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journal]
강수택
/ 2000
/ 근대, 탈근대, 지식인
/ 한국사회학
34
: 507~529
[book]
김경일
/ 2007
/ 이재유 : 나의 시대 나의 혁명
/ 푸른역사
[journal]
김철
/ 1995
/ 친일문학론: 근대적 주체의 형성과 관련하여-이광수와 백철의 경우
/ 민족문학사연구
8
(1)
[journal]
김현경
/ 2008
/
'Debt to the people' : A reappraisal of the literacy campaigns in the early 1930s
/ 언론과 사회
/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
16
(3)
: 50~91
[book]
닐 하딩
/ 1987
/ 러시아 맑스주의
/ 거름
[book]
배성찬
/ 1987
/ 식민지시대 사회운동론연구
/ 돌베개
[journal]
이구표
/ 1998
/ 그람시의 헤게모니 이론에 있어서 유기적 지식인의 이중적 성격
/ 통일문제와 국제관계
(10)
: 180~185
[book]
이반송
/ 1986
/ 식민지시대 사회운동
/ 한울림
[book]
이혜령
/ 2008
/ 근대지식으로서의 사회주의
/ 깊은샘
: 117~154
[journal]
임경석
/ 2003
/
The change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and the response of Korean New Intellectuals in the early 20th century.
/ 대동문화연구
/ 대동문화연구원
43
: 1~25
[book]
조남현
/ 1984
/ 한국지식인소설연구
/ 일지사
[thesis]
조형렬
/ 2015
/ 1930년대 조선의 ‘역사과학’에 대한 학술문화운동론적 분석
/ 박사
/ 고려대
[journal]
채석진
/ 2005
/ 제국의 감각 : ‘에로 그로 넌센스’
/ 페미니즘연구
(5)
: 43~87
[thesis]
崔圭鎭
/ 1997
/ 코민테른 6차대회와 조선 공산주의자들의 정치사상 연구
/ 박사
/ 成均館大學校 大學院
[journal]
허민
/ 2013
/
HOSTILITY AND SOLIDARITY: ESTABLISHMENT OF 'HWALJAJUNSUN(活字戰線)' AND SOCIALISM OF PLURAL IN 1930'S
/ 민족문학사연구
/ 민족문학사학회
(53)
: 73~110
[journal]
허수
/ 2009
/
The Spread of the Argument of Reconstruction after World War I and Korean Elites
/ 한국근현대사연구
/ 한국근현대사학회
(50)
: 37~5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