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 Study on Kisaeng–Domestic Dramas in 1930’s
[book] 박진영 / 2007 / 쌍옥루 / 현실문화연구
[book] 서연호 / 1996 / 한국희곡전집 5 / 태학사
[book] 전광룡 / 1968 / 한국신소설전집 10권 / 을유문화사
[book] 한국극예술학회 / 1996 / 한국현대대표희곡선집 / 태학사
[book] 한국음반아카이브연구단 / 2011 / 한국유성기음반 1권-4권 / 한걸음 더
[journal]
권보드래
/ 2007
/
The Narrative of Sinners, The Mentality of Tears and Sympathy
/ 한국근대문학연구
/ 한국근대문학회
(16)
: 7~41
[book] 권보드래 / 2008 / 연애의 시대 / 현실문화연구
[book] 김만수 / 1998 / 일제강점기 유성기음반 속의 극·영화 / 태학사
[journal]
김유미
/ 2006
/
A Study of the persistency of Sinpa of Melodrama
/ 한국연극학
/ 한국연극학회
(28)
: 163~191
[journal]
김재석
/ 2014
/
The Performance Understanding and Its Meaning of Towolhoe's Translated Dramas
/ 국어국문학
/ 국어국문학회
(168)
: 297~335
[book] 박일용 / 1993 /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/ 집문당
[book] 백문임 / 2001 / 춘향의 딸들, 한국 여성의 반쪽짜리 계보학 / 책세상
[journal]
백현미
/ 2013
/
The Birth of Shin-pa as 'an Extremely Sad and Extremely Delightful Drama' -Based on analyzing <Tears>-
/ 국어국문학
/ 국어국문학회
(164)
: 453~488
[journal] 양승국 / 1997 / 1930년대 대중극의 구조와 특성 / 울산어문논집 /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2 : 125~201
[journal]
우수진
/ 2013
/
Melodrama as a Form of the Moral
/ 한국연극학
/ 한국연극학회
1
(49)
: 49~72
[journal]
윤민주
/ 2011
/
가정비극류 신파극에 나타나는 멜로드라마적 과잉(melodramatic excess)에 대한 연구 -1910년대 초기 번안소설 각색 신파극을 중심으로-
/ 어문론총
/ 한국문학언어학회
(55)
: 509~547
[journal]
이승희
/ 2003
/
Sexual Politics in Korean Realism Drama, 1910~1945
/ 한국극예술연구
/ 한국극예술학회
(17)
: 151~187
[journal]
이승희
/ 2002
/
The Antinomic Fate of Melodrama
/ 민족문학사연구
/ 민족문학사학회
20
: 208~237
[journal]
이영미
/ 2008
/
A Combination of a Tragic Love Story at the Red Light Distric) and a Domestic Tragedy - Narrative of “Deceived by Money, Despaired by Love”
/ 한국극예술연구
/ 한국극예술학회
(27)
: 95~125
[thesis] 최은옥 / 2005 / 한국 근대 대중극과 대중서사의 관계 연구 / 박사 / 고려대학교 대학원
[book] 로버트 B. 헤일만 / 1995 / 비극과 형식, 그 의미와 형식 / 고려대학교출판부
[book] 이혜령 / 2013 /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/ 소명출판
KCI Citation (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