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view of Korean History 2021 KCI Impact Factor : 1.28
Forest of Seoul of the modern times, risk management and nationalism politics planning - Centered on the place-ness of forest that is discussed publicly -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426 Viewed
0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12)
열림/닫힘 버튼[journal] 강만길 / 1986 / 일제시대의 도시빈민생활-토막민을 중심으로- / 한국사연구 53
[book] 박현숙 / 2010 / 토막민의 생활과 위생 / 민속원
[book] 菊池正治 / 2003 / 日本社會福祉の歷史付, 史料-制度, 實踐思想 / ミネル ヴァ書房
[journal]
권명아
/ 2007
/
‘Customs and Manner' Control and the Supervision of the Everyday Life-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rol and the Censorship
/ 민족문학사연구
/ 민족문학사학회
(33)
: 368~408
[journal] 김경일 / 1896 / 일제하 도시빈민층의 형성 : 경성부의 이른바 토막민을 중심으로 / 사회와 역사 3
[journal]
김기란
/ 2007
/
A Study on the Hyup-ul-sa, the First Theater in Korea
/ 현대문학의 연구
/ 한국문학연구학회
(32)
: 257~296
[journal]
김동명
/ 2012
/
식민지 조선에서의 부협의회의 정치적 전개 -1929년 경성부 「신당리토지문제」를 중심으로-
/ 한일관계사연구
/ 한일관계사학회
43(43)
: 543~573
[journal]
김백영
/ 2005
/
The Repute and Conflicts in the Colonial Urban Power Bloc Concerning Colonial Urban Planning
/ 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
/ 한국사회사학회
(67)
: 84~128
[journal]
김윤희
/ 2010
/
The Notion of Bankruptcy during the Modern and Colonial Times
/ 아시아문화연구
/ 아시아문화연구소
19
: 23~51
[journal]
김윤희
/ 2010
/
Research of modern neologism in Korea(1920~1936) - Centered on daily life & cultural context -
/ 국어사연구
/ 국어사학회
(11)
: 37~67
[book] 미셀푸코 / 2012 / 생명관리정치의 탄생 / 난장
[journal] 염복규 / 2002 / 일제말 경성지역의 빈민주거문제와 ‘시가지계획’ / 역사문제연구 8
[journal]
염복규
/ 2007
/
The Organization and Developmentin the Movement of Renters of Land or Houseof the late 1920's and early 1930's
/ 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
/ 한국사회사학회
(73)
: 75~105
[book] 울리히벡 / 2006 / 위험사회 / 새물결
[journal]
윤덕영
/ 2010
/
Plans for Political campaigns devised by the Dong’a Ilbo Newspaper faction in the early half of the 1920s, and the argument to become the ‘Central faction of the Korean people’
/ 역사문제연구
/ 역사문제연구소
14(2)
: 9~49
[journal]
이수연
/ 2011
/
A Study on the Changes of Spati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Namsan-Park from the Late 1900s through the Early 1980s - Focused on Hoehyeon district in Namsan Park -
/ 건축역사연구
/ 한국건축역사학회
20(6)
: 7~20
[book] 이태진 / 2000 / 대한제국의 서울 황성만들기-최초의 근대적 도시개조사업, In 고종시대의 재조명
[book] 전우영 / 2003 / 일제하 남촌 상가의 형성과 변천 / 서울학연구소
[thesis] 조성은 / 2012 / 근대 사회사업 개념과 담론에 관한 연구 : 1920년대와 1930년대를 중심으로 / 박사 / 서울대학교 대학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