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A Consideration on the 松都妓生(song-do-gi-sang) in the <明月亭(Myung-wol-jeong)>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295 Viewed
58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0)
[book] 朴頣陽 / 1912 / 명월정 / 唯一書館
[book] 이윤석 / 2006 / 옥루몽Ⅰ․Ⅱ / 경인문화사
[book] 김영희 / 2006 / 개화기 대중예술의 꽃, 기생 / 민속원 : 1~399
[book] 송경록 / 2000 / 북한 향토사학자가 쓴 개성 이야기 / 푸른숲 : 1~278
[book] 이능화 / 1992 / 조선해어화사(朝鮮解語花史) / 동문선 : 1~568
[book] 이상원 / 2012 / 기생문학산고 1․2 / 국학자료원 : 1~738
[book] 정병설 / 2007 / 나는 기생이다 / 문학동네 : 1~390
[book] 조광국 / 2000 / 기녀담 기녀등장소설 연구 / 월인 : 1~389
[book] 조광국 / 2004 / 한국문화와 기녀 / 월인 : 1~349
[book] 가와무라 미나토 / 2002 / 기생: 말하는 꽃 / 소담 : 1~343
[confproc] 강현조 / 2013 / 이야기의 소설적 각색에 대한 일고찰: <화산중봉기(華山重逢記)>와 <단발령(斷髮嶺)>, <소설인규옥소선(掃雪因窺玉簫仙)>과 <금상첨화(錦上添花)>, <삼쾌정(三快停)> 제 2화와 <고의성(鼓의聲)>의 비교를 중심으로 / 열상고전연구회 제 60차 정례학술발표회 발표문 : 1~17
[journal]
권순긍
/ 2008
/
Korean Classical Novel and Hunan region in China
/ 漢文學報
/ 우리한문학회
19
: 283~299
[journal]
김민호
/ 2009
/
他者의 視線으로 바라 본 中國 江南 이미지- 燕行錄과 漂海錄의 記錄을 中心으로
/ 중국어문논총
/ 중국어문연구회
(43)
: 357~382
[journal] 김진영 / 2000 / 강남 문학의 지역적 특성 / 外大論叢 / 부산 외국어 대학교 21 : 137~169
[thesis] 김태현 / 2006 / 광복 이전 일본인 경영 신문에 관한 연구 : 1881년부터 1945년까지 발행된 일본인 경영 민간지를 중심으로 / 석사 /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민영대
/ 2010
/
Interrelationship of Myoungwaljeong(明月亭) and Chaeseohonginyokbogu(蔡瑞虹忍辱報仇)
/ 한국언어문학
/ 한국언어문학회
(74)
: 199~228
[journal] 서대석 / 1976 / 신소설(新小說) <명월정(明月亭)>의 번안양상(飜案樣相) / 국어국문학 72,73 : 327~331
[journal] 신태수 / 1985 / 고소설의 공간에 대하여 / 韓民族語文學 / 韓民族語文學會 28 : 215~255
[journal]
신태수
/ 2011
/
Imaginative geography and transposing literature of 16th century's writers in Joseon Dynasty about foreign space -Focusing on Southern China embodied in Gwon Pill's <Jusaengjeon>-
/ 고소설연구
/ 한국고소설학회
(31)
: 5~40
[journal] 윤정헌 / 1986 / 1920年 前後 韓國小說에 나타난 죽음 樣相考: 妓女의 自殺을 중심으로 / 韓民族語文學 / 韓民族語文學會 13 : 517~534
[journal]
윤주필
/ 2012
/
Literary-Geography on South of the Yangtze River looking through Korean written-Chinese literature
/ 한국한문학연구
/ 한국한문학회
(49)
: 241~274
[journal] 이복규 / 1998 / 우리나라를 무대로 한 고소설의 배경지에 대하여 / 한국의 민속과 문화 /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 : 41~64
[book] 이주영 / 1998 / 구활자본 고전소설 연구 / 월인 : 1~234
[journal]
장노현
/ 2011
/
On Repetitive Narration in the 1910’s Sinsoseol
/ 현대문학의 연구
/ 한국문학연구학회
(44)
: 55~86
[journal]
정혜영
/ 2007
/
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age and?the fall of Geesaeng?-Focusing on the images of?Geesaeng in?Modern Literature-
/ 한중인문학연구
/ 한중인문학회
(20)
: 235~256
[thesis] 崔淑仁 / 1978 / 韓國開化期 飜案小說 연구 / 석사 / 이화여자대학교
[thesis] 최현주 / 2004 / 신소설의 범죄 서사 연구 / 박사 / 서강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탁원정
/ 2011
/
Figuration of Northwestern-Northeastern Region and Its Implication in the Ancient Korean Novels
/ 韓國古典硏究
/ 한국고전연구학회
(24)
: 147~190
[journal]
황혜진
/ 2007
/
문학을 통한 인문지리적 사고력 교육의 가능성 탐색
/ 고전문학과 교육
/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
(13)
: 67~10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