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2022 KCI Impact Factor : 3.63
News Big Data Analysis of ‘Maeul Learning Community’ Using Topic Modeling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298 Viewed
60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5)
열림/닫힘 버튼[book] 김경관 / 2018 / 경기꿈의학교 : 꿈을 품다, 미래교육을 열다 / 살림터
[journal]
김미향
/ 2020
/
An Exploration on the Concept of “Maeul Learning Community” Based on Partnership and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
/ 평생학습사회
/ 원격교육연구소
16(1)
: 27~52
/ https://doi.org/10.26857/JLLS.2020.2.16.1.27
[journal]
김언순
/ 2018
/
Application Plan to Utilize Community Resources for Connected ‘Education between School and Social institutions’: Focused on Two Autonomous Regions in Northeast Area of Seoul
/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
/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
18(22)
: 83~107
/ http://dx.doi.org/10.22251/jlcci.2018.18.22.83
[report] 김영철 / 2016 / 마을교육공동체 해외 사례 조사와 정책 방향 연구 / 경기도교육연구원
[journal]
김용련
/ 2015
/
A Theoretical Approach for Community-based Learning: Applying Principles from Complexity Science, Social Capital, and Educational Governance
/ 교육행정학연구
/ 한국교육행정학회
33(2)
: 259~287
[confproc] 김용련 / 2018 / 일본의 커뮤니티 스쿨: 지역 교육력을 바탕으로 한 마을공동체 살리기 / 2018 마을교육공동체 춘계학술대회: 마을교육공동체 운동의 세계적 동향과 과제 : 5~32
[book] 김용련 / 2019 / 마을교육공동체 : 생태적 의미와 실천 / 살림터
[book] 김위정 / 2016 / 자유학기제와 마을교육공동체 연계방안 / 경기도교육연구원
[thesis] 김정현 / 2019 / ‘마을교육공동체’ 사업 네트워크 구조와 성격에 관한 연구 : 경기도 S시 혁신교육지구사업을 사례로 / 석사 / 서울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김종선
/ 2015
/
An Exploratory Study on the Identity of the Village Schools based on a Conceptual Map
/ 평생교육학연구
/ 한국평생교육학회
21(2)
: 73~107
[thesis] 김주애 / 2018 / 마을 연계 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마을교육공동체 형성 가능성 검토 : 반월 중학교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/ 석사 /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
[journal]
김태종
/ 2019
/
An Analysis of Lifelong Education Topics by Using News Big Data
/ 평생교육학연구
/ 한국평생교육학회
25(3)
: 29~63
/ http://doi.org/10.52758/kjle.2019.25.3.29
[journal]
김향식
/ 2009
/
The Practical Implic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Community Schools: Focusing on the Cases of Lifelong Education Activities in Community Schools
/ 평생교육 · HRD연구
/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
5(1)
: 31~53
[thesis] 문보경 / 2021 /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체제 사례 분석 / 박사 / 제주대학교 대학원
[thesis] 박경민 / 2016 / 마을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실천 방안 연구 : 노원구 마을교육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/ 석사 /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
[journal]
박은주
/ 2020
/
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
/ 내러티브와 교육연구
/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
8(2)
: 35~58
[thesis] 박제명 / 2014 / 마을과 학교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공동체에 관한 사례연구 : 하늬교육마을을 중심으로 / 석사 /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배영주
/ 2019
/
Building and Operating the 'Village Education Community' Project as a Community of Practice
/ 교육문화연구
/ 교육연구소
25(3)
: 209~228
/ 10.24159/joec.2019.25.3.209
[journal]
배현순
/ 2019
/
The Effect of the Distributed Leadership of School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Maeul Educational Community on Resource-Linking Activity: With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Affection Experience and Sense of Community
/ 교육문화연구
/ 교육연구소
25(4)
: 299~325
[report] 서용선 / 2015 / 마을교육공동체 개념 정립과 정책 방향 수립 연구 / 경기도교육연구원
[report] 송두범 / 2016 / 충청남도 마을교육공동체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/ 충남연구원
[book] 심성보 / 2019 / 마을교육공동체운동: 세계적 동향과 전망 / 살림터 : 15~42
[journal]
양병찬
/ 2008
/
Creating the Education Community through the Cooperation of Rural Schools and Communities : Focusing the 'Pull-mu'school community in Chungnam Hong-dong Area
/ 평생교육학연구
/ 한국평생교육학회
14(3)
: 129~151
[journal]
양병찬
/ 2015
/
New Collaboration of the Community Building and Lifelong Education in Korea
/ 평생교육학연구
/ 한국평생교육학회
21(3)
: 1~23
[journal]
양병찬
/ 2018
/
A Study on the Interaction of the Maul Education Community Movement and Policy in Korea
/ 평생교육학연구
/ 한국평생교육학회
24(3)
: 125~152
/ http://doi.org/10.52758/kjle.2018.24.3.125
[report] 양병찬 / 2019 / 혁신교육지구 사례 분석을 통한 마을교육공동체 체제 구축 방안 연구 / 교육부
[report] 양병찬 / 2003 / 건강한 지역교육공동체 조성을 위한 지역사회학교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/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
[thesis] 유영란 / 2020 / 부산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실태 연구 / 석사 / 부경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/ 2019
/
A Case Study on a Foundation of Building Village Based Education of Community by the Activity Theory
/ 교육연구
/ 교육문제연구소
41(1)
: 125~144
[book] 이수상 / 2018 /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활용과 한계 / 도서출판 청람
[thesis] 임선이 / 2021 / 마을공동체 문화를 위한 마을활동가 역할 및 지원체계연구 :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/ 석사 / 전남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정은지
/ 2021
/
A Q-methodological Research on Activist’s Perceptions of Maeul Learning Community
/ 교육연구논총
/ 교육연구소
42(2)
: 139~168
/ 10.18612/cnujes.2021.42.2.139
[journal]
한송이
/ 2021
/
News Big Data Analysis of ‘Metaverse’ Using Topic Modeling Analysis
/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
/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
22(7)
: 1091~1099
[journal] 황규홍 / 2016 / 마을만들기 활동가의 역할정체성에 관한 연구 / 성인계속교육연구 7(1) : 26~46
[book] 황용석 / 2017 /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 / 커뮤니케이션북스
[confproc] 황호영 / 2019 / 미래교육체제와 마을교육공동체 / 2019 마을교육공동체 마을교사 양성과정 연구 / 공주대학교 평생교육원 : 5~17
[journal] Blei, D. M. / 2012 / Probabilistic topic models / Communication of the ACM 55(4) : 77~84
[confproc] Zhao, W. / 2015 / Best practices in building topic models with LDA for mining regulatory textual documents / CDER 9Th November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