] / 2015년 다문화이해교육 및 이중언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부 업무 협약 체결 / 교육부 보도자료
[report] / 2016~2020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/ 교육부
[report] / 2019 /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/ 여성가족부
[report] / 2019 / 2018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/ 여성가족부
[other] / 2019 / 2019년 교육기본통계 주요내용 / 교육안전정보국 교육통계과 교육부
[report] / 2019 사업활동보고서 / 무지개청소년센터 이주배경청소년 지원재단
[other] / 2019 / 제23회 청소년정책포럼 이주배경 아동·청소년의 성장지원 체계 강화를 위한 지역자원 연계방안 / 여성가족부,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,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,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
[other] UNESCO / 2006 / UNESCO Guidelines on Intercultural Education / UNESCO
[book] / White paper on intercultural dialog / Council of Europe
[web] / 여성가족부 / www.mogef.go.kr
[web] / 교육과학기술부 / www.moe.go.kr
[web] / 법무부 / www.moj.go.kr
[web] / 국가법령정보센터 / www.law.go.kr
[web] / 한국여성정책연구원 / www.kwdi.re.kr
[web] /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 무지개청소년센터 / www.rainbowyouth.or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