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Study on Correlation between Yuefu(樂府) and Gagok(歌曲) during the formation period(形成期) of Song Books(歌集) -Focus on 『Cheongguyoungeon』, 『Gogeumgagok』, and Kim Chang-heup(金昌翕)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193 Viewed
79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2)
열림/닫힘 버튼[other] / 경종실록
[other] / 경종수정실록
[other] / 詩經
[book] 金天澤 / 2017 / 靑丘永言 / 국립한글박물관
[other] 金昌協 / 農巖集
[other] 金昌翕 / 三淵集
[other] 兪拓基 / 知守齋集
[other] 李天輔 / 晉菴集
[other] 李衡祥 / 樂學拾零
[other] 洪世泰 / 柳下集
[other] 前間恭作 / 古今歌曲 / 일본 동양문고
[book] 권순회 / 2017 / 청구영언, 주해편 / 국립한글박물관
[book] 윤덕진 / 2007 / 18세기 중·후반 사곡 가집 古今歌曲 / 보고사
[book] 강명관 / 2007 / 공안파와 조선후기 한문학 / 소명출판 : 1~469
[book] 강명관 / 2007 / 농암잡지평석 / 소명출판 : 1~692
[book] 김윤조 / 1997 / 역주 과정록 / 태학사 : 1~430
[book] 송혁기 / 2006 / 조선후기 한문산문의 이론과 비평 / 월인 : 1~349
[book] 안대회 / 1999 /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/ 소명출판 : 1~397
[journal]
강명관
/ 2008
/
Criticism on Theory Advocating Literature Written in Korean in Seopomanpil
/ 漢文學報
/ 우리한문학회
18(1)
: 483~502
[journal]
강재헌
/ 2011
/
The Purpose of Compilation of Gogeumgagok and the Contemplation of Its Originality
/ 어문연구
/ 어문연구학회
69
: 89~113
[thesis] 김남기 / 2001 / 삼연 김창흡의 시문학 연구 / 박사 / 서울대학교 대학원
[journal] 김대행 / 1991 / 조선후기 악부의 시가관 / 한국문화 / 규장각한국한연구원 (12) : 173~206
[journal] 김동준 / 2010 / 陶庵 李縡의 삶과 시문학 / 한국한시작가연구 / 한국한시학회 (14) : 289~328
[thesis] 金榮淑 / 1989 / 朝鮮時代 詠史樂府 硏究 / 박사 / 嶺南大學校 大學院
[journal] 김윤조 / 1991 / 樗村 李廷燮의 生涯와 文學 / 한국한문학연구 / 한국한문학회 (14) : 312~316
[thesis] 김형술 / 2014 / 백악시단의 진시 연구 / 박사 / 서울대학교 대학원
[thesis] 朴惠淑 / 1989 / 形成期의 韓國樂府詩 硏究 / 박사 / 서울大學校 大學院
[thesis] 심경호 / 1981 / 해동악부체 연구 / 석사 / 서울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이상원
/ 2011
/
A Study on Pungabyeolgok(풍아별곡) by Gwon Ik―Ryung(권익륭)
/ 한민족문화연구
/ 한민족문화학회
(38)
: 193~216
[book] 이상원 / 2015 / 조선후기 가집 연구 /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: 1~553
[journal]
조성진
/ 2016
/
The Comparative Recognition of Yue-fu(악부) andthe korean Songs and It’s Meanings Appeared in Prefacesand Postscripts of ≪Chengguyeong-eon(청구영언)≫
/ 한국시가연구
/ 한국시가학회
40
: 149~178
[thesis] 黃渭周 / 1990 / 朝鮮前期 樂府詩 硏究 / 박사 / 高麗大學校 大學院
[journal] 황위주 / 1989 / 17세기 樂府詩의 출현동인과 전개과정 / 韓國漢文學硏究 (12) : 227~26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