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ross-Cultural Studies 2021 KCI Impact Factor : 0.6
On the Semantic Roles of Double Subject Constructions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381 Viewed
124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4)
열림/닫힘 버튼[journal]
강신재
/ 2003
/
Rule Construction for Determination of Thematic Roles by Using Large Corpora and Computational Dictionaries
/ 정보처리학회논문지.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
/ 한국정보처리학회
10(2)
: 219~228
[journal]
김건희
/ 2017
/
The re-examination of the predicate clause -focused on the distinction of the predicate clause with other embedded clause-
/ 한말연구
/ 한말연구학회
(43)
: 29~63
/ 10.16876/klrc.2017..43.29
[journal]
김건희
/ 2018
/
The Re-examination on the Double Nominative Case Construction in Korean - focused on the information structure and complex sentence construction -
/ 우리말글
/ 우리말글학회
76
: 1~33
/ 10.18628/urimal.76..201803.1
[journal]
김영희
/ 2004
/
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between Arguments and Adjuncts in Korean
/ 한글
/ 한글학회
(266)
: 139~167
[thesis] 김완수 / 2016 / 격틀 사전과 하위 범주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의미역 결정 / 석사 / 울산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김원경
/ 2007
/
The system of Semantic Case and the Computation Process.
/ 한국어 의미학
/ 한국어의미학회
24
: 105~133
[journal]
김원경
/ 2009
/
The Grammatical Property and Semantic Role of Korean Case Marker ‘ro’
/ 한국어학
/ 한국어학회
45
: 175~198
[journal]
김윤정
/ 2014
/
Consideration of Sematic Roles of Korean Subcategory in Computational Linguistics
/ 언어와 정보
/ 한국언어정보학회
18(2)
: 169~199
[journal]
김일규
/ 2016
/
Are there clausal predicates in Korean?
/ 언어와 정보
/ 한국언어정보학회
20(3)
: 27~40
[confproc] 김현권 / 2001 / 세종 용언 전자사전의 의미역 기술체계 및 목록 / 2001년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논문집
[book] 남기심 / 1986 / 국어학 신연구 / 탑출판사
[journal]
목정수
/ 2004
/
The Syntactic Function of the Second NP in Descriptive and Subjective Verb Constructions
/ 어문연구(語文硏究)
/ 한국어문교육연구회
32(4)
: 37~62
[journal]
목정수
/ 2005
/
A New Interpretation of the Double-Subject Construction in Korean
/ 언어학
/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
(41)
: 75~99
[journal]
목정수
/ 2013
/
On the Prefinal Ending '-si-' in Korean: as a subject indicator
/ 國語學
/ 국어학회
(67)
: 63~106
/ 10.15811/jkl.2013..67.003
[journal]
목정수
/ 2014
/
A Critique on the So-called ‘Predicate Clause’ in Korean: With Special Reference to Syntactic Units
/ 현대문법연구
/ 현대문법학회
(76)
: 101~126
/ http://dx.doi.org/10.14342/smog.2014.76.101
[journal]
목정수
/ 2016
/
Looking for the true Subject in Korean
/ 어문연구(語文硏究)
/ 한국어문교육연구회
44(3)
: 7~46
/ 10.15822/skllr.2016.44.3.7
[journal]
목정수
/ 2018
/
The concept of ‘predicate clause/clausal predicate’ revisited
/ 國語學
/ 국어학회
(87)
: 39~83
/ http://dx.doi.org/10.15811/jkl.2018..87.002
[journal]
박소영
/ 2019
/
Korean Independent Words and the Syntactic Representationof Discourse Information
/ 國語學
/ 국어학회
(89)
: 25~62
[journal] 박진호 / 1994 / 통사적 결합관계와 논항구조 / 국어연구 123
[journal]
박철우
/ 2002
/
Criteria for Distinguishing Complements and Adjuncts in Korean
/ 언어학
/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
(34)
: 75~111
[journal] 박철우 / 2005 / 서술절의 성립 요건-이중 주어문을 중심으로- / 안양대학교 논문집 22
[journal]
박철우
/ 2014
/
Isn't Subject a Grammatical Category in Korean?
