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ross-Cultural Studies 2021 KCI Impact Factor : 0.6
Gender politics and the monster-abject representation method of the posthuman age. ─ Focused on works by Kim Eon-hee and Han-Kang ─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593 Viewed
180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6)
열림/닫힘 버튼[book] 김언희 / 1995 / 트렁크 / 세계사
[book] 김언희 / 2016 / 보고 싶은 오빠 / 창비
[journal] 한강 / 1997 / 내 여자의 열매 / 창작과비평 (봄)
[book] 한강 / 2007 / 채식주의자 / 창비
[book] 한강 / 2014 / 소년이 온다 / 창비
[journal] 강영안 / 2013 / 포스트휴머니즘에 관한 철학적 성찰 / 지식의 지평 15
[journal]
김소영
/ 2011
/
The Violence, Body and Cognitive Mapping in the Neo-Liberal Age
/ 젠더와 문화
/ 여성학연구소
4(2)
: 71~108
[journal]
김순아
/ 2013
/
A Woman's’ Body and Its Meaning in Women's’ Poems after 1990s -Mainly from the poems of Kim Yeon-hee and Na Hee-deok
/ 한어문교육
/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
29
: 241~274
[journal] 문혜원 / 2005 / 전시하는 육체와 전시된 육체, 바라본 구멍과 내 몸의 구멍 : 김언희론 / 오늘의 문예비평 58
[report] 백문임 / 2002 / 한국 공포영화 연구 : 여귀의 서사기반을 중심으로 / 연세대학교대학원
[thesis] 손희정 / 2005 / 한국의 근대성과 모성재현의 문제 : 포스트 뉴 웨이브의 공포영화를 중심으로 / 석사 /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
[journal]
송아름
/ 2013
/
A Shift in Perspectives on Monsters : the Birth of ‘Cultural Generation’ and ‘Korean-style Zombies’
/ 대중서사연구
/ 대중서사학회
(30)
: 185~223
/ 10.18856/jpn.2013..30.006
[journal]
신수정
/ 2010
/
The Meaning of Being vegetarian in the Novels of Han Gang : Focusing on the 『Vegeterian』
/ 문학과환경
/ 문학과환경학회
9(2)
: 193~211
[journal] 양경언 / 2016 / 거울을 비추며 웃고 떠드는 여성들- ‘쓰기-주체-되기’의 정치성 / 여/성이론 34
[thesis] 오현화 / 2007 / 한국 영화의 여성괴물 재현 양상 연구 / 박사 / 고려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우미영
/ 2013
/
A Study of Paradox of Subjection and its Melancholic Subject -Focusing on Han Gang’s novels-
/ 여성문학연구
/ 한국여성문학학회
(30)
: 451~481
[journal]
윤지영
/ 2013
/
Titre-la nouvelle herméneutique du sujet: le sujet comme “contents”- L’hybridité et la monstruosité -
/ 철학연구
/ 대한철학회
125
: 261~282
[journal]
최애영
/ 2009
/
여성은 왜 괴물로 형상화 되어왔는가? 바바라 크리드,『여성괴물, 억압과 위반 사이—영화, 페미니즘, 정신분석학-』
/ 여성문학연구
/ 한국여성문학학회
21(21)
: 309~320
[journal] 한기욱 / 2017 / 촛불민주주의 시대의 문학 / 창작과비평 (겨울)
[journal]
함돈균
/ 2008
/
The Study on nihilism in 2000’s poetry
/ 한국문예창작
/ 한국문예창작학회
7(1)
: 75~101
[book] 김미현 / 2008 / 젠더프리즘 / 민음사
[book] 김소영 / 2000 / 근대성의 유령들 : 판타스틱 한국영화 / 씨앗을뿌리는사람
[book] 이현재 / 2016 / 여성혐오 그 후, 우리가 만난 비체들 / 들녘
[book] Giorgio Agamben / 2008 / 호모 사케르 / 새물결
[book] Barbara Creed / 2008 / 여성괴물 / 여이연
[book] Judith Halberstam / 2015 / 여성의 남성성 / 이매진
[book] Julia Kristeva / 2001 / 공포의 권력 / 동문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