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Imagination of Post-humanism Appeared in Korean Fictions—Focused on Cho Ha-hyung’s Chimera’s Morning and A Prefabricated Bodhi Tree
[book] 조하형 / 2004 / 키메라의 아침 / 열림원
[book] 조하형 / 2008 / 조립식 보리수나무 / 문학과지성사
[journal] 김형중 / 2008 / 기어서 넘는 벌레, 상처를 긍정하는 몸 / 문학과사회 21 (3) : 311~329
[journal]
노대원
/ 2018
/
Posthumanist Criticism and Science Fiction
/ 비평문학
/ 한국비평문학회
(68)
: 110~133
[book] 닉 보스트롬 / 2017 / 슈퍼인텔리전스: 경로, 위험, 전략 / 까치
[book] 목경찬 / 2012 / 유식불교의 이해 / 불광출판사
[journal] 박 진 / 2008 / 장르들과 접속하는 문학의 스펙트럼 / 창작과비평 36 (2) : 31~48
[journal] 박 진 / 2008 / 장르문학에 대한 오해와 편견: 그는 왜 『키메라의 아침』의 아침이 SF가 아니라고 주장하는가? / 작가세계 20 (4) : 332~346
[book] 슈테판 헤어브레히터 / 2012 / 포스트휴머니즘 / 성균관대학교 출판부
[journal] 우찬제 / 2009 / 서사도단(敍事道斷)의 서사 / 문학과사회 22 (1) : 288~302
[journal] 음영철 / 2011 / 인쇄텍스트의 하이퍼텍스트성 연구 / 스토리앤이미지텔링 /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(2) : 159~183
[journal]
이양숙
/ 2019
/
Scientific Discourse in the Era of Posthumanism and Its Literary Imagination in Yihyung Yun’s novels
/ 도시인문학연구
/ 도시인문학연구소
11
(1)
: 83~112
/ 10.21458/siuh.2019.11.1.004
[journal]
이준석
/ 2012
/
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a Disaster through STS
/ 과학기술학연구
/ 한국과학기술학회
12
(1)
: 45~78
/ http://dx.doi.org/
[journal]
이지용
/ 2019
/
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SF Genre in Korea—From Propaganda of Modernization to Post-Human Discourse
/ 대중서사연구
/ 대중서사학회
25
(2)
: 33~69
/ 10.18856/jpn.2019.25.2.002
[confproc] 정여울 / 2011 /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가상의 재앙: 편혜영, 윤이형, 조하형을 중심으로 /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/ 한국현대문학회 : 48~56
[journal] 조하형 / 2008 / [작가의 편지] 몇 개의 주석들; 『키메라의 아침』에 관한 / 문학과사회 21 (3) : 304~310
[journal] 차미령 / 2006 / 환상은 어떻게 현실을 넘어서는가: 박민규와 조하형의 소설 / 창작과비평 34 (2) : 261~274
[book] 케서린 헤일스 / 2013 /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/ 플래닛
[book] 프란시스코 바렐라 / 2017 / 몸의 인지과학 / 김영사
[book] 홍성욱 / 2010 / 인간·사물·동맹 :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/ 이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