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ater ‘Since Then’, from Mourning to Politics
[other] / 연극 <사랑해. 4월 16일 그 후>, <만리향>, <배수의 고도>, <먼 데서 오는 여자>, <환도열차>, <늙은 소년들의 왕국>, <색다른 이야기 읽기 취미를 가진 사람들에게>, <안산순례길>, <별망엄마>, <아홉개의 하늘>, <공중의 방>, <시간의 난극>, <노란봉투>, <델루즈(Deluge): 물의 기억>, <그날, 당신도 말할 수 있나요?>, <비포 애프터>, <그녀를 말해요>, <내 아이에게>, <이 아이>, <왜 나는 조그마한 일에만 분개하는가>, <사회의 기둥들>, <엔론>, <보도지침>, <commercial, definitely>, <검열언어의정치학: 두 개의 국민> 外 (*<표> 참조)
[other] 고근영 / 2015 /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게 하라: 9『11 대참사 이후의 미국 연극과 ‘세월호이후의 연극’ / 한국연극 : 24~26
[journal]
김서중
/ 2015
/
The reality of disastrous reporting of Sewol and the root cause of it
/ 역사비평
/ 역사문제연구소
(110)
: 37~64
[other] 박기용 / 2014 / “유민 아빠와 함께합니다.” 연극인 언론인도 동조단식 / 한겨레신문, 2014.8.20
[other] 박정환 / 2014 / "알츠하이머 아내보다 나를 슬프게 하는 건 세월호"-[인터뷰] 연극 '먼 데서오는 여자' 남편 역 이대연 "참사 떠오르는 내용에 뭉클해져" / 오마이뉴스, 2014.9.22
[other] 박지환 / 2015 / 광화문 세월호 추모집회... 경찰, 물대포 대량 살포, 유가족 등 100여명 연행 / 서울신문, 2015.4.19
[other] 방송기자연합회 저널리즘 특별위원회 재난보도 연구분과 / 2014 / 세월호 보도…저널리즘의 침몰―재난보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
[other] 배선애 / 2013 / 국립극단 ‘개구리’- 지금 그분을 다오, 코악스! / 월간 객석, 2013년 9월호 : 116~121
[journal] 백두산 / 2014 / 2014 서울연극제: 미래와 현재 사이, 방황하는 서른 다섯 / 공연과 이론 (54) : 320~332
[journal] 백두산 / 2014 / 우리시대의 죄와 구원: 세월호 이후의 연극을 위하여 / 한국희곡 (56) : 333~348
[confproc] / 2016 / 세월호, 진실과 기억 / 서울대학교 제6차 인권포럼
[other] 시노하라 구미코 / 2015 / 기도하듯이, 깊이…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의 일본 연극 / 한국연극 2015년 4월호 : 26~27
[other] 양근애 / 2015 / 4시 16분, 안을 들여달 볼 시간-<노란봉투> / 웹진-TTIS 2015.5.
[journal] 우수진 / 2014 / 망각의 정치와 기억의 윤리-<먼 데서 오는 여자> / 한국희곡 (56) : 357~363
[other] 유연석 / 2015 / 세월호를 연극으로? 도저히 못하겠더라 / 노컷뉴스 2015.4.15.
[other] 윤진현 / 2016 / 원혼 재생산 시스템-<햄릿 아비> / 웹진-TTIS 2016.6.
[journal] 이경미 / 2015 / 세월호 1주기, 어떻게 기록하고 기억할 것인가 / 연극평론 (77) : 19~23
[other] 이명수 / 2014 / “슬픔 속으로 뛰어드세요” / 한겨레21 1009호
[journal] 이승희 / 2016 / 검열 코스프레 / 연극평론 (80) : 24~28
[journal] 이은경 / 2015 / 2015년 연극을 전망해본다 / 공연과이론 (57) : 163~170
[other] 임성현 / 2014 / 프리뷰-세월호 기억 위해... “돌려 말하고 싶지 않았다” / 오마이뉴스, 2014.11.27.
[other] 임인자 / 2015 / (좌담) 재난에 대처하는 공연예술, 변화가 필요하다 / 한국연극 2015년 7월호 : 26~35
[other] 임인자 / 2015 / (좌담)연극, 세월호라는 창으로 무엇을 볼 것인가 / 한국연극 2015년4월호 : 15~23
[journal] 조보라미 / 2014 / 세월호 사건에 대한 진혼곡-김현탁의 <자전거> / 공연과이론 (56) : 7~14
[book] 진실의 힘 세월호 기록팀 / 2016 / 세월호, 그날의 기록 / 진실의힘
[other] 최창근 / 2016 / (좌담) 창작산실 사태와 검열에 대항하는 다양한 연대와 소통의 방식 / 한국연극 2016년 2월호 : 28~37
[journal] 최창근 / 2014 / 작가 에세이: 세월호 / 한국희곡 (56) : 128~145
[journal] 하형주 / 2014 / 2014년 연극 결산 특집 좌담회 / 공연과이론 (56) : 159~183
[book] 김형기 / 2011 /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/ 푸른사상
[journal]
김형중
/ 2016
/
Testimony And Literature : Korean Literature After Sinking of Sewol Ferry
/ 감성연구
/ 호남학연구원
(12)
: 31~59
[journal]
김홍중
/ 2015
/
Heartbreak: Tragedy of Sewel Ferry and Sovereign Depression
/ 사회와 이론
/ 한국이론사회학회
(26)
: 143~186
[thesis] 남지수 / 2015 / ‘뉴다큐멘터리 연극’ 연구: 사실과 허구의 경계 허물기 / 박사 / 동국대학교
[journal] 남지수 / 2015 / 뉴다큐멘터리 연극에 관한 제언 / 연극평론 (76) : 141~145
[book] 리처드 서넷 / 2002 / 신자유주의와 인간성의 파괴 / 문예출판사
[book] 박명림 / 2011 / 다음 국가를 말하다:공화국을 위한 엘세 가지 질문 / 웅진지식하우스
[book] 박민규 / 2014 / 눈먼 자들의 국가-세월호를 바라보는 작가의 눈 / 문학동네
[journal] 서영인 / 2014 / 세월호 이후, 작가가 보는 한국 사회 / 실천문학 : 22~27
[book] 알랭 바디우 / 2001 / 윤리학 / 동문선
[book] 알랭 바디우 / 2013 / 존재와 사건 / 새물결
[book] 알랭 바디우 / 2015 / 철학과 사건 / 오월의봄
[journal]
이혜정
/ 2015
/
A Study of Contemporary Japanese Theatre after the 3.11 Earthquake: Current Location and Haisui no Koto
/ 일본학보
/ 한국일본학회
(102)
: 117~132
[journal]
임승태
/ 2015
/
Beyond Tragedy: Hamlet Only for Nine Days and the Spectrum of Korean Contemporary Documentary Theatre
/ 안과밖:영미문학연구
/ 영미문학연구회
(39)
: 238~262
[book] 주디스 버틀러 / 2008 / 불확실한 삶- 애도와 폭력의 권력들 / 경성대학교 출판부
[book] 질 들뢰즈 / 1999 / 의미의 논리 / 한길사
[book] 헨리 나우웬 / 1999 / 상처입은 치유자 / 두란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