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A Imagery Method and Meaning of that Times about Chinese Participated in War between the Goguryo and Dang in Classical Novels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247 Viewed
66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3)
열림/닫힘 버튼[other] / 경판 40장본 <셜인귀젼 단>
[other] / 경판 35장본 <츈향젼 단>
[other] / 경판 30장본 <셜인귀젼 단>
[other] / 경판 26장본 <당종젼 권지단>
[other] / 경판 26장본 <울지경덕젼>
[other] / 단국대 소장 23장본 <당태종전>
[book] / 1983 / 구활자본고소설전집 6 / 은하출판사
[book] / 1983 / 구활자본고소설전집 13 / 은하출판사
[book] / 1983 / 구활자본고소설전집 11 / 은하출판사
[book] 박봉춘 / 1937 / 조선 무속의 연구, 상 / 조선인쇄주식회사 : 300~309
[journal] 박재연 / 1991 / 설인귀정요사략 / 중국소설연구회보 / 한국중국소설학회 (8) : 50~73
[journal] 박재연 / 1992 / 설인귀정요사략 / 중국소설연구회보 / 한국중국소설학회 (9) : 30~50
[journal] 박재연 / 1992 / 설인귀정요사략 / 중국소설연구회보 / 한국중국소설학회 (10) : 62~83
[journal] 박재연 / 1992 / 설인귀정요사략 / 중국소설연구회보 / 한국중국소설학회 (11) : 73~93
[book] 사마광 / 2008 / 자치통감 / 서해문집
[other] 조수삼 / 秋齊集
[book] 조희웅 / 2001 / 경기북부 구전자료집Ⅰ / 박이정
[web] /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/ http://sillok.history.go.kr
[book] 계승범 / 2009 / 조선시대 해외파병과 한중관계-조선 지배층의 중국 인식 / 푸른 역사 : 1~375
[book] 국립민속박물관 / 2003 / 조선대 세시기Ⅰ / 민속원 : 1~394
[book] 國防部戰史編纂委員會 / 1991 / 高句麗 對隋⋅唐戰爭史 / 해동문화인쇄사 : 1~281
[journal]
권도경
/ 2007
/
A study on the historical recognition in Korea China about the korean and chinese war literature about Koguryo and Dang appearing in the course forming and method enjoying Seol-in-gui-chon
/ 동북아역사논총
/ 동북아역사재단
(15)
: 273~310
[journal]
권도경
/ 2007
/
A Study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s in the Seolingui Legend
/ 국학연구
/ 한국국학진흥원
1(10)
: 379~416
[journal]
권도경
/ 2007
/
A study on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Seolingui religious legend and the dimension changing historically of the transmission
/ 정신문화연구
/ 한국학중앙연구원
30(2)
: 3~31
[journal] 김예령 / 2004 / <설인귀전>의 번역, 번안 양상 연구 / 관악어문연구 /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(29) : 349~375
[book] 김용만 / 1998 / 고구려의 발견-새로 쓰는 고구려 문명사 / 바다출판사 : 1~552
[journal] 김유진 / 1991 / <당태종전> 연구 / 청람어문교육 / 청람어문학회 (4) : 91~187
[book] 김한규 / 2004 / 요동사 / 문학과 지성사 : 1~742
[journal]
김현중
/ 2015
/
A Study of Paintings of Buddhist Deities Produc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the 19th Century
/ 동악미술사학
/ 동악미술사학회
(17)
: 45~69
/ 10.17300/jodah.2015..17.002
[book] 민관동 / 2013 / 한국소장 중국 통속소설의 판본 목록과 해제 / 학고방 : 1~574
[journal]
박경철
/ 2007
/
Revisiting the war between Koguryo and Tang
/ 동북아역사논총
/ 동북아역사재단
(15)
: 137~199
[journal]
방향숙
/ 2008
/
7세기 중엽 唐 太宗의 對高句麗戰 전략 수립과정
/ 중국고중세사연구
/ 중국고중세사학회
(19)
: 309~345
[journal]
변동명
/ 2011
/
Sŏl In-gui, the Mountain God of Mt. Kamaksan in Traditional Times
/ 역사학연구
/ 호남사학회
(42)
: 1~46
[book] 서대석 / 1985 /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/ 이화여대 출판부 : 1~391
[thesis] 徐大錫 / 1969 / 敍事巫歌 硏究 : 說話小說과의 關係를 中心으로 / 석사 / 서울대학교
[journal]
서영교
/ 2013
/
Emperor's involvement Goguryeo War and operational distortion
/ 동북아 문화연구
/ 동북아시아문화학회
1(36)
: 211~225
[thesis] 서혜은 / 2008 / 경판 방각소설의 대중성과 사회의식 연구 / 박사 / 경북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양승민
/ 2011
/
A Meaning of Existence on Novel History of <Seolingwijeon(薛仁貴傳)>
/ 우리어문연구
/ 우리어문학회
(41)
: 389~413
[journal]
엄태웅
/ 2011
/
The meaning of the awareness about Seol-in-gwi and the reflection to literature in late Chosun dynasty
/ 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
/ 한민족어문학회
(59)
: 177~226
[thesis] 李錦宰 / 1990 / 「薛仁貴傳」의 「薛仁貴征東」 受容과 그 意味 / 석사 / 釜山大學校 大學院
[thesis] 이유진 / 2010 / <설인귀전> 이본 연구 / 석사 / 고려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이유진
/ 2011
/
The Popular Character Drawing - “Stereotyped Hero” in The Transmission Process to <Seolingwijeon>
/ 중국학연구
/ 중국학연구회
(56)
: 55~79
[book] 이윤석 / 2013 / <설인귀전> 연구 / 경인문화사 : 1~561
[journal]
장수연
/ 2011
/
A study of Xuerenguizhuan’s origin
/ 중국소설논총
/ 한국중국소설학회
(34)
: 73~97
[journal]
전경욱
/ 2006
/
The performances and the folklore related to the Cheoyongmu played in each region
/ 한국민속학
/ 한국민속학회
44
: 437~461
[journal]
정제호
/ 2014
/
A STUDY on JEJU ISLAND’s SPECIAL ORIGINAL STORY, SEMINHWANGJE ORIGINAL STORY-by focusing on ‘Maeil’ and ‘Jangsang’
/ 한국무속학
/ 한국무속학회
(28)
: 247~270
[journal] 정진헌 / 2004 / 조선시대의 고구려 인식 / 고구려발해연구 / 고구려발해학회 (18) : 591~620
[journal]
조용호
/ 2014
/
A study on the role model of heroines in the female-general novel
/ 韓國古典硏究
/ 한국고전연구학회
(30)
: 245~275
[book] 최대림 / 1989 / 동국세시기 / 홍신문화사 : 1~324
[journal]
한명기
/ 2006
/
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' recognitions of Koguryo in Choson dynasty
/ 한국문화
/ 규장각한국학연구원
(38)
: 337~36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