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view of Korean History 2021 KCI Impact Factor : 1.28
The Trend and Prospect of Main Study on the Dispute betweene Ju’hwa-ron(主和論, argument supporting the idea of pursuing peace with the enemy) and Cheok’hwa-ron(斥和論, argument boycotting the negotiation of peace with the enemy) during Manchu Invasion of Joseon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277 Viewed
0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4)
열림/닫힘 버튼[web] / 仁祖實錄 /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DB / http://sillok.history.go.kr
[web] 李珥 / 栗谷全書 /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/ http://db.itkc.or.kr/
[web] 申炅 / 再造藩邦志 /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/ http://db.itkc.or.kr/
[web] 宋時烈 / 三學士傳 /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/ http://db.itkc.or.kr/
[web] 李肯翊 / 燃藜室記述 /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/ http://db.itkc.or.kr
[book] 李建昌 / 1998 / 黨議通略 / 자유문고
[book] 계승범 / 2009 / 조선시대 해외파병과 한중관계-조선시대 지배층의 중국 인식- / 푸른역사
[book] 계승범 / 2011 / 정지된 시간-조선의 대보단과 근대의 문턱 / 서강대학교출판부
[book] 계승범 / 2014 / 중종의 시대-조선의 유교화와 사림운동 / 역사비평사
[book] 金容欽 / 2006 / 朝鮮後期政治史硏究Ⅰ-仁祖代政治論의 分化와 變通論 / 혜안
[book] 김종원 / 1999 / 근세동아시아관계사연구 / 혜안
[book] 이삼성 / 2017 /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 1 / 한길사
[book] 李相佰 / 1962 / 韓國史近世前期篇 / 乙酉文化社
[book] 李相佰 / 1965 / 韓國史近世後期篇 / 乙酉文化社
[book] 李用熙 / 1977 / 韓國民族主義 / 瑞文堂
[book] 全海宗 / 1970 / 韓中關係史硏究 / 一潮閣
[book] 鄭玉子 / 1998 /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연구 / 일지사
[book] 조동일 / 2010 / 동아시아문명론 / 지식산업사
[book] 최남선 / 1973 / 육당최남선전집 1 / 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
[book] 崔韶子 / 1997 / 명청시대 중․한관계사연구 /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
[book] 한명기 / 1999 /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/ 역사비평사
[book] 한명기 / 2000 / 광해군 / 역사비평사
[book] 한명기 / 2009 / 정묘․병자호란과 동아시아 / 푸른역사
[thesis] 허태구 / 2009 / 병자호란의 정치·군사사적 연구 / 박사 / 서울대학교 대학원
[book] 林泰輔 / 1892 / 朝鮮史 / 吉川半七藏版
[book] 林泰輔 / 1902 / 朝鮮近世史 상․하권 / 吉川半七藏版
[book] 林泰輔 / 1912 / 朝鮮通史 / 富山房
[book] 稻葉君山 / 1914 / 淸朝全史 上卷 / 早稻田大學出版部
[book] 稻葉岩吉 / 1933 / 光海君時代の滿鮮關係 / 大阪屋號書店夫馬進著․
[book] 정태섭 / 연행사와 통신사 / 신서원
[book] 강석화 / 2014 / 한국역대 대외항쟁사 연구 / 전쟁기념관
[journal]
계승범
/ 2005
/
A Ming Proposal for superintendence of Choson:Disputes over the Foreign Policy in the Reign of King Kwanghae
/ 조선시대사학보
/ 조선시대사학회
(34)
: 5~33
[journal]
계승범
/ 2006
/
A Change in the Korean View of Ming China : Court Debates on the Ming Requests for Korean Troops in Early Chosn
/ 대동문화연구
/ 대동문화연구원
(53)
: 309~346
[journal]
계승범
/ 2008
/
The Causes for the Coup of 1623 and Their Adjustment in Chosŏn Korea
