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ournal of Humanities 2022 KCI Impact Factor : 0.53
Creation Methods and Tragic Romanticism Revealed in the Structure of Geumo-sinhwa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826 Viewed
251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14)
열림/닫힘 버튼[book] 강동엽 / 2008 / 조선지식인의 문학과 현실인식 / 박이정 : 309~330
[journal] 권순긍 / 1985 / 金鰲新話의 비현실성과 梅月堂의 비극적 세계관 / 성대문학 / 성균관대 국어국문학과
[journal] 김광순 / 1999 / 금오신화의 연구사적 검토와 쟁점 / 어문논총 / 경북어문학회 33
[book] 김광순 / 1991 / 김시습론. in: 한국문학작가론 / 현대문학사
[book] 김시습 / 1959 / 금오신화 / 통문관
[book] 김시습 / 1973 / 매월당 전집 / 대동문화연구원
[journal] 김창진 / 1983 / 금오신화의 순환체계 연구(1) / 국제어문 / 국제대학 국어국문학화 4
[journal]
김창현
/ 2006
/
Buddhism and Transcendence of Tragic expressed in Manboksa-jeopo-gi
/ 불교학보
/ 불교문화연구원
(44)
: 247~265
[journal]
김창현
/ 2009
/
The Pedigree and Aesthetic Characteristic of Korean Hero Tragic Novel
/ Comparative Korean Studies
/ 국제비교한국학회
17(1)
: 325~353
[book] 김창현 / 2002 / 한일소설형성사-자본이 이상을 몰아내다 / 책세상 : 74~75
[book] 김태준 / 1939 / 조선소설사 / 학예사 : 58~59
[journal] 문영오 / 1987 / 금오신화에 굴절된 한의 고찰-만복사저포기ㆍ이생규장전ㆍ취유부벽정기를 중심으로- / 한국문학연구 /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10
[book] 박일용 / 1993 /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/ 일지사
[book] 박희병 / 1997 / 금오신화 창작의 연원과 배경. in: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/ 돌베개
[thesis] 설중환 / 1983 / 금오신화 신연구 / 박사 / 고려대
[book] 소인호 / 2002 / 금오신화 연구의 성과와 전망. in: 고소설연구사 / 월인
[book] 오대혁 / 2007 / 금오신화와 한국소설의 기원 / 역락 : 47~218
[thesis] 임형택 / 1971 / 현실주의적 세계관과 금오신화 / 석사 / 서울대
[journal] 정규복 / 1991 / 금오신화의 연구사 / 국어국문학연구 / 원광대 14
[journal]
정환국
/ 2002
/
The Intention and Principle of Expressions Appeared in Geumoshinhwa and Chondeungshinhwa
/ 고전문학연구
/ 한국고전문학회
22
: 11~334
[book] 조동일 / 1977 / 한국소설의 이론 / 지식산업사
[book] 조윤제 / 1948 / 국문학사 / 동국문화사 : 122~123
[journal] 최삼룡 / 1980 / 금오신화의 구조적 특질 / 국어국문학 / 전북대 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