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ignificance of National Integration of the Two Jinju Fortress Battles during Imjin War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454 Viewed
23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3)
열림/닫힘 버튼[book] 김성일 / 1649 / 진주성(晉州城)을 지켜 승첩(勝捷)한 것을 치계(馳啓)하는 서장, In 학봉집 제3권
[book] 안방준 / 1864 / 진주서사, In 은봉전서(隱峯全書) 권7
[book] 유성룡 / 2010 / 징비록 / 두산동아
[other] 조경남 / 1593 / 난중잡록[亂中雜錄]
[other] / 1592 / 선조수정실록 권26 / 25년(1592) 7월 1일(무오) 6번째기사, 왜병이 거창을 침범하자 의병장 김면이 격퇴시키다
[other] / 1592 / 선조실록 권27 / 25년(1592) 6월 28일(병진) 4번째기사, 경상우도 초유사 김성일이 의병이 일어난 일과 경상도 지역의 전투 상황을 보고하다
[other] / 1592 / 선조실록 권28 / 25년(1592) 7월 26일(계미) 9번째기사, 김시민 · 이상신· 김홍미 · 이천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
[other] / 1593 / 선조실록 권40 / 26년(1593) 7월 10일(임술) 9번째기사, 창의사 김천일이 진주성의 방어 준비 상황을 보고하다
[other] / 선조실록 권40 / 26년(1593) 7월 16일(무진) 5번째기사, 6월 29일 함락된 진주성 싸움의 자세한 경과
[other] / 1593 / 선조실록 권40 / 26년(1593) 7월 5일(정사) 2번째 기사, 호남으로 진격하려는 왜적에 대한 대책을 논의하다
[book] 參謀本部 / 1924 / 日本戰史 朝鮮役 / 村田書店
[book] 조원래 / 2010 /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/ 국립진주박물관
[book] 조원래 / 2010 /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/ 국립진주박물관 : 328~329
[confproc] 김명준 / 2009 / 임진년 진주대첩과 학봉 김성일 / 경남문화 세미나 발표문 / 경상대 경남문화연구소 : 267~320
[journal] 김준형 / 1995 / 진주 주변에서의 왜적방어와 의병활동: 제1차 진주성 전투 이전 / 경남문화연구 /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17 : 89~134
[book] 조원래 / 2010 /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/ 국립진주박물관
[journal] 박성식 / 1992 / 진주성전투 / 경남문화연구 / 경상대 경남문화연구소 (14) : 273~316
[journal] 박용국 / 2011 / 임진왜란기 진주지역 남명학파의 의병활동 / 남명학 16 : 319~360
[book] 조원래 / 2010 /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/ 국립진주박물관
[journal] 北島万次 / 1997 / 壬辰倭亂과 晋州城 戰鬪 / 南冥學硏究 /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7 : 37~69
[book] 양재숙 / 2012 / 임진왜란은 조선이 이긴 전쟁이었다: 임진왜란의 상식을 되짚다 / 도서출판 가람기획
[book] 조원래 / 2010 /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/ 국립진주박물관
[journal] 오현무 / 1994 / 전투상황이 심리적으로 미치는 영향 / 軍事發展 / 陸軍敎育司令部 (72) : 56~57
[book] 조원래 / 2010 /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/ 국립진주박물관
[book] 조원래 / 2010 /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/ 국립진주박물관
[book] 조원래 / 2010 /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/ 국립진주박물관
[confproc] 최관 / 2003 / 일본에서의 김시민 장군 / 제2회 충무공 김시민장군 선양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/ 무공김시민장군기념사업회
[journal] 최영희 / 1997 / 임진왜란에 대한 몇 가지 의견 / 남명학연구 7 : 1~14
[book] 최용성 / 1996 / 전장환경 및 전장심리 측면에서 본 현리전투, In 3사논문집 / 육군제3사관학교 : 135~138
[book] 조원래 / 2010 /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/ 국립진주박물관
[journal] 허선도 / 1985 / 임진왜란론: 올바르고 새로운 인식 / 동양학 15(1) : 457~47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