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view of Korean History 2021 KCI Impact Factor : 1.28
Forced "free divorce', the divorce issue and 'the old-fashioned woman'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Korea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419 Viewed
0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17)
열림/닫힘 버튼[other] / 1931 / ‘과도기 남성희생론’은 1930년대 독자고민상담란에서 이혼을 문의하는 신청년들에 대한 신문사측의 조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. 엇지하리까, 무식하니 이혼할까요 조선일보 1931.10.15
[other] / 1934 / “인형의 집”을 나선 조선의 “노라”들 조선일보 1934.4.20
[other] / 1925 / <離婚은 可하냐 否하냐> 咸興靑年會討論, 盛況을 呈해 동아일보 1925.5.19
[book] / 1991 /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/ 역사비평사
[journal] CM生 / 1921 / 最近의 우리 社會의 現像에 感하야 / 개벽 (9)
[other] R생 / 1925 / 자유종- 장연인사들에게 동아일보 1925.3.17
[other] / 1925 / 刻薄한 新式男便과 舊式女子의 悲哀동아일보 1925.9.11
[other] / 1924 / 경성일생 홀아비, 분화구-이혼은 당연! 시대일보 1924.4.30
[other] / 1928 / 空閨직힌 賠償, 五千圓을 請求동아일보 1928.6.20
[other] / 1929 / 工夫하자 難捧나 본처를 구박, 離婚訴낸 金禮鉉女人동아일보 1929.12.28
[other] / 1926 / 구성 배창화, 자유종- 구여자된 설음 동아일보 1926.4.21
[book] 권보드래 / 2003 / 연애의 시대-1920년대 초반의 문화와 유행 / 현실문화연구
[journal]
권희정
/ 2005
/
The Change of Korean Family in the Colonial Period: Focusing on Divorce cases
/ 비교문화연구
/ 비교문화연구소
11(2)
: 35~62
[other] / 1936 / 그들은 어찌하야 가티 살수 업는가, 남편은 안해 인장을 위조, 이혼계, 안해는 남편거러 이혼무효소송 조선일보 1936.11.6
[thesis] 吉川絢子 / 2009 / 植民地朝鮮における離婚訴訟と朝鮮民事令-1910年代を中心に- / 석사 / 京都大學
[book] 김경일 / 2004 / 여성의 근대, 근대의 여성 / 푸른역사
[book] 김수진 / 2009 / 신여성, 근대의 과잉 / 소명출판
[book] 김두헌 / 1968 / 한국가족제도 연구 / 서울대출판부
[journal] 김성숙 / 1988 / 조선 전기 이혼법-왕조실록을 중심으로 / 숭실대학교법학논총 4
[journal] 김수진 / 2000 / ‘신여성’, 열려있는 과거, 멎어 있는 현재로서의 역사쓰기 / 여성과 사회 (11) : 15~16
[book] 김혜경 / 2006 / 식민지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 / 창비
[book] 나영균 / 2004 / 일제시대, 우리 가족은황소자리
[other] / 1929 / 남녀지상토론대회 가정지우 1929.2
[other] / 1926 / 男便에 扶養料請求, 소박당한 안해 1926.1.17
[other] / 1927 / 十年間扶養料사천팔백원 바다주오 동아일보 1927.1.27
[thesis] 남화숙 / 1989 / 1920년대 여성운동에서의 협동전선론과 근우회 / 석사 / 서울대
[other] 乭伊 / 1933 / 제2부인 실화, 병아리 부부의 파혼 신여성 1933.2
[other] / 1925 /
[other] / 1925 / 동아일보 1925.2.18
[other] / 1926 / 離婚當코 放浪中山中에서 縊死, 留學生男便둔 舊女子의 最後(北靑) 동아일보 1926.8.18
[other] / 1924 / 離婚問題의 可否(六) 僞善輩가 되지말고 이혼하겟거든 어서하야 비애의 조션이 되지말나, 開闢主筆金起瀍氏談동아일보 1924.1.6
