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ournal of Asia-Pacific Studies 2021 KCI Impact Factor : 0.88
Collective Identity of North Korea and Social Integration Identity of Future Generations in Korean Peninsular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286 Viewed
66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9)
열림/닫힘 버튼[confproc] 강수택 / 1998 / 통독 후 동독지역 시민의 실업경험 및 노동관의 변화 / 한국사회학회 전기 사회학대회 발표문 요약집 / 한국사회학회
[book] 강원택 / 2007 / 국가정체성과 한국 민주주의 / 동아시아연구원 : 15~38
[confproc] 구수미 / 2004 / 1990년대 북한 여성의 삶과 의식. In 변화하는 북한, 변화하지 않는 북한 / 북한연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/ 북한연구학회
[journal]
김국현
/ 2003
/
A Proposal for the Psycholgical Interg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in the Unification Korea
/ 통일정책연구
/ 통일연구원
12(2)
: 141~183
[report] 김병로 / 1994 / 주체사상의 내면화 실태 / 민족통일연구원
[report] 김병로 / 2000 / 북한 사회의 종교성: 주체사상과 기독교의 종교양식 비교 / 통일연구원
[confproc] 김병로 / 2015 / 한국 사회의 이념갈등-평화적 공존의 길, In 평화에 대한 기독교적성찰 Ⅲ-한국사회와 평화 / 한반도평화연구원 : 13~37
[journal] 길은배 / 2001 / 남북한 청소년 교류, 협력과 NGO / 한국청소년연구 /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2 : 131~156
[journal]
김성경
/ 2015
/
North Korean Younger Generation’s ‘Mind’ and Cultural Practices: the Hybridized Identity of the ‘In-between’ Generation
/ 통일연구
/ 통일연구원
19(1)
: 5~39
[journal]
김하영
/ 2005
/
A Study of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in Early North Korea
/ 북한연구학회보
/ 북한연구학회
9(1)
: 23~50
[journal] 김혜숙 / 1999 / 집단 범주에 대한 고정관념, 감정과 편견 / 한국심리학회지: 사회및 성격 13(1) : 1~33
[journal] 나은영 / 1998 / 한국 문화의 이중성과 세대차의 근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및 기존 조사 자료 재해석 / 사회문제 4(1) : 75~93
[book] 류경남 / 2006 / 가족상담심리용어사전 / 학지사
[journal] 민성길 / 1998 / 통일 이후 예상되는 북한 주민의 문화 충격 및 적응 문제 / 통일이후 1 : 69~106
[confproc] 민성길 / 1995 / 사람의 통일: 정신의학적 접근 /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개원 심포지엄 발표 논문집 /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
[report] 박영호 / 1994 / 통일 이후 국민통합방안 연구 / 민족통일연구원
[book] 박재환 / 1999 / 북한 유치원 교육론 / 형설출판사
[journal]
박종일
/ 2008
/
Essentialism and Constructivism in Group Identity Studies: Examination of ‘Nation’ and ‘Age Groups’ in Korea.
/ 사회와 이론
/ 한국이론사회학회
(13)
: 185~212
[journal] 배규한 / 2000 / 남북한 사회통합의 과제와 전망 / 제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논집 11(1) : 364~368
[book] 서동만 / 2005 / 북조선사회주의 체제성립사 1945-1961 / 선인
[book] 손기웅 / 2007 / 통합정책과 분단국 통일: 독일사례 / 통일연구원
[journal] 오경섭 / 2013 / 10대 원칙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정치적 의미 / 정세와 정책 9 : 12~14
[journal]
윤철기
/ 2014
/
The Lesson for the Mind Integration between North-South Korea of ‘die Innere Einheit’ of Germany
/ 현대북한연구
/ 심연북한연구소
17(2)
: 9~43
[thesis] 이승목 / 2006 / 북한 집단주의의 형성 및 변천에 관한 연구 / 박사 / 동국대학교 대학원
[book] 이종석 / 2000 /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/ 역사비평사
[thesis] 이현주 / 2011 / 북한의 집단주의 특성요인과 심리적 분석에 관한 연구 / 박사 / 고려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이현주
/ 2011
/
A Study on Psychological Factors of Collectivistic Political Socialization in North Korea
/ 북한연구학회보
/ 북한연구학회
15(2)
: 291~325
[journal]
이현주
/ 2012
/
A Research and Study on Sustenance and Change of Loyalty in North Korea after the Economic Crisis
/ 북한연구학회보
/ 북한연구학회
16(2)
: 135~171
[journal]
이현주
/ 2013
/
A Study on Political Separation and Anxiety Consciousness of North Korea Inhabitants through the Eyes of Inhabitants Separated from the System
