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journal]
고은지
/ 2008
/
The Substance of the Ya-dam new-born as ‘Popular Entertainment' in 20th century
/ 정신문화연구
/ 한국학중앙연구원
31
(1)
: 103~129
[journal]
고은지
/ 2006
/
A specialization of popular song and its cultural mean at a phonograph record in early 20th
/ 한국시가연구
/ 한국시가학회
21
(21)
: 325~354
[journal]
공임순
/ 2007
/
To be interesting and profitable, Making Yadam(野談) as the 'sound' taste book propaganda
/ 민족문학사연구
/ 민족문학사학회
34
(34)
: 336~364
[thesis]
김병길
/ 2006
/ 한국근대 신문연재 역사소설의 기원과 계보
/ 박사
/ 연세대학교
[journal]
김준형
/ 2006
/
The meaning and characters by the process of remaking <Oksosun> story at the transition periods to the modern times
/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
/ 한국고전여성문학회
13
(13)
: 205~228
[journal]
김준형
/ 2002
/
The appearance of Yadam movement and the phase of its deployment
/ 민족문학사연구
/ 민족문학사학회
20
: 146~177
[book]
노정팔
/ 1983
/ 휴일없는 메아리
/ 한국교육출판사
: 63~
[thesis]
유선영
/ 1992
/ 한국 대중문화의 근대적 구성과정에 대한 연구
/ 박사
/ 고려대학교
[journal]
이경돈
/ 2004
/
Byeolgungon and Modern Reading Matter in Low Grade Culture
/ 대동문화연구
/ 대동문화연구원
46
(46)
: 249~287
[thesis]
이승윤
/ 2005
/ 한국 근대 역사소설의 형성과 전개
/ 박사
/ 연세대학교
[journal]
임형택
/ 1996
/ 야담의 근대적 변모
/ 한국한문학
/ 한국한문학회
: 47~85
[journal]
정부교
/ 1998
/ 근대 야담의 전통 계승 양상과 의미
/ 국어국문학지
/ 문창어문학회
35
: 2~20
[book]
정출헌
/ 1995
/ 야담의 세계 in 민족문학사 강좌(상)
/ 창작과비평사
: 283~304
[book]
차혜영
/ 2004
/ 1930년대 «월간야담»과 «야담»의 자리 in 1930년대 한국문학의 모더니즘과 전통연구
/ 깊은샘
: 205~23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