/ 南冥學硏究
/ 경남문화연구원
(26)
: 439~478
[journal]
계승범
/ 2011
/
The Altar of Great Gratitude: Korean Elites’ Adoration for Ming China under Manchu Dominance
/ 명청사연구
/ 명청사학회
(35)
: 153~185
[journal]
계승범
/ 2012
/
The Sino-Korean Relations and the Tribute System during the Hideyoshi Invasion of Korea, 1592-1598
/ 韓國史學史學報
/ 한국사학사학회
(26)
: 117~145
[journal]
계승범
/ 2012
/
조선후기 조선중화주의와 그 해석 문제
/ 한국사연구
/ 한국사연구회
(159)
: 265~294
[journal]
계승범
/ 2017
/
Ideological Dual Structure: Sino-Korean Relations under the Ming Order in the Early 1500s
/ 동양사학연구
/ 동양사학회
(140)
: 87~117
/ http://dx.doi.org/10.17856/jahs.2017.09.140.87
[journal]
고영진
/ 2007
/
A new perspective to the political history of seventeenth century in Joseon Dynasty
/ 역사와 현실
/ 한국역사연구회
(65)
: 413~428
[other] 權悳奎 / 1920 / 假名人頭上에 一棒 / 東亞日報
[journal]
권선홍
/ 2010
/
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Confucian World: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Investiture System
/ 한국정치외교사논총
/ 한국정치외교사학회
31(2)
: 103~134
[journal]
권선홍
/ 2014
/
East Asian Interstate Relations in the Confucian Li Thought
/ 한국정치외교사논총
/ 한국정치외교사학회
35(2)
: 139~170
[journal]
권선홍
/ 2017
/
A Reexamination of Critical Views on the Investiture and Tribute System in Confucian World
/ 국제정치논총
/ 한국국제정치학회
57(1)
: 7~40
[journal]
김영민
/ 2013
/
Reconsidering Sinocentrism In Late Choson Korea
/ 한국사연구
/ 한국사연구회
(162)
: 211~252
[journal] 金龍德 / 1964 / 昭顯世子硏究, / 史學硏究 / 한국사학회 18
[journal]
김인걸
/ 2014
/
New Attempts In Trouble
/ 역사학보
/ 역사학회
(223)
: 3~26
[journal] 김종원 / 2000 / 서평: 전근대 외교사 연구의 새로운 모색-『임진왜란과 한중관계』(한명기, 역사비평사) / 역사비평 / 역사비평사 50
[journal] 金駿錫 / 1998 / 兩亂期의 國家再造문제 / 韓國史硏究 / 한국사연구회 101
[journal] 金泰永 / 2003 / 遲川崔鳴吉의 現實變通論 / 道山學報 / 도산학술연구원 9
[journal] 김호 / 2011 / 조선후기의 中華論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-大報壇의 역사적의의를 중심으로 / 정치와 평론 / 한국정치평론학회 9
[journal]
노영구
/ 2004
/
The Appointments of Meritorious Retainers and the Forming of Memories of the Imjin War(壬辰倭亂)
/ 역사와 현실
/ 한국역사연구회
(51)
: 11~35
[journal] 노영구 / 2010 / 서평논문: 동아시아 차원의 정묘․병자호란 이해와 새로운 출발점-한명기의 『정묘․병자호란과 동아시아』를 읽고 / 역사비평 / 역사비평사 90
[journal]
문중양
/ 2013
/
Perspectives on ‘the difference of the Wind and Earth between China and Korea’ and the Korean Uniqueness in Early 15th Century Korea
/ 한국사연구
/ 한국사연구회
(162)
: 45~86
[journal]
박현모
/ 2003
/
Ten Years of Crisis, 1627-1636: The Confucian Deliberative Politics during Manchu Invasion of Korea
/ 한국정치학회보
/ 한국정치학회
37(2)
: 27~46
[journal] 손승철 / 2000 / 서평: 한명기 저, 『임진왜란과 한중관계』(역사비평사, 1999) / 역사와 현실 / 한국역사연구회 35
[journal]
송웅섭
/ 2015
/
The ‘Sentiment of Worship’ strengthening during King Jungjong’s reign, and the supposedly continuing ‘Confucianization’ -Review of such concepts as suggested in 『The Era of Jungjong』-
