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The Critical Mind and the Limits of Drama <the Man of Princess(공주의 남자)> through the <Kwangmye's Princess(光廟有一公主)> in 『Kum-Kye pil-dam(錦溪筆談)』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463 Viewed
89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3)
열림/닫힘 버튼[other] / KBS 기획 드라마 <공주의 남자> 1~24부
[journal]
강미정
/ 2009
/
A Study on the Divergence of Epic
/ 문학치료연구
/ 한국문학치료학회
13
: 109~138
[journal] 김승호 / 1997 / <쫓겨난 공주>설화의 野談的 승계와 그 의미 / 동국어문학 / 동국대학교 국어교육과 9 : 137~172
[journal] 김승호 / 1998 / <세조공주>담의 야담화 과정과 사대부 의식 / 한국어문학연구 / 한국어문학연구학회 33 : 196~197
[book] 김종권 / 1985 / 錦溪筆談(韓國의 美談逸史 / 명문당 : 1~332
[journal]
김준형
/ 2007
/
Study on <BaekLyeonJeon> and the Process of Change Yadaminto Novel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
/ 우리어문연구
/ 우리어문학회
(29)
: 201~238
[journal]
김준형
/ 2009
/
The recording of fact and the reality of Yadam
/ 동방한문학
/ 동방한문학회
(39)
: 53~88
[journal]
남은경
/ 2011
/
The related record about 'Daejanggeum' and its modern acceptance
/ 동양고전연구
/ 동양고전학회
(43)
: 33~64
[journal]
박유희
/ 2006
/
A Study On the Narrative Reconstruction of the Goguryeo Historical Drama
/ 한민족문화연구
/ 한민족문화학회
(19)
: 43~66
[journal] 심경호 / 2004 / 원전 연구와 고전 텍스트의 현대적 변용 / 동양한문학연구 / 동양한문학회 20 : 53~69
[journal] 이강옥 / 1986 / ‘六美堂記’와 ‘錦溪筆談’의 비교분석을 통한 소설과 야담계 서사체의 관계 양상 고찰 / 한국학보 12(1) : 121~145
[journal]
이은애
/ 2009
/
A signal reading of Historical Drama : A study of the potential capacity to coexist in the mainstream(meta-narratives) and small stories in history in Historical Drama
/ 한국문예비평연구
/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
(30)
: 221~269
[book] 장효현 / 1988 / 서유영 문학의 연구 / 아세아문화사 : 1~300
[journal] 정운채 / 1996 / <유생전>의 이본적 특성과 부녀 대립 양상 / 先淸語文 / 서울대 국어교육과 24(1) : 585~606
[journal]
정운채
/ 2005
/
The Divergence of Epic and the Diagnosis about the Epic of Self
/ 고전문학과 교육
/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
(10)
: 107~138
[journal]
정운채
/ 2012
/
Divergence of Epic and a New Horizon of Literary Researches
/ 문학치료연구
/ 한국문학치료학회
23
: 195~226
/ http://dx.doi.org/
[journal]
황혜진
/ 2007
/
<바람의 나라>의 사례로 본 고전 수용의 상상력
/ 고전문학과 교육
/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
(14)
: 243~272
[journal]
황혜진
/ 2012
/
Contemporary Transformation of Narrative Tradition in Korean Drama -Focused on the drama, <Jeokdoui namja>(2012)-
/ 겨레어문학
/ 겨레어문학회
(49)
: 117~14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