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thesis]
김경희
/ 1993
/ 어은보 소재 우조낙시조 연구
/ M
/ 서울대 대학원
[book]
김대행
/ 1986
/ 시조유형론
/ 이화여대출판부
[book]
김만수
/ 1995
/ 열린 형식, 여백의 미학(다섯 빛깔의 언어풍경)
/ 동학사
[journal]
김수경
/ 2003
/ 시조에 나타난 병렬법의 시학
/ 한국시가연구
[thesis]
김우진
/ 1984
/ 가곡 계면조의 농과 낙에 관하여
/ M
/ 서울대 대학원
[journal]
김정례
/ 1996
/ 하이쿠 문예에 나타나는 애매성의 구조와 특질에 관한 고찰
/ 일본어문학
[journal]
성기옥
/ 1989
/ 용비어천가의 문학적 성격
/ 진단학보
/ 진단학회
(67)
[book]
시집간행편집위원회
/ 2001
/ 우리시대 현대시조 100인선
/ 태학사
[book]
이어령
/ 2003
/ 축소 지향의 일본인
/ 문학사상사
[book]
이택후
/ 1990
/ 화하미학
/ 동문선
[journal]
이호
/ 2004
/ 道에 이르는 道를 이르는 詩
/ 열린시학
(33)
[book]
임선묵
/ 1983
/ 노산론(노산의 문학과 인간)
/ 횃불사
[book]
장경렬
/ 2002
/ 사설시조의 어제와 오늘(만해축전)
/ 만해사상실천선양회
[journal]
정양
/ 2001
/ 시조시인 조운과 탱자의 꿈
/ 유심
(여름)
[book]
전이정
/ 2004
/ 순간 속에 영원을 담는다: 하이꾸이야기
/ 창작과비평사
[book]
조윤제
/ 1948
/ 한국시가의 연구
/ 을유문화사
[book]
최준식
/ 2000
/ 한국미, 그 자유분방함의 미학
/ 효형출판
[thesis]
홍성란
/ 2004
/ 시조의 형식실험과 현대성의 모색양상 연구
/ D
/ 성균관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