[other] / 1924 / 離婚問題의 可否(三) 不得已消極策, 소위 모 신사가 첩을 어더두어 엇던 의미로는 좀 나을가 한다고, 中央靑年會洪秉璇氏談동아일보 1924.1.3
[other] / 1924 / 離婚問題의 可否(十) 子孫까지 不幸케 말라, 리혼할 경우는 과단잇게하여서 첩의자식이 나서 또 첩엇게 마라, 平壤鄭世胤氏談동아일보 1924.1.12
[other] / 1924 / 離婚問題의 可否(五) 時代탓이나하고 좀 참는 것이 조흘듯, 남의 사졍을 좀 보라, 普成高等普通學校長鄭大鉉氏談동아일보 1924.1.5
[other] / 1924 / 離婚問題의 可否(一) 離婚은 不可避, 그러나 안졍을 무시함은 불가, 雜誌愛主幹鄭壽榮氏談동아일보 1924.1.1
[other] / 1926 / 離婚하고 被訴, 장인의 인장을 위조하고는 소송을 당한 보통학교 훈도 동아일보 1926.9.26
[other] / 1926 / 離婚하려다 八個月, 호젹을 꾸미고 도장을 색여, 戀愛로 身勢버린 某專門出身 동아일보 1926.12.5
[other] / 1926 / 리혼한다는 남편 말에 푼전업시 서울로, 근화녀학교 삼년급생, 朴金同의 눈물겨운 말 동아일보 1926.6.4
[journal] / 1921 / 目下우리 조선인의 결혼과 이혼문제에 대하야 / 曙光 (8)
[other] / 1926 / 無理한 離婚에 絶對反抗할일, 扶桑부인친목회 제4임시총회의 결의 조선일보 1926.2.22
[other] / 1935 / 무슨 까닥? 부부싸홈이 구식가정에 덜하다, <신식>도 본바들 데가 잇는 <구식> 조선일보 1935.6.26
[book] 문옥표 / 신여성-한국과 일본의 근대여성상 / 청년사
[other] / 1928 / 문화의 진보를 따라 협의이혼 益증가 조선일보 1928.10.7
[journal]
박경
/ 2010
/
he Policy of Prohibiting males from abandoning their wives, in the early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: Its Influences and Problems
/ 사학연구
/ 한국사학회
(98)
: 197~229
[journal] 朴達成 / 1925 / 地方兄弟를代하야 - 識者諸君에게 / 개벽 (56)
[other] / 1929 / 排斥하는 男便相對巨額의 慰藉請求남편은 리혼소송을 뎨긔 京城地方法院에 提訴 동아일보 1929.2.15
[other] / 1924 / 법정에 나타난 貞婦怨(2) 조선일보 1924.4.10
[other] / 1925 / 법정에 나타난 貞婦怨隨(1~2) 조선일보 1925.4.9~10
[other] / 1933 / 변심한 남편 걸어 양반 안해 제소, 공부갓다 와서 배척한다고, 위자료 천여원 청구 동아일보 1933.1.21
[journal] 辯護士李仁 / 1929 / 離婚問題와 現代法律 / 삼천리 (2)
[other] / 1938 / 부모 허락없는 이혼은 동양도덕에 배치! 동아일보 1938.11.30
[other] / 1925 / 扶養料請求訴, 집을 돌보지안는 부뎡한 남편에게 동아일보 1925.1.9
[other] / 1933 / 부인론단: 삼십년 수절 끄테 닥친 것은 소박, 누구의 죄인가 (1~4) 조선일보 1933.12.5~8
[other] / 1929 / 부인시론: 부인공개장을 읽고서 조선일보 1929.10.29
[other] 司法府法務科 / 1918 / 朝鮮人間の離婚訴訟朝鮮彙報 1918.2
[other] / 1933 / 삼십년 수절의 代償이 “나는 당신을 모르오!” 기막힌 안해 동거청구소송 제기 조선일보 1933.12.2
[journal]
서경희
/ 2005
/
A Study of <Ms. Ko's Hyogoelrok>, A Novel written by Old Fashioned Woman
/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
/ 한국고전여성문학회
(10)
: 397~432
[book] 성춘식 / 1990 / 뿌리깊은 나무 민중 자서전 8
[book] 성혜랑 / 2000 / 등나무집 / 지식나라
[other] / 1922 / 소박덕이 三百名녀자교육협회로 울며 호소, 주목할 긔혼남자의 이혼병 동아일보 1922.12.21
[other] 素影 / 1924 / 조강지처는 불하당!, 이혼문제 잡감 매일신보 1924.12.13
[other] 松月洞人 / 1926 / 빈빈한 이혼문뎨 조선부인의 처디 (전3회) 중외일보 1926.2.9.~11
