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A Rediscussion of Creation Period of Shinyubokjeon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127 Viewed
26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0)
[other] / 1917 / 김희경전 / 광문서시
[other] / 1917 / 신유복전 / 광문서시
[other] / 1918 / 유문성전 / 광문서시
[other] / 유문셩젼 권지단 / 국립중앙도서관
[other] / 1922 / 장익성전 / 광문서시
[other] / 1927 / 천정연분 / 경성서적조합
[other] / 朝鮮王朝實錄
[other] / 明史
[journal]
곽정식
/ 2012
/
The acceptant shape of legendary and the hero novel historical significance of <Shinyoubokjeon>
/ 한국문학논총
/ 한국문학회
(61)
: 5~30
[journal] 권순긍 / 1990 / 신유복전과 민족주체의식의 한계 / 성대문학 27 : 257~265
[book] 권순긍 / 2000 / 활자본 고소설의 편폭과 지향 / 보고사 : 1~340
[book] 김기동 / 1959 / 이조시대소설론 / 정연사 : 1~608
[journal]
김성철
/ 2014
/
Initial Appearance of Censorship and Signs of Censorship Detour that are Shown in Joseon Kwangmunhoi Version Korean Classic Novels from Yukdang Library
/ 고전과 해석
/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
16
: 7~28
[journal]
김성철
/ 2016
/
The Meaning of Censorship Evidences in the Printed Novel 『<改過遷善: Repentance> 南無阿彌陀佛:Savs Us, Merciful Buddha』
/ 한국학연구
/ 한국학연구소
(59)
: 39~59
[journal] 노대환 / 1994 / 19세기 전반 지식인의 대청 위기인식과 북학론 / 한국학보 20(3) : 23~51
[thesis] 박명재 / 2002 / 신유복전 연구 / 석사 /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
[journal]
박현모
/ 2004
/
A Study on the Change of Foreign Policy under the In-law Government Joseon, 1800-1863
/ 국제정치논총
/ 한국국제정치학회
44(4)
: 7~26
[journal] 신태수 / 1994 / 신유복전의 作品世界와 理想主義的 性格 / 한민족어문학 26 : 165~190
[journal]
엄태웅
/ 2013
/
The transfiguration aspect of the <Cheonjeongyeonbun>, different edition of <Sinyubokjeon> (1)
/ Journal of korean Culture
/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
24
: 61~90
[journal]
엄태웅
/ 2014
/
The transfiguration aspect of the <Cheonjeongyeonbun>, different edition of <Sinyubokjeon> (2)
/ 우리문학연구
/ 우리문학회
(41)
: 105~143
[journal] 여증동 / 1997 / 자료 <신유복전> / 배달말 교육 17(1) : 145~197
[book] 유미림 / 2002 / 조선후기의 정치사상 / 지식산업사 : 1~416
[thesis] 유보전 / 2003 / 임진왜란기 조·명 관계사 연구 / 박사 / 성균관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윤보윤
/ 2016
/
Study on the types of tribulations and the changes in heroic fictions with Sodaeseongjeon and Sinyubokjeon
/ 어문연구
/ 어문연구학회
89
: 97~129
/ 10.17297/rsll.2016.89..004
[journal] 이혜숙 / 1987 / 신유복전의 구조와 의미 / 논문집 5 : 261~278
[journal] 이민희 / 2002 / <임경업전>과 <국성야합전> 비교 연구-갈등양상 및 주제실현방식을 중심으로 / 국문학연구 8 : 223~264
[thesis] 임형섭 / 2007 / 「신유복전」과 「이태경전」의 비교 연구 / 석사 /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
[journal] 장효현 / 1990 / 애국계몽기 창작 고전소설의 한 양상; 신자료의 소개를 중심으로 / 정신문화연구 41 : 137~153
[journal]
정길수
/ 2007
/
Sinocentrism of Kerean classical novels
/ 국문학연구
/ 국문학회
15(15)
: 131~151
[book] 정옥자 / 1993 / 조선후기 역사의 이해 / 일지사 : 1~230
[book] 조동일 / 1984 / 한국문학통사3 / 지식산업사 : 1~626
[book] 조선문학창작사 고전문학실 / 1991 / 고전소설 해제2 / 문예출판사 : 1~479
[journal]
주수민
/ 2014
/
The Study on Different Version of <Hyun Su Mun Jeon>
/ 정신문화연구
/ 한국학중앙연구원
37(1)
: 227~256
/ 10.25024/ksq.37.1.201403.227
[thesis] 주수민 / 2017 / 고전소설에 나타난 중국인식 연구-원․청 배경 작품을 중심으로 / 박사 /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
[journal]
탁원정
/ 2008
/
China, a Foreign Country Described in <Oksugi>
/ 韓國古典硏究
/ 한국고전연구학회
0(17)
: 151~188
[journal]
허순우
/ 2016
/
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O-ok-gi-dam(五玉奇談),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Written in Korean in the Period of Patriotic Enlightment
/ 한국민족문화
/ 한국민족문화연구소
(58)
: 171~199
/ http://dx.doi.org/10.15299/jk.2016.2.58.171
[book] 허태용 / 2009 /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/ 아카넷 : 1~27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