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hunwon Research journal 2021 KCI Impact Factor : 0.22
The oxymoron of ‘Enlightenment Literature’ and the romantic fervor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255 Viewed
0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2)
열림/닫힘 버튼[book] 이광수 / 1964 / 이광수전집 16 / 삼중당
[book] 이광수 / 2015 / 이광수 초기 문장집 Ⅱ / 소나무
[book] 김현주 / 2005 / 이광수와 문화의 기획 / 태학사
[book] 서동진 / 2011 / 무엇이 정의인가? / 마티
[book] 서영채 / 2004 / 사랑의 문법 / 민음사
[book] 서영채 / 2017 / 죄의식과 부끄러움 : 현대소설 백년, 한국인의 마음을 본다 / 나무나무출판사 : 나무플러스나무
[book] 이재선 / 2010 / 이광수 문학의 지적편력 / 서강대학교출판부
[book] 정명환 / 2005 / 젊은이를 위한 문학이야기 / 현대문학사
[book] 조영복 / 2004 / 1920년대 초기 시의 이념과 미학 / 소명출판
[book] 최인훈 / 2008 / 화두2 / 문학과지성사
[book] 한수영 / 2009 / 이광수 문학의 재인식 / 소명출판
[book] 가토 히사타케 / 2009 / 헤겔 사전 / 도서출판b
[book] 맹정현 / 2002 / 라캉과 정신의학 / 민음사
[confproc] 시마다 사이시 / 2014 / 이광수는 누구인가?」 / 메이지카쿠인 창립 15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기록 / 李光洙とはだれか?, かんよう出版
[book] 하타노 세츠코 / 2008 / 무정을 읽는다 / 소명출판
[book] 조엘 도르 / 2005 / 라깡과 정신분석임상: 구조와 도착증 / 아난케
[book] 미셸 푸코 / 1999 / 자유를 향한 참을 수 없는 열망 / 새물결
[book] 지그문트 프로이트 / 1996 / 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/ 열린책들
[book] G.W.F. 헤겔 / 법철학 / 한길사
[book] 클라우스 피베크 / 2019 / 자유란 무엇인가: 헤겔 법철학과 현대 / 길
[book] 홍사현 / 2015 / 문학적 절대. 독일 낭만주의 문학 이론 / 그린비출판사
[book] Jacques-Alain Miller / 1996 / Reading seminars Ⅰ and Ⅱ /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
[journal]
김도경
/ 2018
/
A Study on Lee Kwang-soo’s Literary Theory in the Mid-1920s -Focus on “Literature Lecture” and “a Trivial Talk about Literature”-
/ 어문학
/ 한국어문학회
(141)
: 241~261
/ 10.37967/emh.2018.09.141.241
[journal] 김용직 / 2009 / 근대시 형성기의 春園 李光洙 / 춘원연구학보 / 춘원연구학회 : 7~46
[journal]
김종태
/ 2003
/
A study on the comparative literature of Korea & Japan on the “Baekhwa School” of Japan-Mainly Lee Kwang-Soo and Kim Dong-In
/ 한국문예비평연구
/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
(13)
: 353~375
[journal]
노춘기
/ 2012
/
The attitude to modern poetry and the characteristic of poetic subject in early works of Lee-KwangSu
/ 비평문학
/ 한국비평문학회
(44)
: 201~229
[journal] 방민호 / 2012 / 「문학이란 하오」와 무정, 그 논리구조와 한국 문학의 근대 이행 / 춘원연구학보 / 춘원연구학회 5 : 205~253
[journal]
백지은
/ 2012
/
A Study on the integrated phase of the concept of "Literature of Emotion" in Korean Modern Literary Theory
/ 민족문화연구
/ 민족문화연구원
(56)
: 353~391
[journal]
서영채
/ 2009
/
The Ethics of Modernity and Literature: Yi kwang-su and Kant
/ 한국근대문학연구
/ 한국근대문학회
1(19)
: 147~180
/ 10.19050/korlit.2009.1.19.006
[journal]
서영채
/ 2013
/
The Structure of Self-sacrifice - Yi Kwangsu' Jaesaeng(재생) and Ozaki Koyo's Konzikiyashya(금색야차) -
/ 민족문화연구
/ 민족문화연구원
(58)
: 207~242
[journal]
서영채
/ 2015
/
The advent of infinite space and modern narratives
/ 비교문학
/ 한국비교문학회
(67)
: 87~108
[journal]
서영채
/ 2017
/
The Anxiety of Enlightenment: Lu Xun and Yi Gwang-su
/ 한국현대문학연구
/ 한국현대문학회
(51)
: 109~142
/ 10.22871/mklite.2017..51.003
[journal]
양순모
/ 2017
/
A study of the Lyricism in A Lover's Silence
/ 상허학보
/ 상허학회
50
: 545~570
/ 10.22936/sh.50..201706.014
[journal]
이철호
/ 2017
/
The Literary History of Mujeong: Nationalism, Liberalism and Post-nationalism
/ 한국문학연구
/ 한국문학연구소
(55)
: 269~302
/ 10.20881/skl.2017..55.008
[journal]
이철호
/ 2007
/
Another Hidden Meaning of Modern Self
/ 상허학보
/ 상허학회
19
: 343~376
/ 10.22936/sh.19..200702.011
[journal]
이철호
/ 2010
/
Soul Pilgrimage: Traces of Korean Intellectuals' Recognitions and Re-appropriation for “Soul” in 19th and 20th Centuries
/ 동방학지
/ 국학연구원
(152)
: 205~243
[journal]
이철호
/ 2011
/
Personality represented in the novel of Lee, Gwangsoo and its Subject Symbol
/ 동악어문학
/ 동악어문학회
(56)
: 103~131
[journal]
이행남
/ 2018
/
“Pure Thinking of Self” in Hegel’s Theory of ethical life -Attempt to construct the reflective subjectivity beyond blind custom-
/ 가톨릭철학
/ 한국가톨릭철학회
(31)
: 227~264
/ http://doi.org/10.16895/cathp.2018.31.1.227
[journal]
정명교
/ 2006
/
Before the Expansion of the Lyricism in Korean Modern Poetry
/ 한국시학연구
/ 한국시학회
(16)
: 49~80
[journal]
정명교
/ 2013
/
Always crisis, but different meanings
/ 현대문학의 연구
/ 한국문학연구학회
(51)
: 7~38
/ 10.35419/kmlit.2013..51.001
[journal]
차승기
/ 2000
/
The Time of the 'Ruin' - On Shaping of Aesthetic World-view of the 'Dong-in-ji(同人誌)'s’ in early 1920s
/ 상허학보
/ 상허학회
6
: 49~80
[journal]
최원
/ 2013
/
On Semiar 11: The Question of Aphanisis
/ 현대정신분석
/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
15(1)
: 177~210
[journal]
최주한
/ 2013
/
History of Mujeong studies as 'translated (post)modernism'
/ 한국근대문학연구
/ 한국근대문학회
(27)
: 287~313
/ 10.19050/korlit.2013..27.009
[journal]
최호영
/ 2014
/
A Poetic Theory on the Introduction of “Distance” in early 1920s poetry and Sublime Poetics ― Focusing on ‘Ego’ and ‘Nature’
/ 민족문학사연구
/ 민족문학사연구소
(54)
: 271~29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