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Sexuality in <Byungangsoiga>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404 Viewed
109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16)
열림/닫힘 버튼[book] 김태준 / 1995 / 흥부전/변강쇠가 /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
[thesis] 서종문 / 1975 / 변강쇠歌 硏究 / 석사 / 서울대학교
[thesis] 박경신 / 1985 / 무속제의(巫俗祭儀)의 측면에서 본 <변강쇠가> / 석사 / 서울대학교
[journal] 이국자 / 1985 / 변강쇠가 - 해석시론 / 인문논총 /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5 : 147~178
[journal] 김종철 / 1986 / 19C. 판소리사와 <변강쇠가> / 고전문학연구 / 한국고전문학회 3 : 90~122
[journal] 정병헌 / 1986 / 변강쇠가에 나타난 신재효의 현실인식 / 한국언어문학 / 한국언어문학회 24 : 181~192
[journal] 전신재 / 1989 / <변강쇠가>의 비극성 / 선청어문 /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: 103~124
[journal] 박일용 / 1991 / <변강쇠가>의 사회적 성격 / 고전문학연구 / 한국고전문학회 6 : 170~200
[journal] 김종철 / 1993 / <변강쇠가>의 미적 특질 - 괴기미 추구와 관련하여 / 판소리연구 / 판소리학회 4 : 275~316
[journal] 이강엽 / 1993 / 신재효 <변강쇠가>의 性과 죽음의 문제 / 열상고전연구 / 열상고전연구회 6
[journal] 강진옥 / 1994 / 변강쇠가 연구 2 - 여성인물의 ‘쫓겨남’을 중심으로 / 이화어문논집 / 이화어문학회 13 : 197~217
[book] 성현경 / 1995 / 춘향전론 2 - <이고본 춘향전>의 축제적 구조와 의미, 문체와 작자 / 새문사 : 418~465
[journal] 박관수 / 1996 / <변강쇠가>의 음란성 재고 / 고소설연구 / 한국고소설학회 2 : 319~340
[book] 김종철 / 1996 / 판소리의 정서와 미학 / 역사비평사
[journal] 윤분희 / 1998 / <변강쇠전>에 나타난 여성인식 / 판소리연구 / 판소리학회 9 : 325~349
[journal] 이용은 / 1998 / 타이터스 앤드러니커스 - 남성에게 던지는 메두사의 시선 , 그리고 응시 / Shakespeare Review / 한국셰익스피어학회 34 : 255~285
[journal] 최혜진 / 1998 / <변강쇠가>의 여성중심적 성격 / 한국민속학 / 한국민속학회 30 : 387~412
[journal] 김경미 / 1999 / 고소설 남성 인물의 형상화-<변강쇠가>를 중심으로 / 이화어문논집 / 이화어문학회 17 : 75~91
[thesis] 정인혁 / 2000 / <변강쇠가>의 구조 연구 / 석사 / 서강대학교
[thesis] 서유석 / 2003 / <변강쇠가>에 나타난 기괴성의 구현 양상과 의미 / 석사 / 경희대학교
[journal]
정지영
/ 2003
/
"Byongangshoye-Jeon": Sexuality and the Lower Class Women in the Late Joseon
/ 역사비평
/ 역사문제연구소
(65)
: 352~370
[journal]
정하영
/ 2005
/
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Sexual Discourse in the Song of Byeon Gangsoe
/ 고소설연구
/ 한국고소설학회
(19)
: 168~198
[journal] 최경환 / 2006 / <변강쇠가> 연구 -선택과 배치의 담화전략 / 어문학논총 /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: 229~244
[journal]
김창현
/ 2006
/
Character Anaysis of ‘Depdgi’ in Byeonggangsoi-ga and Its Meaning
/ 국제어문
/ 국제어문학회
(38)
: 225~253
[journal]
이주영
/ 2008
/
Kang-soi's Figuration and its Hostile Meanings Expressed in <Byeonkangsoiga>
/ 어문논집
/ 민족어문학회
(58)
: 5~33
[journal]
박혜영
/ 2008
/
Femme et Mythe de la M?duse : Qui a peur de la M?duse?
/ 한국프랑스학논집
/ 한국프랑스학회
61
: 283~298
[journal]
이상구
/ 2009
/
고소설에 나타난 성담론과 그 지향
/ 어문론총
/ 한국문학언어학회
(50)
: 105~136
[journal]
이주영
/ 2009
/
A 'Grotesque and Strange Body' in <Byeunkangsoiga>
/ 고전과 해석
/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
6
: 47~75
[journal]
정환국
/ 2009
/
A study on the role of ‘Inconvenience’ in 19th-Century Korean literature: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Grotesque
/ 한국문학연구
/ 한국문학연구소
(36)
: 253~28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