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book]
일연
/ 1958
/ 삼국유사
/ 민중서관
[web]
구마라집
/ 용수보살전(龍樹菩薩傳
/ http://blog.naver.com/byunsdd/60211915923
[book]
정상박
/ 1983
/ 한국구비문학대계 8-7, 8-8
/ 한국정신문화연구원
[journal]
강정식
/ 1989
/ <보양이목> 설화 연구
/ 백록어문
/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국어교육연구회
6
: 81~103
[journal]
김문태
/ 1990
/ 한국설화의 구조분석 시고: 『삼국유사』 소재 <보양이목>조를 중심으로
/ 어문연구
/ 한국어문교육연구회
18(1-2)
: 180~187
[book]
김영태
/ 1982
/ 삼국유사의 연구
/ 중앙출판
: 349~385
[book]
김영태
/ 1993
/ 신라불교연구
/ 민족문화사
: 451~481
[book]
김윤곤
/ 1983
/ 삼국유사연구 상
/ 영남대출판부
: 1~314
[journal]
박유미
/ 2015
/
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Tale of "Boyang and Imok" and Its Meanings
/ 국학연구론총
/ 택민국학연구원
(16)
: 101~126
[journal]
신태수
/ 2014
/
The Story-telling Layers and the Character Layers of the Boyangimok Tale in Samgukyusa
/ 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
/ 한민족어문학회
(66)
: 223~252
[journal]
이재범
/ 2012
/ 『삼국유사』 <보양이목>조의 검토
/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
/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
33
: 103~123
[book]
정천구
/ 2013
/ 삼국유사, 바다를 만나다 : 민중의 바다·이야기의 바다
/ 산지니
: 1~291
[book]
조동일
/ 1979
/ 구비문학의 세계
/ 새문사
: 1~304
[book]
조동일
/ 1985
/ 한국설화와 민중의식
/ 집문당
: 1~343
[book]
조동일
/ 1990
/ 삼국시대 설화의 뜻풀이
/ 집문당
: 1~296
[book]
천혜숙
/ 1990
/ 한국민속과 문화연구
/ 형설출판사
: 19~24
[report]
한국정신문화연구원
/ 1987
/ 삼국유사의 종합적 검토
/ 한국정신문화연구원
: 1~697
[book]
황경숙
/ 2000
/ 한국의 벽사의례와 연희문화
/ 월인
: 1~33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