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journal]
/ 한국전통중국어교육문헌연구회 전자텍스트
[journal]
/ 한국전통중국어교육문헌연구회 전자텍스트
[journal]
/ 한국전통중국어교육문헌연구회 전자텍스트
[journal]
/ 한국전통중국어교육문헌연구회 전자텍스트
[journal]
/ 한국전통중국어교육문헌연구회 전자텍스트
[journal]
/ 2001
/ 古代漢語詞典
/ 商務引書館
[journal]
/ 1998
/ 古代漢語字典
/ 北京大學出版社
[journal]
/ 1997
/ 近代漢語詞典
/ 團結出版社
[journal]
/ 2002
/ 近代漢語虛詞詞典
/ 河北敎育出版社
[journal]
곽진영
/ 2004
/ 老朴集覽 의 單字解, 累字解연구
[journal]
김완진
/ 1975
/ 老乞大의 諺解에 대한 比較 硏究 한국연구원
[journal]
량홍매
/ 2003
/ 老乞大의 제 간본을 통해 본 중국어의 문법변화 양상
[journal]
석주연
/ 2001
/ 老乞大와 朴通事의 諺解에 대한 國語學的 硏究
[journal]
성광수
/ 1990
/ 언해류상의 특이표현과 오역 한국어학신연구
/ 한신문화사
[journal]
여찬영
/ 1987
/ 경서류 언해의 번역학적 연구 한국전통문화연구
[journal]
여찬영
/ 1988
/ 조선조 구결문과 언해문의 성격연구 국문학연구
11
[journal]
유성은
/ 2000
/ 노걸대박통사에 보이는 的와 着의 용법고찰
10
[journal]
이창호
/ 2004
/
On Temporal Adverb Jiu
/ 중어중문학
/ 한국중어중문학회
35
: 83~104
[journal]
최재영
/ 2005
/ 노걸대 4종 판본 부사 연구
/ 중국학연구회
33
[journal]
/ 老乞大解版本是錄和的材料,作究言史的寶藏受到高度的重。解本是和形式的材,不一直到在少的角度。
[journal]
/ 就 在老乞大解五版本中的情行式的考察和分析。在老乞大解五版本中 就 的用法可以分介、副、的三,其中副的使用率最多。在句中介的 就 在全部的版本中分表示方向、所的介,上的出一次。副的 就 在全部的版本中又分、、范副,可是在上大部分被副。在全部的版本中的 就 出一次,可是也不是自然的。点當官的背景言中已有的古代的知有密切的系。的型多移和度泛化。