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Read An-bing-mong-yu-rok through the Garden Cultureof the Choseon Dynasty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171 Viewed
51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1)
열림/닫힘 버튼[book] 강희안 / 2012 / 양화소록 : 선비, 꽃과 나무를 벗하다 / 아카넷
[other] / 靜菴先生文集
[other] / 企齋集
[other] / 企齋別集
[other] / 東國輿地備考
[other] / 十淸集
[other] / 靜菴先生文集
[other] / 皇極經世書
[journal]
강혜진
/ 2018
/
A Possibility of Community beyond the Dichotomy of the Subject-Others : Focus on Fantastic Space Appearing in Anbing Mongyurok and Seojaeyahoerok
/ 어문논집
/ 민족어문학회
(82)
: 5~32
[journal] 권도경 / 2000 / 16세기 기재기이의 전기소설사적 의의 연구 / 한국고전연구 / 한국고전연구학회 6 : 33~58
[book] 김미령 / 2010 / (몽유모티프를 중심으로 한) 환상성 연구 / 문학들 : 1~238
[journal]
김수연
/ 2014
/
Nanyue-Hengshan, Space Borderline of Confucianism, Buddhism, and Taoism Anthropogeography
/ 고전문학연구
/ 한국고전문학회
(45)
: 31~57
/ 10.17838/korcla.2014..45.002
[journal]
김수연
/ 2017
/
Imagery of Wŏllim(園林) in Korean and Chinese novels : Focus on 〈Hongloumeng〉, 〈Yisaengkyujangjeon〉, and 〈Kuunmong〉
/ 동악어문학
/ 동악어문학회
(73)
: 265~300
/ 10.25150/dongak.2017..73.009
[book] 김원룡 / 1996 / 한국미의 탐구 / 열화당 : 1~263
[journal]
노혜숙
/ 2009
/
《nan ke tai shou zhuan》 and 《nan ke ji》
/ 중국문화연구
/ 중국문화연구학회
(15)
: 383~402
/ 10.18212/cccs.2009..15.021
[book] 류기옥 / 2002 / 고소설연구사 / 월인
[book]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 / 2007 / 묻혀진 문학사의 복원 / 소명출판사 : 1~367
[book] 박정욱 / 2001 / 정원:풍경을 담은 그릇 / 서해문집 : 1~351
[book] 소재영 / 1990 / 기재기이연구 / 高大民族文化硏究所 出版部 : 1~307
[journal]
손유경
/ 2009
/
A Study on Admiration Trend toward Shao-yong(邵雍) by Gijae Shin, Kwang-han(申光漢)
/ 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
/ 근역한문학회
29
: 7~36
/ 10.17260/jklc.2009.29..7
[thesis] 손정희 / 2012 / 17세기 조선의 관물론에 나타난 완물과 천기 개념의 연구 / 석사 / 서울대학교 대학원
[journal] 신범순 / 2000 / 隱者의 정원에 나타난 상징과 꿈의 의미 / 한국문화 / 서울대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6 : 75~107
[journal]
신희경
/ 2018
/
A Suggestions for exploring space in classical novels
/ 돈암어문학
/ 돈암어문학회
33
: 239~286
/ 10.17056/donam.2018.33..239
[journal]
엄기영
/ 2011
/
Kijaekiyi(企齋記異) and the Self-Awareness of Shin, Kwanghan the Arthur
/ 고소설연구
/ 한국고소설학회
(32)
: 97~122
[journal]
엄기영
/ 2014
/
Kijaekiyi and Kijae the Writing Space
/ 우리말글
/ 우리말글학회
61
: 189~213
/ 10.18628/urimal.61..201406.189
[journal] 윤채근 / 1997 / 기재 신광한 한시 연구 / 어문논집 / 안암어문학회 36 : 185~221
[book] 윤채근 / 2008 / 한문소설의 욕망의 구조 / 소명출판 : 1~344
[thesis] 임채명 / 2005 / 기재 신광한 한시 연구 / 박사 / 단국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전성운
/ 2017
/
The world of dream in Anbing Mongyurok(安憑夢遊錄) and the Observation of Things
/ 우리어문연구
/ 우리어문학회
(59)
: 199~231
/ http://dx.doi.org/10.15711/05907
[journal]
전성운
/ 2014
/
Shin, Kwang-Han's Modus Vivendi and the innate respect for So, Ong
/ 한국언어문학
/ 한국언어문학회
(90)
: 203~231
[journal]
조경진
/ 2008
/
A Study on the Garden Meaning of Pungryu through Genre Painting in Joseon Dynasty
/ 한국조경학회지
/ 한국조경학회
36(5)
: 94~107
[journal]
조송식
/ 2002
/
Transformation of the Landscape Painting in earl Chosun period and the Double View of Nature of the Literati
/ 美學(미학)
/ 한국미학회
(33)
: 25~74
[book] 주남철 / 2009 / 한국의 정원 / 고려대학교출판부 : 1~440
[book] 최순우 / 2015 /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서 / 학고재 : 1~519
[journal]
최윤희
/ 2016
/
A study of the daily life appeared in <sohyeonseongrok>
/ 동양고전연구
/ 동양고전학회
(64)
: 71~101
[journal] 하태일 / 2014 / 전통 조경분야의 정원 사용 명칭에 대한 고찰 / 전통문화논총 /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4 : 83~110
[book] 한국한시학회 / 1995 / 한국한시 작가 연구 4 / 태학사 : 1~46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