/ 조선시대사학보
/ 조선시대사학회
(74)
: 363~405
[journal] 安貞姬 / 1997 / 朝鮮初期의 事大論 / 歷史敎育 / 역사교육연구회 54
[thesis] 오수창 / 1984 / 인조대 정치세력의 동향 / 석사 / 서울대학교 대학원
[journal] 吳洙彰 / 1998 / 최명길과 김상헌 / 역사비평 / 역사비평사 42
[book] 吳洙彰 / 2005 / 한국사시민강좌 36 / 一潮閣
[book] 吳洙彰 / 2013 / 현실주의자를 위한 변명-명분보다 실리를 추구한 사람들 / 동녘
[journal]
오수창
/ 2017
/
Distortion of Memories of the Manchu Invasion in 1937
/ 역사와 현실
/ 한국역사연구회
(104)
: 53~81
[journal] 吳宗錄 / 1999 / 壬辰倭亂∼丙子胡亂期軍事史硏究의 現況과 課題 / 軍史 /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38
[journal] 오항녕 / 1992 / 17세기 전반 서인산림의 사상-김장생․김상헌을 중심으로 / 역사와 현실 / 한국역사연구회 8
[journal]
우경섭
/ 2006
/
Theory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s & Chosn Chunghwa Ideology of Song Si Yl
/ 진단학보
/ 진단학회
(101)
: 257~289
[journal]
우경섭
/ 2012
/
朝鮮中華主義에 대한 학설사적 검토
/ 한국사연구
/ 한국사연구회
(159)
: 237~263
[journal]
우경섭
/ 2017
/
A Study of the Appearance of a “Pro-Manchurian Group” in the reign of King Injo
/ 조선시대사학보
/ 조선시대사학회
(81)
: 109~136
[book] 尹南漢 / 1965 / 人物韓國社 / 博友社
[journal]
윤해동
/ 2006
/
Dare We Criticize the Deus Obscurus?―The Internal Development Theory of Kim Yongs?p
/ 韓國史學史學報
/ 한국사학사학회
(14)
: 105~134
[journal]
이문기
/ 2012
/
Book Review: Sadaejuui of Cho-sun Dynasty and 21c National Identity of Korea: Kye, Seung-Bum, Overseas Military Dispatchy of Cho-sun Dynasty and Korea-China Relation
/ 중국학논총
/ 중국학연구소
(38)
: 441~445
[book] 李丙燾 / 1959 / 국사상의 제문제 1 / 국사편찬위원회
[book] 李章熙 / 1987 / 韓國史硏究入門 / 지식산업사
[thesis] 이희권 / 1975 / 丙子胡亂中의 主和論是非에 대한 小考 / 석사 / 전북대학교 대학원
[journal] 鄭玉子 / 1991 / 丙子胡亂時言官의 位相과 活動-三學士에 대한 再平家 / 韓國文化 /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2
[journal] 전재성 / 2009 / 동아시아 전통질서 연구의 현황과 과제_국제정치학과 역사학의 만남 / 세계정치12 /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30(2)
[journal]
정해은
/ 2010
/
정묘․병자호란 연구의 새로운 지평,, 그리고 남아있는 문제들 -한명기,『정묘․병자호란과 동아시아』(푸른역사, 2009)
/ 역사와 현실
/ 한국역사연구회
(77)
: 455~472
[journal] 조성을 / 1992 / 17세기 전반 서인관료의 사상-김류․최명길․조익을 중심으로 / 역사와 현실 / 한국역사연구회 8
[journal] 조영록 / 1996 / 조선의 소중화관-명청교체기 동아시아삼국의 천하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/ 歷史學報 / 역사학회 149
[journal] 趙湲來 / 1992 / 明軍의 出兵과 壬亂戰局의 推移 / 韓國史論 / 국사편찬위원회 22
[journal]
조일수
/ 2017
/
Historical Reassessment of Korea’s China Policy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(r. 1623~1649)
/ 역사비평
/ 역사문제연구소
(121)
: 343~371
[journal]
최소자
/ 2003
/
明淸時代 對外關係史의 成果와 課題
/ 명청사연구
/ 명청사학회
(19)
: 33~64
[journal]
최소자
/ 2012
/
明淸과 朝鮮, 朝鮮과 明淸 關係史 연구현황과 과제 ― 수교20주년에 즈음하여 ―
/ 명청사연구
/ 명청사학회
(38)
: 1~57
[journal]
최종석
/ 2010
/
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Structure on 'Institutions of the Time(時王之制)' and Universal Chinese Conventions in the Early Joseon Dynasty
