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 study on history discourse of 1920~1930s modern popular magazine 『Byeolgeongon』 : About representation method of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
[book] / 개벽 / 박이정출판사
[book] / 별건곤 / 도서출판 역락
[thesis] 공임순 / 2001 / 한국 근대 역사소설의 장르론적 연구 / 박사 / 서강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권채린
/ 2012
/
The Public Discourse Map in Respect of ‘A Walk’ -in Case of the Popular Magazine 「Byulgungon」-
/ 어문연구(語文硏究)
/ 한국어문교육연구회
40
(2)
: 245~272
/ http://dx.doi.org/
[book] 권태환 / 1990 / 일제 식민통치와 사회구조의 변화 / 정신문화연구원
[book] 김정인 / 2005 / 내일을 여는 역사 / 서해문집
[journal]
김진량
/ 2005
/
The "Taste Discourse" and Property of Writing Style in the Byeolgeongon
/ 어문학
/ 한국어문학회
(88)
: 331~352
[journal] 김태웅 / 2003 / 일제 강점기 김진구의 활동과 내선일체론 / 역사연구 / 역사학연구소 (13) : 19~102
[journal]
김희정
/ 2004
/
Study on the Attire of New Women Described「Beol Geon Gon」
/ 복식문화연구
/ 복식문화학회
12
(2)
: 211~223
[book] 대중문학연구회 / 1995 / 대중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? / 평민사
[journal]
박숙자
/ 2006
/
The Publication and Gendered of Private Area in the 1920s
/ 한국근대문학연구
/ 한국근대문학회
(13)
: 177~196
[journal]
박숙자
/ 2005
/
From "grotesqueness" to "nonsense": Review of the 1920's hobby reading text and female characteristics in Byolgeongon
/ 여성문학연구
/ 한국여성문학학회
(14)
: 175~195
[journal] 송명진 / 2003 / 1920년대 과학소설 수용 양상 연구:영주생(影洲生)의 80만년 후의 사회를 중심으로 / 대중서사연구 / 대중서사학회 (10) : 119~141
[thesis] 안희정 / 2011 / 일제강점기 『별건곤』에 나타난 신여성론 / 석사 /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
[journal] 오선영 / 2009 / 대중소설의 유행과 장르 분화- 별건곤 게재 소설을 중심으로 / 문창어문논집 / 부산대 문창어문학회 (46) : 119~144
[journal]
유석환
/ 2011
/
The Rise of Modern Novel and the role of Chundogyo(天道敎)'s Media in Colonial Korea
/ 대동문화연구
/ 대동문화연구원
(73)
: 231~257
[thesis] 이숙 / 2013 / 한국 대체역사소설 연구 / 박사 / 전북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이경돈
/ 2004
/
Byeolgungon and Modern Reading Matter in Low Grade Culture
/ 대동문화연구
/ 대동문화연구원
(46)
: 249~287
[journal]
이상우
/ 2011
/
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Kim Ok-gyun in Colonial Korea and it's Meanings
/ 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
/ 한민족어문학회
(58)
: 327~366
[journal]
이승윤
/ 2010
/
The Pattern of Embracing ‘History’ and the Writing Strategies of Modern Popular Magazines
/ 한국문학논총
/ 한국문학회
(56)
: 5~35
[journal]
이희정
/ 2010
/
Writing Strategy of Colonial Period and "GaeByeok" -Focused on 「Basic Investigation of Chosun Culture」-
/ 한중인문학연구
/ 한중인문학회
(31)
: 165~188
[journal]
전미경
/ 2009
/
‘Husband’ and Changes in Family Discourse in the 1920s-1930s
/ 한민족문화연구
/ 한민족문화학회
(29)
: 405~438
[journal]
전미경
/ 2007
/
A Study of New family and Family Report in the 1920s-1930s
/ 가족과 문화
/ 한국가족학회
19
(4)
: 103~130
[journal]
전지은
/ 2010
/
Study of Movie discourse in Beolgeongon
/ 한국언어문화
/ 한국언어문화학회
(42)
: 395~420
[journal]
전혜진
/ 2010
/
The Urban Bourgois Culture And Representation Of Resort In The Byeolgungon
/ 한국언어문화
/ 한국언어문화학회
(41)
: 5~31
[journal]
조미희
/ 2010
/
Occupational related reports of Byeolgeongon and the special feature
/ 한국언어문화
/ 한국언어문화학회
(41)
: 33~58
[book] 천정환 / 2003 / 근대의 책읽기-독자의 탄생과 한국 근대문학 / 푸른역사
[journal]
천정환
/ 2006
/
Ch'wimi and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Popular Culture
/ 민족문학사연구
/ 민족문학사학회
(30)
: 227~265
[book] 최수일 / 2008 / 개벽 연구 / 소명출판
[journal]
이에나가유코
/ 2012
/
The Korean People's Sources of Pride Shown in Kaepyuk (開闢) and Beolgeongon (別乾坤) Magazines
/ 인문과학연구
/ 인문과학연구소
(33)
: 149~182
/ http://dx.doi.org/
[journal]
Holger Korthals
/ 2004
/
“Es ist mßig, aber doch interessant...” - Alternate Histories als Gegenstand kulturwissenschaftlicher Betrachtung
/ 독일문학
/ 한국독어독문학회
45
(2)
: 311~32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