[journal] 송진우 / 1915 / 사상개혁론 / 학지광 (5)
[other] / 1924 / 숙명여자고보교사 李起奭氏談, 愛의 生涯를 犧牲하자 이혼문제의 가부(二) 동아일보 1924.1.2
[other] / 1924 / 싀집간지 몃해 안되는 나히 절은 여자들에게, 이혼문제와 구가정의 부인 매일신보 1924.11.23
[other] / 1932 / 시평-결혼과 이혼의 자유 조선일보 1932.4.20
[other] / 1934 / 평화하여야 할 가정에 본부독살이 웬일? 시대지의 리혼제도를 페지하고 또 각자가 다갓치 리해하자 조선일보 1934.9.7
[other] / 1929 / 신고산 이○옥, 부인공개장- 배웟다는 남성이여 당신만을 위해 삼닛가 조선일보 1929.10.19
[journal] / 1930 / 新兩性道德의 提唱 / 삼천리 (6)
[journal] / 1925 / 신여성의 5대번민 / 신여성
[journal] 신영숙 / 1986 / 일제하 신여성의 연애․결혼문제 / 한국학보 45
[thesis] 신영숙 / 1989 / 일제하 한국 여성사회사연구 / 박사 / 이화여대
[other] / 1921 / 신진여류의 기함, 근래의 연애문제, 新女子主筆金元周女史談동아일보 1921.2.24
[journal] 신태악 / 1921 / 新人의 이상(1)-신가정 건설에 대하야 / 신가정 (창간)
[book] 심훈 / 1987 / 직녀성 / 한국문화사
[other] 이귀선 / 1929 / 부인공개장-독신생활가티 괴로움은 업습니다 조선일보 1929.9.22
[other] / 1931 / 엇지하리가, 무식하니 리혼할까요 조선일보 1931.10.15
[other] / 1934 / 엇지하리까, 리해업는 안해를 버릴수밧게 업소 조선일보 1934.6.9
[other] / 1931 / 엇지하리까, 사년동안 고독햇서요 조선일보 1931.10.7
[other] / 1924 / 오늘일․래일일-리혼으로 느러가는 자살 시대일보 1924.5.16
[thesis] 오숙희 / 1987 / 한국여성운동에 관한 연구-1920년대를 중심으로 / 석사 / 이화여대
[other] / 1925 / 油屯公普敎員의 離婚事件, 刻薄한 新式男便과 舊式女子의 悲哀 동아일보 1925.9.11
[book] 有泉亨 / 1948 / 朝鮮婚姻法の近代化, In 社會科學硏究 2 / 東京大學社會科學硏究所
[journal]
이강이
/ 2004
/
The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n Divorce - Focusing on Choseun ilbo in the 1920's and 1930's -
/ 대한가정학회지
/ 대한가정학회
42(11)
: 47~60
[journal] 이광수 / 1917 / 婚姻에 對한 管見 / 학지광 (12)
[journal] 이배용 / 1999 / 개화기․일제시기 결혼관의 변화와 여성의 지위 / 한국근현대사연구 10
[journal] 이상경 / 2001 / 근대소설과 구여성-심훈의 직녀성을 중심으로 / 민족문학사연구 19
[journal] 이일 / 1920 / 결혼의 3대요건을 제창함 / 서광 (2)
[report] 이태영 / 1957 / 韓國離婚制度硏究 / 여성문제연구원
[book] 이태영 / 1972 / 일제시대 여성의 법적지위Ⅰ, In 한국여성사(개화기~1945) / 이화여대출판부
[other] / 이혼급위자료청구사건(소화13년 민상 제392호) 조선고등법원판결록(민사편) 제25권
[other] / 1928 / 이혼못한 분푸리 처숙모를 난타 중상, 리혼소송에 패소까지 당하고 조선일보 1928.1.24
[other] / 1934 / 이혼문제의 一考 조선중앙일보 1934.10.21
[other] / 1928 / 이혼을 강요하며 빙부모 구타한 자 조선일보 1928.12.26
[other] / 1925 / 이혼을 비관자살 毒夫妖女의 悖倫, 자살케하고 자살후 일헷만에 결혼식거행, 方峴普校訓導의罪惡 동아일보 1925.4.18
[other] / 1924 / 이혼을 비관자살, 뎐념병뎍 리혼의 희생 시대일보 1924.5.16
[other] / 1938 / 모멸의 書-조선지식여성의 두뇌와 생활 批判 1938.10
[other] 이흥재 / 1924 / 이혼문제에 대한 비판(1~3) 조선일보 1924.5.16~17, 19
[journal] 一記 / 1925 / 隨見隨聞 / 개벽 (64)
[book] 장병인 / 1997 / 조선전기 혼인제와 성차별 / 일지사 : 229~237
[journal] 전영택 / 1917 / 구습의 파괴와 신도덕의 건설 / 학지광 (13)