/ 현대문법연구
/ 현대문법학회
(76)
: 149~172
/ http://dx.doi.org/10.14342/smog.2014.76.149
[journal]
박철우
/ 2005
/
Le système des rles sémantiques et son inventaire conçus pour la description sémantique des verbes et des adjectifs coréens
/ 어학연구
/ 언어교육원
41(3)
: 543~568
[journal] 송향근 / 1999 / ‘명사구(NP)+와’ 논항의 의미역 / 어문논집 39
[thesis] 신서인 / 2006 / 구문 분석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문형 연구 / 박사 / 서울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신서인
/ 2019
/
A study on the semantic role labels for the construction of a sematic role annotated Korean corpus
/ 한국어 의미학
/ 한국어의미학회
66
: 175~204
[journal] 안명철 / 2001 / 이중주어 구문과 구-동사 / 국어학 38
[journal]
안명철
/ 2011
/
On the Multiple Subject Appearing Structure and the Vested
/ 어문연구(語文硏究)
/ 한국어문교육연구회
39(4)
: 81~111
/ 10.15822/skllr.2011.39.4.81
[journal] 우형식 / 1996 / 국어에서의 보충어 범위 / 배달말 21
[journal] 유현경 / 1994 / 논항과 부가어 / 우리 말글 연구 Ⅰ
[book] 유현경 / 1996 / 국어 문법의 탐구 Ⅲ / 태학사
[book] 이병규 / 1996 / 국어 문법의 탐구 Ⅲ / 태학사
[journal]
이선웅
/ 2015
/
On the Clause as a Syntactic Unit
/ 배달말
/ 배달말학회
(56)
: 77~104
[journal]
이선웅
/ 2019
/
The concept and range of Korean complement as a sentence constituent
/ 형태론
/ 형태론
21(2)
: 135~159
[report] 이선웅 / 2019 / 의미역 기술 모형 연구 및 시범 구축 / 국립국어원
[journal]
이선웅
/ 2019
/
Topic as a Sentence Constituent in Korean.
/ 언어
/ 한국언어학회
44(3)
: 633~655
/ 10.18855/lisoko.2019.44.3.012
[journal]
이은섭
/ 2011
/
On the problems of complement distinction and the extended Lexicon
/ 어문학
/ 한국어문학회
(114)
: 87~118
[journal] 이정민 / 1998 / 한국어 술어의 어휘의미에 대한 생성적 연구방법 / 한국 인지과학회 논문지 9(3)
[journal]
이정택
/ 2006
/
A study on “Multiple subject” in Korean
/ 청람어문교육
/ 청람어문교육학회
(34)
: 243~258
[journal]
이호승
/ 2018
/
A Syntactic Topic of State-Property Adjective Sentences and the Subjecthood Tests
/ 언어와 정보 사회
/ 언어정보연구소
35
: 273~301
/ 10.29211/soli.2018.35..010
[journal]
이호승
/ 2019
/
On the Relation of Sentences’ Surplus Constituents and Themes
/ 언어와 정보 사회
/ 언어정보연구소
38
: 121~144
/ 10.29211/soli.2019.38..005
[journal] 이홍식 / 2020 / 부가어의 의미역에 대하여 / 한국어와문화 27
[journal] 이홍식 / 2019 / 의미역의 분류에 대하여 / 한국어와문화 26
[journal] 임동훈 / 1997 / 이중 주어문의 통사 구조 / 한국문화 19
[thesis] 임동훈 / 1996 / 현대 국어 경어법 어미 ‘-시-’에 대한 연구 / 박사 / 서울大學校 大學院
[other] 임수종 / 2018 / 한국어 의존의미역 태깅가이드라인 / 한국전자통신연구원(ETRI)
[book] 임홍빈 / 1999 / 21세기국어학의 과제(솔미 정광 선생 화갑기념논문집 / 월인
[book] 임홍빈 / 2007 /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 분석 : 주제 개념의 새로운 전개 / 서울대학교 출판부
[report] 장석진 / 1989 / 자연언어처리의 기초연구 / 한국과학재단
[journal]
정해권
/ 2016
/
A Constructional Approach to the Korean Multiple Nominative Construction
/ 國語學
/ 국어학회
(78)
: 139~164
/ 10.15811/jkl.2016..78.005
[journal] 조일영 / 1999 / ‘NP-로’의 의미역 / 청람어문학 21
[journal]
최웅환
/ 2008
/
A Study on double-subject pheno- menon in Korean
/ 우리말글
/ 우리말글학회
43
: 51~71
[journal]
최웅환
/ 2007
/
Some Problems Related to the Subject in Korean
/ 언어과학연구
/ 언어과학회
(43)
: 49~69
[journal]
최형강
/ 2014
/
The Multiple ‘이/가’ Constructions and Argument Structures: Focus on Collocation of ‘맞다’
/ 언어와 정보 사회
/ 언어정보연구소
22
: 83~106
/ 10.29211/soli.2014.22..004
[journal] 최형강 / 2002 / 주격 중출 구성에 대하여 / 관악어문연구 27
[journal] 최호철 / 1996 / 국어의 의미격 설정에 대하여 / 한글 232
[journal] 최호철 / 1998 / 기계 번역을 위한한국어 논항 체계 연구 / 한국어 의미학 3
[journal]
한정한
/ 2012
/
KA, LUL as restricted thematic relations
/ 한국어학
/ 한국어학회
54
: 1~54
[journal] 홍종선 / 1999 / ‘-을’ 논항의 의미역 체계 연구 / 한글 24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