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ournal of Humanities 2022 KCI Impact Factor : 0.53
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Vocabulary Items in Standard Korean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243 Viewed
2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1)
열림/닫힘 버튼[book] 국립국어연구원 / 1999 / 표준국어대사전 / 두산동아
[book] 국립국어연구원 / 2000 / ≪표준국어대사전≫편찬 지침Ⅰ⋅Ⅱ / 국립국어연구원
[book] 국어연구소 / 1988 / 한글 맞춤법 해설 / 국어연구소
[book] 문세영 / 1950 / 조선어사전 / 영창서관
[book] 박재연 / 2010 / 필사본 고어사전 / 학고방
[book] 조선어학회 / 1936 / 사정한 조선말 표준말 모음 / 조선어학회
[book]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/ 1992 / 조선말대사전 / 사회과학출판사
[book] 운평어문연구소 / 1996 / 국어대사전 / 금성출판사
[book] 이희승 / 1961 / 국어대사전큰사전 / 민중서관
[book] 조선총독부 / 1920 / 조선어사전 / 아세아문화사
[book] 한글학회 / 1957 / 큰사전 / 한글학회
[book] 한글학회 / 1965 / 새한글사전 / 정양사/홍자출판사
[book] 한글학회 / 1980 / 한글 맞춤법 / 한글학회
[book] 한글학회 / 1992 / 우리말큰사전 / 어문각
[journal] 강창석 / 한글과 한글 표기법 이론의 체계화에 대하여 / 국어학 25 : 165~197
[journal]
구본관
/ 2008
/
A study on the contents of teaching Korean orthography - Focusing on the principle of Korean orthography -
/ 국어교육
/ 한국어교육학회
(127)
: 195~232
[journal]
김도경
/ 2012
/
The idea of standard Language and the birth of ‘dialect'
/ 어문학
/ 한국어문학회
(117)
: 339~359
[journal] 김주필 / 1992 / 국어 표기사에 있어서 역사성의 인식 / 어학연구 / 서울대어학연구소 28(3) : 399~425
[journal] 김주필 / 2005 / 한글 맞춤법 원칙의 특성과 의미 / 어문학논총 / 국민대어문학연구소 24 : 87~107
[book] 김창섭 / 1996 / 국어의 단어 형성과 단어 구조 연구 / 태학사
[book] 미쓰이다카시 / 2013 / 식민지 조선의 언어 지배 구조 / 소명출판
[book] 민족문학사연구소 기초학문연구단 / 2004 /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문학 장의 재발견 / 소명출판
[book] 민현식 / 1999 / 국어 정서법 연구 / 태학사
[journal]
민현식
/ 2008
/
A Systematic Approach for Teaching Korean Orthography : An Essay on the Establishment of Correlation between Korean Grammar and Korean Orthography
/ 국어교육연구
/ 국어교육연구소
(21)
: 7~75
/ 10.17313/jkorle.2008..21.7
[confproc] 박창원 / 2007 / 한글 맞춤법 총칙 제1항의 음운론 / 국어학회 제34회 전국학술대회 발표문 : 175~180
[journal]
배주채
/ 2003
/
The Word-initial Rule and the Structures of Sino-Korean Words
/ 어문연구(語文硏究)
/ 한국어문교육연구회
31(3)
: 31~50
[book] 배주채 / 2003 / 한국어의 발음 / 삼경문화사
[journal] 안병희 / 1988 / 한글 맞춤법의 역사 / 국어생활 / 국어연구소 13 : 8~16
[book] 연규동 / 1998 / 통일 시대의 한글 맞춤법 / 박이정
[book] 유필재 / 2006 / 서울 방언어의 음운론 / 월인
[book] 이기문 / 1963 / 국어 표기법의 역사적 연구 / 한국연구원
[book] 이병근 / 2000 / 한국어 사전의 역사와 방향 / 태학사
[book] 이선웅 / 2017 / 한국어정서법 / 사회평론
[book] 이익섭 / 1992 / 국어 표기법 연구 / 서울대출판부
[book] 이진호 / 2008 / 통시적 음운 변화의 공시적 기술 / 삼경문화사
[journal] 이현희 / 1989 / 한글의 운용과 한글 맞춤법 / 문학과 사회 / 문학과지성사 2(2) : 776~790
[journal] 지성사 / 1993 / 한글 맞춤법의 성립 과정 / 주시경학보 / 주시경연구소 12 : 174~184
[book] 이희승 / 1946 / 한글 맞춤법 통일안 강의 / 동성사
[book] 이희승 / 2015 / 개정 한글 맞춤법 강의 / 신구문화사
[journal] 정희창 / 2000 / ≪표준국어대사전≫에 반영된 어문 규범의 원리와 실제 / 새국어생활 / 국립국어연구원 10(1) : 41~54
[journal]
정희창
/ 2010
/
A study on the relationship and contents of othography, dictionary, and grammar.
/ 한국어학
/ 한국어학회
47
: 235~260
[journal]
정희창
/ 2010
/
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Orthography of ‘돼’.
/ 한국어학
/ 한국어학회
49
: 389~403
[journal]
정희창
/ 2011
/
The Historical Notations and Learning Method of Korean Orthography
/ 문법 교육
/ 한국문법교육학회
14
: 99~122
[journal]
정희창
/ 2011
/
The orthography and grammar of ‘budijchi-’, ‘budijhi-’
/ 대동문화연구
/ 대동문화연구원
(75)
: 479~496
/ 10.18219/ddmh..75.201109.479
[journal]
정희창
/ 2013
/
Grammat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Orthography
/ 반교어문연구
/ 반교어문학회
(34)
: 35~50
[journal]
정희창
/ 2014
/
Grammat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dictionary
/ 반교어문연구
/ 반교어문학회
(36)
: 5~28
[journal]
정희창
/ 2015
/
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tandard language -From “Pyojunmal moeum(1936)” to “Pyojungugeodaesajeon(1999)”
/ 반교어문연구
/ 반교어문학회
(39)
: 305~332
[journal] 최전승 / 2001 / 1930년대 표준어의 선정과 수용 과정에 대한 몇 가지 고찰, - “조선말 표준말 모음(1936)을 중심으로 - / 국어문학 / 국어문학회 36 : 235~311
[book] 한글학회 / 1980 / 한글 맞춤법 / 한글학회
[book] 허명희 / 1995 / SAS 범주형 자료 분석 / 자유아카데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