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journal]
/ 1999
/ 서사민요에 나타나는 여성인물의 현실 대응양상과 그 의미: 시집살이 애정 갈등 노래류의 ‘여성적 말하기’방식을 중심으로
/ 한국구비문학회
9
: 97~130
[journal]
/ 2002
/ 여성민요 화자의 존재양상과 창자집단의 향유의식
4
: 5~32
[journal]
/ 1999
/ 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
/ 태학사
: 163 ~
[journal]
/ 1980
/ 규방가사 연구
/ 이우출판사
: 1~
[journal]
/ 2002
/ 규방가사의 작품세계와 미학
/ 역락
: 1~324
[journal]
/ 2000
/ 내방가사의 작품 세계와 사회적 성격
: 1~155
[journal]
/ 1996
/ 시집살이노래 연구
/ 박이정
: 3~83
[journal]
/ 2002
/ 우리 민요의 세계
/ 역락
: 1~512
[journal]
/ 2003
/ 조선후기 가사의 동향과 모색
/ 역락
: 1~413
[journal]
/ 1996
/ 한국여성가사연구
/ 국학자료원
: 1~318
[journal]
/ 2004
/ 가족의 변경에 서서 부르는 노래
/ 한국고전여성문학회
10
: 83~117
[journal]
/ 2002
/ 규방가사, 그 탄식 시편을 읽는 방법
/ 국제어문학회
25
: 1~24
[journal]
/ 2005
/ 규방가사에 나타난 ‘한’의 양상
/ 한국시가학회
18
: 241~297
[journal]
/ 고전여성시가 작가의 문학세계
/ 태학사
: 312~358
[journal]
/ 2005.6
/ 시집살이 노래에 관한 일고
/ 한국고전연구학회
11
: 264~291
[journal]
/ 2006.6
/ 시집살이’ 말하기에 나타난 균열된 여성의식 : 시집살이 체험담과 시집살이 노래를 중심으로
/ 한국여성연구원
23(1)
: 189~219
[journal]
/ 2006
/ 시집살이 노래 구연에 나타난 말하기 방식과 여성의식에 관한 연구
: 1~184
[journal]
/ 내방가사 향유자 연구
/ 박이정
: 1~388
[journal]
/ 1980-1988
/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
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