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ross-Cultural Studies 2021 KCI Impact Factor : 0.6
A New Viewpoint Drowned Repetitive Cycle of Flow vs Float Regulating History of Pansory and Floating Possibility of Lost Pansori in Age of Image Media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372 Viewed
49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3)
열림/닫힘 버튼[other] 추창민 / 2010 / 광해, 왕이 된 남자 Masquerade
[journal]
권도경
/ 2014
/
Reproduction of 「Onggojipcheon」's Narrative Archetypein Movie 「Ganghae」 and Principal ofLost Pansori's qualitative improvement
/ 어문론집
/ 중앙어문학회
57
: 169~197
[journal] 김수봉 / 1991 / 판소리 칠가의 실전 원인 고찰 / 한국문학논총 / 한국문학회
[journal] 김영범 / 1986 / 조선후기 판소리 담론과 민중집단의 집단의식 / 한국학보 / 일지사 43
[thesis] 김영주 / 2010 / 19세기말∼20세기 판소리 변모양상 연구 / 박사 / 경북대학교 대학원
[journal] 김일렬 / 1996 / 판소리 숙영낭자전의 등장과 탈락의 이유 / 어문논총 / 경북어문학회 20(1)
[journal] 김종철 / 1987 / 19세기 판소리사와 변강쇠가 / 고전문학연구 / 한국고전문학회 3
[journal] 김종철 / 1988 / 銀世界」의 成立過程硏究 / 한국학보 / 일지사 14(2)
[journal] 김종철 / 1992 / 실전 판소리의 종합적 연구 : 판소리사 전개와 관련하여 / 판소리연구 / 판소리학회 3(1)
[journal] 김종철 / 1993 / <변강쇠가>의 미적 특질-기괴미를 중심으로 / 판소리연구 / 판소리학회 4
[journal] 김종철 / 1994 / 옹고집전 연구-조선후기 요호부민의 동향과 관련하여 / 한국학보 75
[journal] 김종철 / 2000 / <배비장타령> 외 기타 실전 판소리 / 판소리의 세계 / 판소리학회
[journal] 김창현 / 1996 / 변강쇠가>의 해결될 수 없는 갈등과 그로테스크 / 성균어문연구 31
[journal] 김헌선 / 1993 / <무숙이타령>과 <강릉매화타령>형성 소고 / 경기교육논총 / 경기대학교교육대학원 3
[journal]
김현영
/ 2004
/
New Aspects of the Peasant Revolt in 1862: Interpretation of Newly Found Geochang Peasant Revolt Manuscripts
/ 古文書硏究
/ 한국고문서학회
25
: 171~198
[journal] 김흥규 / 1978 / 판소리의 사회적 성격과 그 변모 / 세계의 문학 (겨울)
[journal] 김흥규 / 1991 / 19세기 전기 판소리의 연행환경과 사회적 기반 / 어문논집 / 고려대 국문과 30
[book] 박희병 / 1985 / 춘향전의 역사적 성격 분석, 전환기의 동아시아문학 / 창작과비평사
[book] 박희병 / 1986 / 판소리에 나타난 현실인식, 한국문학사의 쟁점 / 집문당
[journal]
서유석
/ 2010
/
Hidden Problem of Truth and Falsity Contention Represented in ‘Onggojipjeon’
/ 어문연구(語文硏究)
/ 한국어문교육연구회
38(3)
: 155~181
[journal] 설중환 / 1986 / 옹고집전의 구조적 의미와 불교 / 문리대논집 / 고려대학교 문리대학교 4
[journal] 성현경 / 1985 / 남원고사본 춘향전의 구조와 의미 / 고전소설연구의 방향 / 한국고전문학연구회
[journal]
손태도
/ 2008
/
Jaedam-sori : the being and its meaning in the history of performing arts
/ 판소리연구
/ 판소리학회
(25)
: 241~280
[journal] 이석래 / 1978 / 옹고집전의 연구 / 관악어문연구 /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3
[journal] 인권환 / 1995 / 판소리의 失傳 原因에 대한 考察 / 한국학연구 / 한국학연구소 7
[journal] 인권환 / 1996 / 失傳 판소리 사설 연구 : <강릉매화타령>, <무숙이타령>, <옹고집타령>을 중심으로 / 동양학 /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6
[journal] 장덕순 / 1970 / 옹고집전과 둔갑설화 / 한국설화문학연구 / 서울대 출판부 : 201~208
[thesis] 張碩圭 / 1985 / 옹고집전 연구 / 석사 / 경북대학교 대학원
[book] 장석규 / 2000 / 옹고집전, 판소리의 세계 / 문학과지성사
[thesis] 鄭出憲 / 1992 / 朝鮮後期 寓話小說의 社會的 性格 / 박사 / 高麗大學校 大學院
[journal] 정충권 / 1993 / 『옹고집전』 이본의 변이양상과 그 의미 / 판소리연구 / 판소리학회 4
[journal] 정충권 / 1999 / 흥보박사설의 형성과 변모 / 고전문학과교육 / 청관고전문학회 1
[journal]
정환국
/ 2009
/
A study on the role of ‘Inconvenience’ in 19th-Century Korean literature: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Grotesque
/ 한국문학연구
/ 한국문학연구소
(36)
: 253~287
[book] 조동일 / 1983 / 흥부전의 양면성, 한국고전소설연구 / 새문사
[book] 조동일 / 1989 / 한국문학통사 3 / 지식산업사
[thesis] 최래옥 / 1968 / 설화와 그 소설화과정에 대한 구조적 분석 : 특히 장자못 전설과 옹고집전의 경우 / 석사 / 서울대학교 대학원
[journal] 최래옥 / 1968 / 옹고집전의 사회사적 고찰 / 우리문화 / 우리문화연구회 2
[journal] 최래옥 / 1989 / 옹고집전>의 제문제 연구 / 동양학 / 동양학연구소 1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