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descriptive character of <Baby Hero> and the movie <Highlander>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376 Viewed
56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7)
열림/닫힘 버튼[journal]
강은해
/ 2009
/
The Transmission of Tales of Infant Heroes in East Asia and Their Significance in Social Education
/ 동북아 문화연구
/ 동북아시아문화학회
1(20)
: 145~163
[thesis] 강진옥 / 1980 / 한국 구비전설에 나타난 전승집단의 의식구조 연구 / 석사 / 이화여대학교
[journal] 강진옥 / 1983 / 설화에 나타난 진리 인식 -<거울을 보고 놀란 사람들>형과 <아이의 지혜>형을 중심으로 / 이화어문논집 / 이화어문학회 6 : 89~118
[thesis] 고정연 / 2007 / 설화의 통합적 교육방법 연구:아기장수 우투리를 중심으로 / 석사 / 고려대학교
[journal] 곽정식 / 1993 / 아기장수 전설과 洪吉童傳의 比較 考察 / 문화전통논집 / 경희대학교부설 한국학연구소 1 : 53~66
[journal]
권도경
/ 2007
/
A study on the aspects recostructing the baby-general legend and that meaning in the storytelling of the Backbum literature-contents
/ 국제어문
/ 국제어문학회
(41)
: 141~184
[journal] 김나영 / 2000 / 고전 서사문학에 나타나는 영웅적 특징과 그 의미 -주몽신화, 아기장수전설,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/ 돈암어문학 / 돈암어문학회 13 : 233~262
[thesis] 김영희 / 2009 / 비극적 구전서사의 연행과 ‘여성의 죄’ / 박사 / 연세대학교
[journal] 김영희 / 2000 / 아기장수이야기의 신화적 주제 탐색 / 구비문학연구 / 한국구비문학회 10 : 53~86
[thesis] 김영희 / 1999 / 아기장수 이야기의 전승력 연구:서사적 특성과 전승의미를 중심으로 / 석사 / 연세대학교
[journal]
김정애
/ 2009
/
The Epical Character of Oral Competition in <Baby-general> Folktale and The Meaning of Literary Therapy
/ 문학교육학
/ 한국문학교육학회
(29)
: 231~256
[journal] 김창현 / 2003 / 아기장수설화에 나타난 한국 민중들의 생명관 / 人文科學 /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3 : 105~121
[journal]
김창현
/ 2006
/
An Opin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gic Novel such as ‘Broken- down Hero’ and Understanding of its Lineage
/ 동아시아고대학
/ 동아시아고대학회
(13)
: 81~112
[journal]
박영호
/ 2011
/
Narrative strategy for modern transformation in Agijangsu Fable
/ 한국언어문화
/ 한국언어문화학회
(44)
: 207~230
[journal] 박유희 / 1999 / 金東里 소설에 나타난 아기장수설화의 變容과 意味 / 현대소설연구 / 한국현대소설학회 : 265~299
[journal] 박인구 / 1990 / 아기장수 傳說의 類型 硏究 / 숭실어문 / 숭실어문학회 7 : 135~155
[book] 박일용 / 2003 / 영웅소설의 소설사적 변모 / 월인
[journal] 신동흔 / 1990 / 아기장수 설화와 진인출현설의 관계 / 고전문학연구 / 한국고전문학회 5 : 103~127
[journal] 이미령 / 1997 / <아기장수이야기>에 있어서 힘의 관계구조와 문화적 의미해석 / 古典文學硏究 / 한국고전문학회 12 : 351~384
[journal] 이혜화 / 1983 / <아기장수 傳說>의 新考察 / 韓國民俗學 / 한국민속학회 16 : 265~285
[journal] 임철호 / 1997 /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 <홍길동전> / 구비문학연구 / 한국구비문학회 4 : 1~33
[journal] 임철호 / 1996 / 아기장수설화의 전승과 변이 / 구비문학연구 / 한국구비문학회 3 : 203~235
[journal] 장장식 / 1984 / <아기장수 전설>의 의미와 기능 / 국제어문 / 국제어문학회 5 : 37~54
[journal] 장장식 / 1991 / 설화에 나타난 민중의 고난과 극복 / 국제어문합집 / 국제어문학회 12 : 325~342
[journal] 장장식 / 1986 / 전설의 비극성과 상상력 / 한국민속학 / 한국민속학회 19 : 503~508
[thesis] 전수경 / 2007 / <아기장수 설화>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방안 연구 / 석사 / 인천대학교
[book] 정운채 / 2009 / 문학치료 서사사전(설화편)1,2,3 / 도서출파 문학과치료
[journal]
정운채
/ 2010
/
Literary Therapy and the Growthof the Epic of Self
/ 우리말교육현장연구
/ 우리말교육현장학회
4(2)
: 7~54
[journal]
정운채
/ 2011
/
The Epic and an Agent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and New Prospect in the Study of Literature
/ 문학치료연구
/ 한국문학치료학회
21
: 233~252
[journal] 천혜숙 / 1986 / 아기장수 전설의 형성과 의미 / 한국학논집 /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3 : 133~151
[journal]
한순미
/ 2009
/
The Tragic of Variations on Chu-young and Agi-Jangsu tale on Modernist works in 1960s and after
/ 한국언어문학
/ 한국언어문학회
(70)
: 403~4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