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Meaning and Publicity of the Gugeo-Sunhwa (purification) Policy
[book] 국립국어연구원 / 2002 / 남북 언어 순화 자료집 1 / 국립국어원
[book] 국립국어연구원 / 2003 / 국어 순화 자료 합본 / 국립국어원
[book] 국립국어원 / 2009 / 공공기관 서식·문서의 국어 사용 실태 조사 / 국립국어원
[book] 국립국어원 / 2011 / 요긴하게 쓸 만한 다듬은 말 61개 / 국립국어원
[book] 국립국어원 / 2013 / 2013년 행정기관 공공언어 진단 및 진단 자동화 도구 개발 / 국립국어원
[report] 국립국어원 / 2014 / 중앙 행정 기관의 전문 용어 개선 지원 및 순화어 정비 연구 / 국립국어원
[report] 국립국어원 / 2010 / 공공언어 개선의 정책 효과 분석 / 국립국어원
[book] 문교부 / 1948 / 우리말 도로 찾기 / 조선교학도서주식회사
[book] 문교부 / 1956 / 우리말 말수 사용의 잦기 조사 / 문교부
[book] 오양열 / 2013 / '남북기본합의서' 문화분야 후속의제 개발 및 단계별 협력방안 연구 / 문화체육관광부
[book] 문화체육관광부 / 2014 / 쉬운 공공언어 쓰기 길잡이 / 국립국어원
[book] 임영호 / 2012 / (2012) 세계법제연구보고서 / 법제처
[book] 한국교열기자회 / 1994 / 신문․방송 보도 용어 순화 자료집 / 한국교열기자회
[book] 한국정신문화연구원 / 1979 / [단행본] 歌辭文學大系 : 閨房歌辭Ⅰ . 3 / 한국정신문화연구원
[journal] 강신항 / 1988 / 한자어 사용의 현실과 처리 문제 / 국어생활 / 국어연구소 (14) : 14~24
[journal] 강신항 / 2004 / 외래어가 국어에 끼친 공과 / 새국어생활 / 국립국어원 14 (2) : 23~57
[journal] 강인선 / 1988 / 일본의 국어 순화 정책 / 국어생활 / 국어연구소 (14) : 108~114
[journal] 고성환 / 2011 / 국어 순화의 역사와 전망 / 새국어생활 / 국립국어원 21 (2) : 5~18
[journal] 권재일 / 2005 / 국어 순화에 대하여(국어 순화 좌담회) / 새국어생활 / 국립국어원 15 (1)
[journal] 김민수 / 1988 / 국어 순화 운동에 대하여 / 국어생활 / 국어연구소 (14) : 4~13
[book] 김민수 / 1973 / 국어 정책론 / 탑출판사
[book] 김석득 / 1979 / 국어의 순화와 교육 / 한국정신문화연구원 : 7~34
[journal]
김선철
/ 2009
/
On the Concept and New Direction of ‘Gugeo Sunhwa’(Korean language purification/refinement)
/ 사회언어학
/ 한국사회언어학회
17
(2)
: 1~23
[other] 김 억 / 1931 / 언어의 순수를 위하여 / 동아일보
[journal] 김하수 / 2011 / 국어 순화의 비판적 대안 / 새국어생활 / 국립국어원 21 (2) : 123~135
[confproc] 남기심 / 2003 / 국어 순화와 관련하여 / 국어 순화 실천 방안 마련을 위한 학술 대회 / 국립국어연구원 : 9~11
[report] 민현식 / 2003 / 국어 순화의 국어학적 연구, 국어 순화 정책 연구 보고서 / 국립국어연구원 : 33~212
[book] 박갑수 / 1979 / 국어의 순화와 교육 / 한국정신문화 연구원
[journal] 박병채 / 1977 / 국어 순화 운동의 실천 방안에 대한 연구" / 민족문화연구 / 고려대학교 11
[journal] 박용찬 / 2010 / 국어 순화 논의의 성과와 한계 / 새국어생활 / 국립국어원 20 (4) : 127~145
[journal] 박용찬 / 2011 / 누리꾼 참여형 국어 순화 방식의 성과와 개선 방향 / 새국어생활 / 국립국어원 21 (2) : 19~59
[journal] 서정수 / 1988 / 서구 외국말의 문제 / 국어생활 / 국어연구소 (14) : 35~45
[journal] 송 민 / 1988 / 국어에 대한 일본어의 간섭 / 국어생활 / 국어연구소 (14) : 25~34
[journal] 송철의 / 1988 / 외래어의 순화 방안과 수용 대책 / 새국어생활 / 국립국어원 8 (2) : 21~40
[journal] 이남호 / 2005 / 국어 순화는 국어 풍요가 되어야 한다 / 새국어생활 / 국립국어원 15 (1) : 7~17
[journal] 이동석 / 2011 / 국어 순화 결과 분석 및 방법론 제언 / 새국어생활 / 국립국어원 21 (2) : 61~84
[journal]
이정복
/ 2003
/
Sociolinguistic Analysis of the Problems in Korean Refinement
/ 사회언어학
/ 한국사회언어학회
11
(2)
: 187~214
[journal] 이희승 / 1947 / 국어 교육의 당면 문제 / 조선교육 1 (1)
[journal]
임상혁
/ 2008
/
日本式法律用語の整備と課題 (A Study on the Reformation of the Legal Terms in Japanese Style)
/ 법과사회
/ 법과사회이론학회
(35)
: 181~200
[book] 정재도 / 1999 / 국어사전 바로잡기 / 한글학회 한글재단
[journal]
정재환
/ 2012
/
Recovery Campaign of Mother Tongue and Its Result after Korean Liberation
/ 한글
/ 한글학회
(296)
: 151~196
[journal]
정희창
/ 2015
/
Lessons from the purification Policy of Korean language
/ 한국어학
/ 한국어학회
67
: 89~104
[journal]
조태린
/ 2019
/
Linguistic Purism and Korean Language Purification in Korea
/ 어문학
/ 한국어문학회
(144)
: 115~139
/ 10.37967/emh.2019.06.144.115
[journal]
최경봉
/ 2017
/
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National(Korean) Language Consciousness after Liberation –With a focus on the contexts in which the nationalistic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was inherited and changed
/ 한국어학
/ 한국어학회
74
: 199~232
/ http://dx.doi.org/10.20405/kl.2017.02.74.199
[report] 최용기 / 2003 / 국어 순화 정책 연구 보고서 / 국립국어연구원
[book] 최현배 / 1953 / 우리말 존중의 근본 뜻 / 정음사
[confproc] 한재영 / 2003 / 국어 순화, 왜 필요한가? / 국어 순화 실천 방안 마련을 위한학술 대회 / 국립국어연구원 : 15~27
[journal] 허 웅 / 1977 / 국어 순화는 왜 해야 하며 어떻게 해야 하나?" / 민족문화연구 / 고려대학교 11
KCI Citation (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