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ournal of Humanities 2022 KCI Impact Factor : 0.53
Another Method for Remembering and Representing the Jeju April 3 Incident - Focusing on the Documentary Film “Jeju Prayer” -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413 Viewed
2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2)
열림/닫힘 버튼[other] / 2013 / 비념 / 임흥순 감독
[book] 니콜러스 로일 / 2007 / 자크 데리다의 유령 / 앨피
[book] 발터 벤야민 / 2008 /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/폭력비판을 위하여/초현실주의 / 길
[book]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/ 2010 /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 / 혜안
[book] 알라이다 아스만 / 2011 / 기억의 공간 / 그린비
[book] 역사문제연구소 / 1999 / 제주4⋅3연구 / 역사비평사
[book] 자크 데리다 / 2007 / 마르크스의 유령들 / 이제이북스
[book] 전진성 / 2005 /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/ 휴머니스트
[book] 조르조 아감벤 / 2008 / 호모 사케르 / 새물결
[journal]
강소희
/ 2015
/
Writing Actualizing Historical Death ‐ Focusing on In hoon Choi’s A Letter of the Sea ‐
/ 한국언어문학
/ 한국언어문학회
(93)
: 261~281
[journal]
김석
/ 2012
/
L'absence de deuil et l'échec du désir
/ 민주주의와 인권
/ 5.18연구소
12(1)
: 57~83
[journal]
김유경
/ 2018
/
A Study of the Trauma of Jeju 4‧3 Survivors
/ 노인복지연구
/ 한국노인복지학회
73(1)
: 343~359
[thesis] 김종철 / 2014 / 제주4·3사건 트라우마에 대한 문화적 기억과 영상적 재현 / 석사 / 중앙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김주현
/ 2016
/
Arts of Loss, Mourning, Remembrance
/ 철학논총
/ 새한철학회
86(4)
: 79~99
[journal]
김태훈
/ 2015
/
A Study on Cinematic Techniques of Film <Jeju Prayer> : Focusing on Still Life and Trace
/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
/ 방송·예술연구소
10(2)
: 147~169
[journal]
박태일
/ 2018
/
Lee Duk Koo in the North Korean ‘story of struggling’ during the independence period
/ 영주어문
/ 영주어문학회
38
: 93~130
/ http://dx.doi.org/10.30774/yjll.2018.02.38.93
[journal] 서용순 / 2011 / 바디우의 진리 철학과 세계의 전환 / 인문과학 / 경북대 인문학술원 23 : 54~71
[journal]
서용순
/ 2011
/
Etre, vérité et sujet dans la philosophie d'Alain Badiou : autour de L'être et l'événement
/ 철학논집
/ 철학연구소
27
: 79~115
/ 10.17325/sgjp.2011.27..79
[journal]
손은하
/ 2016
/
Local Memories in Reproduced Images-Focused on Films Jiseul and Jeju Prayer
/ 동북아 문화연구
/ 동북아시아문화학회
1(48)
: 189~207
/ 10.17949/jneac.1.48.201609.011
[journal]
송영민
/ 2017
/
A Study on Existential Authenticity in Dark Tourism : The Concept of Death
/ 관광연구
/ 대한관광경영학회
32(3)
: 1~16
[journal] 신은실 / 2013 / 4⋅3의 기억과 인식, 재현-<비념> / 독립영화 / 한국독립영화협회 43 : 116~126
[journal]
신진욱
/ 2009
/
Historicity of Life and the Nacherleben - The Theory of Meaning and the Methodology of Hermeneutical Reconstruction in Wilhelm Dilthey's Geisteswissenschaften -
/ 담론201
/ 한국사회역사학회
12(1)
: 105~131
/ 10.17789/discou.2009.12.1.005
[journal]
왕은철
/ 2012
/
Freud’s and Derrida’s Theories of Mourning: “I Mourn Therefore I Am”
/ 영어영문학
/ 한국영어영문학회
58(4)
: 783~807
/ 10.15794/jell.2012.58.4.010
[journal] 이도담 / 2017 / 문화적 기억과 장소에 관한 성찰 / 철학과 문화 /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36 : 70~91
[thesis] 이승민 / 2015 /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공간성 연구 / 박사 / 중앙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임정택
/ 2017
/
Genocide Films and Social Healing -focusing on Documentary of Joshua Oppenheimer
/ 탐라문화
/ 탐라문화연구원
(54)
: 105~141
[journal]
장우진
/ 2014
/
Jiseul as Their Own Story about Folktales, Land, and Motherhood
/ 현대영화연구
/ 현대영화연구소
10(1)
: 111~134
/ 10.15751/cofis.2014.10.1.111
[journal] 장혜원 / 2014 / 다크투어리즘의 고유성에 관한 연구 / 제주관광학연구 / 제주관광학회 17 : 66~89
[thesis] 현혜경 / 2008 / 제주4·3사건 기념의례의 형성과 구조 / 박사 / 전남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홍기숙
/ 2015
/
Le concept de la vérité, de l’événement et du sujet chez Alain Badiou
/ 해석학연구
/ 한국해석학회
(36)
: 361~388
[journal]
황인성
/ 2014
/
On the Film <Jiseul> As a ‘Memory’ and the Memory of <Jiseul>
/ 한국소통학보
/ 한국소통학회
(23)
: 347~37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