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journal]
강우원
/ 2000
/ 담화표지 ‘참’과 어찌말 ‘참’의 비교연구
/ 언어과학
1
: 5~26
[journal]
김영철
/ 2007
/
A study on the 'Cham' to discourse marks in Korean language.
/ 국어문학
/ 국어문학회
43(1)
: 235~254
[journal]
김향화
/ 2004
/ 한국어 담화표지의 기능
/ 한국학논집
/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
28
: 113~140
[journal]
이한규
/ 1996
/ 한국어 담화 표지어 ‘그래’의 의미 연구
/ 담화와 인지
3
: 1~26
[journal]
임규홍
/ 1996
/ 국어 담화 표지 ‘인자’에 대한 연구
/ 담화와 인지
2
: 1~20
[journal]
임규홍
/ 1998
/ 부사 ‘정말’류의 담화적 의미
/ 한국어 의미학
2
: 237~254
[book]
전영옥
/ 2002
/ 한국어 담화표지의 특징 연구
/ 역락
[book]
Grice, H. Paul
/ 1975
/ Logic and conversation, In Syntax and semantics 3: Speech acts
/ Academic Press
: 41~58
[book]
Hopper, Paul J.
/ 2003
/ Traugott. Grammaticalization, 2nd edition
/ Cambridge University Press
[journal]
김태호
/ 2009
/
Negation in Korean: its grammaticalization and lexicalization process
/ 언어연구
/ 한국현대언어학회
24(4)
: 685~705
[book]
Mey, Jacob L.
/ 1994
/ Pragmatics: An introduction
/ Blackwell
[book]
Schiffrin, Deborah
/ 1987
/ Discourse Markers
/ Cambridge University Press
[book]
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
/ 1998
/ 연세한국어사전
/ 두산동아
[report]
국립국어원
/ 21세기 세종 계획
[web]
서울대학교
/ 꼬꼬마 세종말뭉치
/ http://kkma.snu.ac.kr