[journal] 전영택 / 1918 / 家庭制度를 改革하라 / 女子界 1(2)
[book] 정광현 / 1967 / 한국가족법연구Ⅰ / 서울대출판부
[thesis] 정주영 / 2008 / 식민지시기 이혼소송의 법적용 실태-고등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/ 석사 / 서강대
[journal]
정지영
/ 2006
/
“Concubine" or "Second Wife?": New Woman and the Rupture of Love Marriage in the Colonial/Modern Korea from 1920s to 1930s
/ 한국여성학
/ 한국여성학회
22(4)
: 47~84
[journal]
정지영
/ 2008
/
The Modern Legalization of Monogamy and the Problem of “Concubine” - An Analysis of the Articles in Donga Ilbo, 1920-1939 -
/ 여성과 역사
/ 한국여성사학회
(9)
: 79~119
[journal]
정해은
/ 2010
/
The reality of divorces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, and the application of the Grand Ming Cord(大明律)
/ 역사와 현실
/ 한국역사연구회
(75)
: 93~125
[other] / 1930 / 朝鮮にけ結婚離婚の統計的觀察朝鮮總督府調査月報 제1권 제2호, 1930.5)
[other] / 1928 / 朝鮮어멈(三) 깨여진 都會憧憬夢, 離婚女子도 多數도회동경의 번화한 꿈이 속절업시 깨여지고 서투른 딸각발이로 눈물속에서 보내는 세월, 裏面엔 種種悲劇 동아일보 1928.3.15
[journal]
조세형
/ 2010
/
The Crisis and the voice of old fashioned woman during Modernizing Period in <Sad story of rural woman> and <Woman's sorrow>
/ 국어교육
/ 한국어교육학회
(133)
: 183~205
[book] 조은 / 1995 / 일제하 신여성과 가부장제 한국여성학회, In 광복50주년 기념 학술논문집: 여성 8 / 한국학술진흥재단
[journal] 조재호 / 1933 / 안해의 道 / 신여성
[journal] 조병기 / 1934 / 자유결혼의 파멸 / 신가정
[other] / 1925 / 조혼의 고민으로 자살, 열세살 때에 취처한 청년이 도덕에 매어 리혼을 못해 자살 동아일보 1925.11.9
[journal] / 1928 / 誌上討論現下朝鮮에서의 主婦로는 女校出身이 나흔가 舊女子가 나흔가?! / 별건곤 (16)
[other] / 1929 / 직업부인이 되기까지, 남편의 소박맛고 만리 타향와서 직공생활 동아일보 1929.11.19
[other] / 1926 / 질의응답 동아일보 1926.8.25
[other] / 1929 / 청년의 이혼성행으로 신교육을 거부, 과도기의 일현상 조선일보 1929.12.15
[other] / 1924 / 崔麟氏談, 自己犧牲에 同情이혼문제의 가부(七) 동아일보 1924.1.7
[other] 崔紫英 / 1925 / 옵바의 이혼사건 동아일보 1925.4.8.~4.10
[journal] 春坡 / 1931 / 溫突방 夜話 / 별건곤 (46)
[other] / 1927 / 퇴폐한 벌교교육계, 선생추행이 頻頻, 녀선생과 녀학생을 농락코 본처 리혼이 능사이라 한다, 동창회서 사직권고 조선일보 1927.8.27
[journal] / 1933 / 특집 제2부인 문제 / 신여성
[other] / 1924 / 함흥차사된 안해 결국은 리혼 소송 시대일보 1924.12.17
[other] / 1925 / 咸興靑年會討論, 盛況을 呈해 동아일보 1925.5.19
[other] / 1917 / 혼인론 매일신보 1917.11.21.~30
[journal] 홍병선 / 1921 / 目下우리 조선인의 결혼과 이혼문제에 대하야 / 曙光 (8)
[thesis] 홍양희 / 2004 / 조선총독부의 가족정책연구-가제도와 가정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- / 박사 / 한양대
[other] 황운션 / 1924 / 離婚問題를 엇지 해결할가 매일신보 1924.8.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