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book]
三說記
/ 1976
/ 韓國古典文學大系 第 13券 短篇小說選
/ 民衆書館
[book]
강혜선
/ 1998
/ 金鑢의 稗官小品文 연구,한국 고전 소설과 서사문화 上
/ 집문당
[book]
김동주
/ 1989
/ 삼설기에 나타난 삶의 인식
/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
[thesis]
김준형
/ 2003
/ 조선조 패설문학 연구
/ 박사
/ 고려대학교
[journal]
김준형
/ 2004
/ 패설에 그려진 기생
/ 한국학연구
(20)
[journal]
김현룡
/ 2004
/ 기녀설화변이 연구
/ 겨레어문학
33
[journal]
김현주
/ 2002
/
Isotopic Structure of Classical PoetryPansoriPainting for Manners in 18th Century
/ 한국시가연구
/ 한국시가학회
11
[thesis]
박영주
/ 1992
/ 판소리 ‘사설치레’연구
/ 박사
/ 성균관대학교
[book]
박일용
/ 1999
/ 三說記에 나타난 율문적 문체와 그 의미,in 장르교섭과 고전시가
/ 월인
[confproc]
심치열
/ 2009
/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본 고소설의 다양한 표출방식 -<채봉감별곡을 중심으로>
/ 고소설학회 84차 동계학술대회 발표문
: 2~
[journal]
안대회
/ 2001
/ 조선후기 소품문의 성행과 글쓰기의 변모
/ 한국한문학 연구
28
[journal]
윤주필
/ 2001
/
The several Problems in the study of relativity between the Old-Novel and the Folktale
/ 고소설연구
/ 한국고소설학회
(11)
: 5~30
[thesis]
이경숙
/ 1986
/ 삼설기 연구
/ 석사
/ 한양대학교
[book]
이영균
/ 1995
/ 삼설기 연구
/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
[journal]
이정원
/ 2001
/
Generic traits and Textual aspects of old Korean novel and Pansori
/ 고소설연구
/ 한국고소설학회
(11)
: 59~90
[journal]
이주영
/ 1999
/ <삼설기>소재 작품의 구성 방식과 지향
/ 古小說硏究
/ 韓國古小說學會
8
[book]
장덕순
/ 1984
/ 구비문학개설
/ 일조각
[journal]
전준이
/ 2002
/ 삼설기체제와 유가담론
/ 泮橋語文硏究
/ 泮橋語文硏究會
14
[book]
정병헌
/ 1993
/ 판소리문학론
/ 새문사
[book]
정성희
/ 1998
/ 조선의 섹슈얼리티-조선의 욕망을 말하다
/ 가람기획
[thesis]
鄭愛俐
/ 1987
/ 三說記 硏究
/ 석사
/ 이화여대학교
[book]
조광국
/ 2000
/ 기녀담 기녀등장 소설 연구
/ 월인
[book]
안숭범
/ 2007
/ 문화산업과 스토리텔링
/ 다할미디어
[book]
최혜진
/ 2000
/ 판소리계 소설의 미학
/ 역락