/ 조선시대사학보
/ 조선시대사학회
(52)
: 5~49
[journal]
최종석
/ 2013
/
The Status of the Dynasty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, and ‘Seong’gyo Ja’yu(聲敎自由)’
/ 한국사연구
/ 한국사연구회
(162)
: 3~44
[book] 최종석 / 2016 / 조선시대 예교담론과 예제질서 / 소명출판
[journal] 韓明基 / 1999 / 임진왜란 시기 ‘再造之恩’의 형성과 그 의미 / 東洋學 /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9
[journal] 韓明基 / 2000 / 명청교체기 동북아 질서와 조선 지배층의 대응 / 역사와현실 / 한국역사연구회 37
[journal] 韓明基 / 2000 / 조선과 명의 사대관계 / 역사비평 / 역사비평사 50
[journal]
한명기
/ 2004
/
The Shift From Ming To Qing in 16, 17th Centuries and The Chosun Korea
/ 명청사연구
/ 명청사학회
(22)
: 37~64
[journal]
한명기
/ 2007
/
Political roles and significances of 'Chaejochieun' in late Chosun Korea
/ 대동문화연구
/ 대동문화연구원
(59)
: 191~230
[journal] 韓明基 / 2009 / 원명교체, 명청교체와 한반도 / 세계정치12 /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30(2)
[book] 韓明基 / 2010 / 조선의 통치철학 / 푸른역사
[journal]
한성주
/ 2007
/
A Study on the Jurchens who were dually appointed from both Chosun and Ming in the Early Chosun Dynasty
/ 조선시대사학보
/ 조선시대사학회
(40)
: 5~44
[journal]
허태구
/ 2010
/
Developments of the Negotiation Path of Truce during Byeongja Horan and Joseon's Reaction
/ 조선시대사학보
/ 조선시대사학회
(52)
: 51~88
[journal]
허태구
/ 2012
/
Joseon’s Defense Plan against the Hu'geum(後金[Qing,淸]) forces, and the plan’s flaws, during King Injo/仁祖’s reign -Examination of tactics displayed in fortress defenses[守城]-
/ 조선시대사학보
/ 조선시대사학회
(61)
: 79~114
[journal]
허태구
/ 2013
/
Choi Myeong-gil(崔鳴吉)’s argument of supporting the pursuit of peace with the enemy(主和論), and the issue of Daemyeong Euiri(對明義理)
/ 한국사연구
/ 한국사연구회
(162)
: 87~122
[journal]
허태구
/ 2014
/
Kim Seong-il(金誠一)’s call for troops(Cho’yu, 招諭), and the rise of the righteous militia(義兵) in the Gyeongsang Wu-do province
/ 南冥學硏究
/ 경남문화연구원
(41)
: 27~60
/ http://dx.doi.org/10.14381/NMH.2014.41.03.30.27
[book] 許泰玖 / 2015 / 조선의 국가의례, 五禮 / 국립고궁박물관
[journal]
허태구
/ 2015
/
A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Byeongja Ho’ran(丙子胡亂) war, and Prospect for future approaches: Examination of the “Cheok’hwa” Ideas’ Nature that prevailed during the war, and trying to understanding them with appreciation of the ‘Nature of the Period’
/ 규장각
/ 규장각한국학연구원
(47)
: 163~200
[journal]
허태구
/ 2017
/
A Critical Review on Inaba Iwakichi's Study of the Jeongmyo Ho’ran(丁卯胡亂, Manchu's invasion in 1627) and the Byeongja Ho’ran(丙子胡亂, Manchu's invasion in 1636)
/ 조선시대사학보
/ 조선시대사학회
(81)
: 7~48
[book] 許泰玖 / 2017 / 나의 자료읽기, 나의 역사 쓰기 / 경인문화사
[report] 瀧澤規起 / 2003 / 批評と紹介-韓明基著『壬辰倭亂と韓中關係』 / 千葉大学大学院社会
[journal] 鈴木開 / 2017 / 丙子の乱直前の朝淸交涉について(1634-1636) , / 駿台史学 / 駿台史学会 15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