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hunwon Research journal 2021 KCI Impact Factor : 0.22
The reality and transcendence of Repatriate Novels after the Liberation -Centered on Gye Yongmuk's <Counting the stars>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319 Viewed
0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2)
열림/닫힘 버튼[book] 계용묵 / 2004 / 계용묵전집 1 / 민음사
[book] 권영민 / 2009 / 한국현대문학사 2 / 민음사
[book] 김경수 / 2004 / 어두운 시대의 빛과 꽃 / 민음사
[book] 김우종 / 1990 / 계용묵-별을 헤며 이 땅을 사랑한 작가 / 벽호
[book] 김윤식 / 2007 / 한국문학사 / 민음사
[book] 이재선 / 1991 / 현대 한국소설사(1945-1990) / 민음사
[journal]
고명철
/ 2011
/
Esthetic Politics of Geyyoungmuk(계용묵) Literature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ear
/ 영주어문
/ 영주어문학회
21
: 377~400
[journal] 김동윤 / 2005 / 계용묵의 제주 체험과 문학 / 영주어문 10 : 143~162
[journal]
김용성
/ 2016
/
Reconsidering Women, Religion, and Disability in KYE Yong - mook’s ‘Baekchi Adada’
/ 문학과 종교
/ 한국문학과종교학회
21(2)
: 49~63
/ http://dx.doi.org/10.14376/lar.2016.21.2.49
[journal] 김일주 / 1996 / 궁핍과 혼란의 도시문화-김동리, 계용묵, 염상섭, 채만식의 소설을 중심으로 / 국토정보 : 62~67
[journal]
유보선
/ 2012
/
An Empty Liberation And An Emptyreturn -Chae Man-sik's The Boy is Growing Up-
/ 현대소설연구
/ 한국현대소설학회
(49)
: 175~210
/ http://dx.doi.org/
[journal]
송현호
/ 2013
/
Humanities studies of discourse of immigration shown in <Shower>
/ 현대소설연구
/ 한국현대소설학회
(54)
: 309~333
[journal]
송현호
/ 2008
/
Three Aspects of Gando in Novels during Japanese Occupation by Force
/ 한중인문학연구
/ 한중인문학회
(24)
: 25~45
[thesis] 신중혁 / 1984 / 계용묵론 / 석사 / 계명대학교 대학원
[book] 신형기 / 2011 / 이산과 귀향, 한국 문학의 새 영토 / 민음사 : 417~431
[journal] 이동하 / 1982 / 계용묵론 / 관악어문연구 7 : 353~373
[journal]
이민영
/ 2012
/
The Representation of ‘House-Nation’ in the liberation period novels
/ 현대소설연구
/ 한국현대소설학회
(49)
: 239~263
/ http://dx.doi.org/
[journal]
이정숙
/ 2011
/
A Study on Aspects of Repatriation in Novels under the Period of Liberation
/ 현대소설연구
/ 한국현대소설학회
(48)
: 45~76
[book] 이정숙 / 2005 / 탄생100주년 작가와 한국문학의 재조명 : 177~199
[book] 이정숙 / 1988 / 漢城大學論文集 / : 153~181
[journal]
이주형
/ 2005
/
A Study of Kye Yongmook's Novels
/ 어문학
/ 한국어문학회
(87)
: 643~666
[journal]
임미진
/ 2018
/
Establishment and Return of Nationalism in the point of Gender Recurrence view in the Liberation Period
/ 현대소설연구
/ 한국현대소설학회
(69)
: 321~348
/ http://dx.doi.org/10.16894/JKFR.69.1.11
[journal]
정종현
/ 2006
/
National narrative of 'Repatriation' in the post-liberation Novels
/ 비교문학
/ 한국비교문학회
(40)
: 131~157
[journal] 최계화 / 2008 / 기대와 좌절의 歷程-해방기 귀향소설에 대한 고찰 / 한국문화기술 (6) : 263~285
[journal]
최병우
/ 2011
/
Experiences in Manchuria and Their Meanings Observed in Repatriate Novels after the Liberation
/ 현대소설연구
/ 한국현대소설학회
(48)
: 77~103
[journal]
최병우
/ 2011
/
The Choice and Meaning of Repatriation and Settlement Observed in Korean Novels Just after the Liberation
/ 현대소설연구
/ 한국현대소설학회
(46)
: 159~18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