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2022 KCI Impact Factor : 3.63
A Study on Social Welfare Civic Education Program Analysis Based on Paulo Freire’s Theory: Focus on the Cas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Social Welfare Service Center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304 Viewed
96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1)
열림/닫힘 버튼[journal]
강대현
/ 2017
/
The Role of Social Science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itizenship Education
/ 시민교육연구
/ 한국사회과교육학회
49(3)
: 1~19
/ 10.35557/trce.49.3.201709.001
[web] 경기복지재단 / 2021 / 복지인재평생교육 / https://ggwf.gg.go.kr/business/busi004
[web] 국가법령정보센터 / 2021 / 평생교육법 / https://www.law.go.kr/LSW/lsInfoP.do?efYd=20210323&lsiSeq=230401#0000
[report] 권진욱 / 2016 / 시민사회의 시민교육 체계 구축 과정 연구: 독일, 프랑스, 스웨덴, 미국, 영국을 중심으로 /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
[book] 김영호 / 2000 / 자원봉사활동과 복지교육 : 더불어 사는 복지공동체를 위하여 / 학문사
[book] 김한수 / 2018 / 프레이리 선생님, 어떻게 수업할까요? / 지식을만드는지식
[web] 내가만드는 복지국가 / 2020 / 찾아가는 시민복지학교 / https://mywelfare.or.kr/2216
[book] 문혜림 / 2012 / 교육혁명가 파울로 프레이리 : 교육사상과 사회변혁론 / 학이시습
[other] 사단법인 마중물 / 2019 / 마중물 상상상지도
[web] 사회서비스 중앙지원단 / 2021 / 사회서비스원이란? / https://pass.or.kr/introduction-aboutus-background
[web] 서울복지시민연대 / 2021 / 서울복지아카데미 / http://seoulwelfare.org/biz6
[web] 선거연수원 / 2021 / 2021년도 민주시민교육 강사 양성과정 참여자 모집 / https://www.kdemo.or.kr/notification/press/page/1/post/550
[journal]
송훈섭
/ 2003
/
Critical Literacy Education of Freire and Geography Education
/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
/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
11(3)
: 4~64
[book] 신진욱 / 2010 / 시민 / 책세상
[thesis] 안승대 / 2002 / 남북한 교육이념의 분단구조적 특성과 통일국가의 교육이념 / 박사 / 영남대학교 대학원
[journal] 유범상 / 2018 / 프레이리의 시민교육과 사회복지실천 : 지역주민조직화를 중심으로 / 통합인문학연구 10(1) : 307~340
[book] 유범상 / 2019 / 사회복지개론 /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
[report] 유범상 / 2017 / 선배시민대학 실천론 개발 / 한국노인복지관협회
[report] 유범상 / 2018 / 사회권의 눈으로 본 인권: 2017년 직원 역량강화 교육 개발연구사업 / 국가인권위원회
[journal]
윤혜순
/ 2003
/
Development of Youth Welfare Education Theory
in Japan and its Problems
/ 청소년학연구
/ 한국청소년학회
10(4)
: 423~442
[thesis] 이수희 / 2006 / 초등학교 학교사회복지에 관한 연구 :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/ 석사 /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
[journal]
이은미
/ 2014
/
Significance of Lifelong Education for Citizenship Education: With a focus on Community-based Citizenship Education
/ 시민교육연구
/ 한국사회과교육학회
46(3)
: 195~221
[report] 이정진 / 2020 / 민주시민교육 현황과 개선과제 / 국회입법조사처
[other] 이해주 / 2010 / 시민교육 현장 지침서 2부: 시민교육의 의미와 방법 /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
[journal]
이해주
/ 2011
/
A study on the Paradigm shift toward Community based lifelong education
/ 평생학습사회
/ 원격교육연구소
7(1)
: 43~59
[report] 인천광역시사회서비스원 / 2021 / 시민력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교육 매뉴얼 연구보고서
[report] 인천광역시사회서비스원 / 2021 / 시민력 향상을 위한 학습동아리 운영 매뉴얼 연구보고서
[report] 인천광역시사회서비스원 / 2021 / 인복드림 시범사업 결과보고서
[journal]
임채광
/ 2020
/
A Study on the Value Conflict in Korean Society and Solutions throug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
/ 동서철학연구
/ 한국동서철학회
(96)
: 401~428
[journal]
정근식
/ 2013
/
Conceptual History of “Welfare”: From Social Work to Welfare
/ 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
/ 한국사회사학회
(98)
: 5~41
[journal]
정훈
/ 2015
/
A Study on Methodology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: Centered on Freinet and Freire
/ 한국교육학연구
/ 안암교육학회
21(2)
: 279~301
[journal]
조정봉
/ 2017
/
The Educational Practice of the ‘Cultural Circle’ Organized by Paulo Freire
/ 교육철학
/ 한국교육철학회
(63)
: 79~104
[book] 최장집 / 2007 / 어떤 민주주의인가 : 한국 민주주의를 보는 하나의 시각 / 후마니타스
[journal]
하승우
/ 2008
/
The Philosophical Origin of Grassroots Democracy in Korea
/ 기억과 전망
/ 한국민주주의연구소
(18)
: 40~72
/ http://dx.doi.org/
[web] / 2021 /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. 사회운동 / http://encykorea.aks.ac.kr/Contents/Item/E0026141
[book] 한숭희 / 2001 / 민중교육의 형성과 전개 / 교육과학사
[journal]
한양선
/ 2016
/
Explor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Paulo Freire’s Educational Practice Theory in Narrative Education
/ 인문사회 21
/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
7(1)
: 633~649
/ http://dx.doi.org/10.22143/HSS21.7.1.32
[journal] 현외성 / 1995 / 우리나라 복지교육의 모형설정과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: 중고등학교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/ 한국사회정책 2(1) : 273~318
[journal]
황미영
/ 2008
/
An Effect Analysis on the Social Welfare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
/ 청소년학연구
/ 한국청소년학회
15(3)
: 97~117
[other] Beveridge, W. H. / 1942 / Social insurance and allied services / H. M. S. O
[book] Freire P. / 1999 / Ideology matters / Rowman & Littlefield
[book] Freire, P / 2000 / 기꺼이 가르치려는 이들에게 보내는 편지: 프레이리의 교사론 / 아침이슬
[book] Freire, P / 2003 / 망고나무 그늘 아래서 / 아침이슬
[book] Freire, P / 2012 / 페다고지 / 그린비
[book] Freire, P / 2018 / 페다고지 50주년 기념판 / 그린비
[book] Freire, P / 2020 / 프레이리의 교사론: 기꺼이 가르치려는 이들에게 보내는 편지 / 오트르랩
[book] Freire, P. / 2006 / 우리가 걸어가면 길이 됩니다 / 아침이슬
[book] Friedland, W. A. / 1980 /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/ Prentice-Hall
[book] Fukuyama, F. Y / 1997 / 역사의 종말 / 한마음사
[book] Macedo, D / 2000 / 프레이리를 읽기 위하여. 기꺼이 가르치려는 이들에게 보내는 편지: 프레이리의 교사론 / 그린비
[book] Marshall, T. H / 2013 / 시민권과 복지국가 / 이학사
[book] Wilensky, H. L. / 1959 / Industrial society and social welfare / Russell Sage Foundati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