/ 북한연구학회보
/ 북한연구학회
17(1)
: 147~177
[confproc] 이현주 / 2015 / 김일성 유일사상체계 집단정체성에 대한 조사 연구 / 북한연구학회 동계학술회의 자료집 / 북한연구학회
[confproc] 이현주 / 2015 / 탈북청소년과 미래세대의 통합 / 제11회 DMZ 국제평화심포지엄자료집 / DMZ학술원
[journal] 전상인 / 1994 / 베트남에서의 시민사회 성장: 계급관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/ 민족과 문화 2 : 137~157
[report] 전성우 / 1997 / 통일독일의 사회통합. 남북한 사회통합: 비교사회론적 접근 / 민족통일연구원
[book] 전숙자 / 1997 / 통일연구원 학술회의 총서 / 통일연구원 : 77~127
[journal] 전우택 / 1997 / 난민들의 정신건강과 생활 적응에 대한 고찰 및 한반도 통일 과정에서의 전망과 대책 / 신경정신의학 36(1) : 1~3
[journal] 전우택 / 1997 / 탈북자들의 주요 사회 배경에 따른 적응과 자아정체성에 관한연구 / 통일연구 1(2) : 106~167
[journal] 전우택 / 2000 / 집단기억 현상을 통하여 본 북한 사회 이해 / 사회정신의학 5(2) : 179~196
[book] 전우택 / 1996 / 탈북자의 삶, 문제와 대책 / 도서출판오름 : 35~38
[confproc] 전태국 / 2000 / 사회통합의 전망과 과제 /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/ 한국심리학회
[journal] 정태연 / 2000 / 남북통합의 사회심리학: 사회정체감과 집단 간 갈등을 중심으로 / 통일문제연구 12(1) : 268~284
[journal] 조용관 / 2002 / 북한체제 특이성의 역사문화적 가능조건에 관한 연구: 이데올로기교조화와 우상화, 세습화를 중심으로 / 북한연구학회보 6(2) : 147~168
[journal]
조용관
/ 2004
/
Study on the Political-Education in the N.K and N.K Refugees' Adjustment in the Society of S.K
/ 한국정치외교사논총
/ 한국정치외교사학회
25(2)
: 155~184
[book] 조정아 / 2010 / 북한 주민의 의식과 정체성: 자아의 독립, 국가의 그늘, 욕망의부상 / 통일연구원
[book] 조한범 / 2004 /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성격 연구: 비교사회주의론적 접근 / 통일연구원
[book] 조한혜정 / 2000 / 탈분단시대를 열며: 남과 북, 문화공존을 위한 모색 / 삼인
[journal] 차재호 / 2001 / 통일한국과 심리적 화합 / 심리과학 10(1) : 1~17
[journal]
최순종
/ 2014
/
Unification and integration concerning the Korean reunification -In matters of the German reunification
/ 남북문화예술연구
/ 남북문화예술학회
(15)
: 283~312
[book] 콜린 고든 / 1991 / 권력과 지식 / 나남출판
[confproc] 한성열 / 2000 / 북한의 문화적 특성과 남북한의 심리적 통일. In 남북한의 심리적통합 / 한국심리학회 : 131~153
[book] 헬무트 슈미트 / 2007 / 독일 통일의 노정에서 / 시와진실
[journal] 현성일 / 1997 / 북한 사회에 대한 노동당의 통제체계 / 북한조사연구 1(1) : 1~47
[book] Gordon, W. Allport / 1993 / 편견의 심리 / 성원사
[book] Hall, Stuart / 1996 / 스튜어트 홀의 문화이론 / 한나래
[book] W. 프란케나 / 1987 / 교육철학 / 이문출판사
[journal] Brubaker, Rogers / 2000 / Beyond Identity / Theory and Society 29(1) : 1~47
[journal] Cerulo, Karen A. / 1997 / Identity Construction: New Issues, New Directions / Annual Review of Sociology 23 : 385~409
[book] Habermas, J. / 1987 /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. Vol. 2 / Polity Press
[book] Henri, Tajfel / 1982 / Social Identity and Intergroup Relations / Cambridge University Press
[book] Lockwood, D. / 1964 / Explorations in Social Change / Routledge
[book] Melinda, Jones / 2002 / Social Psychology of Prejudice / Pearson Education
[journal] Placencia, Nathan / 2010 / Am I Who I Say I Am? Social Identities and Identification / Social Theory and Practice 36(4) : 643~660
[journal] Smith, A. D. / 1992 / National Identity and the Idea of European Unity / International Affair 68(1) : 1~23
[book] Stolorow, R. D. / 1987 / Psychoanalytic Treatment: An Intersubjective Approach Hillsdale / Analytic Press
[book] Walter, G. Stephan / 1999 / Reducing prejudice and stereotyping in schools / Teachers College Press
[other] / 2000 / 구조의 확대가 내적 통일을 즉각 수반하지 않는다 / 조선일보. 2000년 4월 29일
[other] / 2014 / 北, 핵개발 정당화 위해 자기 정체성과 외부 위협 활용했다 / 아세아경제. 2014년 10월 26일
[other] / 2011 / 북한의 상급학교 진학률 / 연합뉴스. 2011년 3월 22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