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ublic sphere and 'Minority Report' -A serial story in a newspaper and Cheong, Bi-seok -
[other] / 경향신문
[other] / 동아일보
[other] / 서울신문
[other] / 한국일보
[other] / 국제신보
[other] / 신태양
[book] 정비석 / 1946 / 소설작법 / 신대한도서주식회사
[book] 서라벌예술대학출판국 / 1956 / 소설연구 / 한국교육문화원
[book] 정비석 / 1947 / 도회의 / 평범사
[book] 정비석 / 1952 / 여성전선 / 한국출판사
[book] 정비석 / 1954 / 자유부인 / 정음사
[book] 정비석 / 1955 / 민주어족 / 정음사
[book] 정비석 / 1955 / 여성의 적 / 정음사
[book] 정비석 / 1958 / 낭만열차 / 동진문화사
[book] 정비석 / 1957 / 슬픈목가 / 춘조사
[book] 정비석 / 1958 / 유혹의 강 / 신흥출판사
[book] 정비석 / 1960 / 비정의 곡 / 삼중당
[journal]
강상희
/ 2011
/
A Micro-history on Enlightenment and Liberation -Jeong, Bi-seok's Madame Freedom(Jayu-Buin)-
/ 한국근대문학연구
/ 한국근대문학회
(24)
: 177~196
[book] 강진호 / 2004 / 전후 세태소설의 존재방식, In 현대소설사와 근대성의 아포리아 / 소명출판사 : 36~55
[book] 권보드래 / 2009 / 실존,자유부인,그래그마티즘, In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/ 동국대출판부 : 61~104
[journal]
김복순
/ 2004
/
Aspects of exclusive gender appropriation in anti-communism and "gendered reading": Focusing on the novel Madam Free
/ 문학과 영상
/ 문학과영상학회
5
(1)
: 27~54
[journal]
김은하
/ 2010
/
A study on cultural politics of post-war modernization and dangerous widow - [River of Temptation] written by Jeong bi-seok-oriented
/ 한국문학이론과 비평
/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
14
(4)
: 211~229
[journal]
김현주
/ 2010
/
The Stance of Society and Social Publicity in the Colony -The Meaning of the Social Discussion of Kwangsoo Lee in Daily News (Mae-Il Sin-Bo) in the1910s
/ 한국문학연구
/ 한국문학연구소
(38)
: 221~261
[book] 서영채 / 1995 / 1930년대 통속소설의 존재방식 - 김말봉의 『찔레꽃』 읽기, In 소설의 운명 / 문학동네 : 173~197
[journal] 여건종 / 1997 / 공공영역의 수사학 / 안과 밖 (2) : 8~40
[journal]
윤상길
/ 2011
/
‘The Maeil Sinbo’ as Colonial Public Spherein 1910s
/ 한국언론학보
/ 한국언론학회
55
(2)
: 56~76
[journal]
이봉범
/ 2010
/
Newspaper Journalism and Literature during the 1950's
/ 반교어문연구
/ 반교어문학회
(29)
: 261~305
[journal]
이봉범
/ 2011
/
Customs after Post-Korean War and movements of Liberal Democracy in Korea
/ 한국어문학연구
/ 한국어문학연구학회
(56)
: 335~387
[book] 이상록 / 2001 / 전쟁의 폐허 위에 다시 세워진 ‘정조관념’, In 20세기 여성사건사 / 여성신문사 : 135~
[journal]
이상록
/ 2011
/
The Rise of the Notion of the ‘Economy as Top Priority’, and the Creation of ‘Productive subjects’ - Strategies to seize the notion, and Competitions to monopolize certain Revolutions, from April 19th to May 16th -
/ 역사문제연구
/ 역사문제연구소
15
(1)
: 115~158
[journal]
이선미
/ 2011
/
The Regulating Mechanism of American Culture in the Korean mass culture
/ 민족문화연구
/ 민족문화연구원
(54)
: 45~87
[book] 임헌영 / 2000 / 정비석의 『자유부인』을 둘러싼 공방, In 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 / 역사비평사 : 224~230
[book] 정종현 / 2009 / 자유와 민주, 식민지 윤리감각의 재맥락화, In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/ 동국대출판부 : 105~149
[journal]
최미진
/ 2007
/
A Study on Women's Front by Jeong Bi-seok during the Korean War Period: Focusing on its Methods to Create Novels
/ 현대문학이론연구
/ 현대문학이론학회
(32)
: 305~330
[other] 황산덕 / 1954 / <자유부인> 작가에게 드리는 말 / 대학신문
[book] 박명진 / 1996 / 문화,일상,대중 / 한나래
[book] 서광운 / 1993 / 한국신문소설사 / 해돋이
[book] 손석춘 / 2005 / 한국 공론장의 구조변동 / 커뮤니케이션북스
[book] 손세일 / 1976 / 한국논쟁사2-문학.어학편 / 청람문화사
[book] 이임하 / 2010 / 전쟁 미망인,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/ 책과함께
[book] 최장집 / 2002 /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/ 후마니타스
[book] 요시미 순야 / 2006 / 미디어 문화론 / 커뮤니케이션북스
[book] 김영찬 / 2010 / 근대성의 젠더 / 자음과모음
[book] 앤서니 기든스 / 2001 / 현대사회의 성,사랑,에로티시즘 / 새물결
[book] 앨런 스윈지우드 / 1984 / 문학의 사회학 / 한길사
[book] 하버마스 / 2001 / 공론장의 구조변동 / 나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