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The Narrative on the Religious Heroes-Being “God of Shamans” in Chogongbonpul-i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277 Viewed
63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0)
[book] 노재명 / 1994 / 제주도의 무속음악 / 국립문화재연구소 : 1~232
[book] 문무병 / 1998 / 제주도 무속신화: 열두본풀이 자료집 / 칠머리당굿보존회 : 1~383
[book] 장주근 / 2001 /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/ 역락 : 1~290
[book] 赤松智城 / 1991 / 조선무속의 연구 上 / 동문선 : 1~114
[book] 제주대학교 한국학협동과정 / 2013 / 고순안 심방 본풀이 / 경인문화사 : 1~416
[book] 제주대학교 한국학협동과정 / 2015 / 서순실 심방 본풀이 / 경인문화사 : 1~367
[book] 제주대학교 한국학협동과정 / 2010 / 양창보 심방 본풀이 / 보고사 : 1~395
[book] 제주대학교 한국학협동과정 / 2009 / 이용옥 심방 <본풀이> / 보고사 : 1~463
[book] 진성기 / 1991 / 제주도 무가 본풀이 사전 / 민속원 : 1~922
[book] 현용준 / 2007 / 개정판 제주도무속자료사전 / 각 : 1~859
[book] / 1994 / 풍속무음 /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
[book] / 2000 / 한국음악 31(한국의 굿: 제주도 칠머리당굿) / 국립국악원
[thesis] 김우주 / 2004 / <초공본풀이> 연구 / 석사 /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김헌선
/ 2003
/
A Comparative Study on Mujo Myths of Jeju Island and Okinawa
/ 구비문학연구
/ 한국구비문학회
(16)
: 413~459
[book] 김현 / 1995 / 현대소설의 담화론적 연구 / 계명문화사 : 1~308
[journal] 문무병 / 1999 / 제주도 무조신화의 신굿 / 비교문화연구 / 비교문화연구소 5 : 87~108
[thesis] 문봉순 / 2005 / 심방의 입무 의례 연구 : <초공본풀이>와 신굿의 관계를 중심으로 / 석사 / 경상대학교 대학원
[other] 문무병 / 2013 / 젯부기 삼형제가 나고 자란 불도땅 / 제주의 소리
[book] 박인철 / 2003 / 파리학파의 기호학 / 민음사 : 1~516
[book] 서대석 / 1980 / 한국무가의 연구 / 문학사상사 : 1~420
[book] 서대석 / 2011 / 무가문학의 세계 / 집문당 : 1~413
[book] 송효섭 / 1999 / 설화의 기호학 / 민음사 : 1~358
[journal]
신연우
/ 2011
/
<Chogong Bonpuri>, A Myth of the Goddess of Cereals
/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
/ 한국고전여성문학회
(23)
: 255~283
/ 10.17090/kcwls.2011..23.255
[journal]
신연우
/ 2012
/
The Sanctity and the Vulgarness in the Jeju Shaman Epic <Chogong Bonpuri>
/ 고전문학연구
/ 한국고전문학회
(42)
: 169~193
/ 10.17838/korcla.2012..42.006
[journal]
신연우
/ 2009
/
<Chogong Bonpoori> as an Initiation Narrative
/ 한국무속학
/ 한국무속학회
(19)
: 7~33
[journal]
신연우
/ 2010
/
On the Multi-Layered Composition ofthe Chogong Bonpoori
/ 구비문학연구
/ 한국구비문학회
(31)
: 343~368
[journal]
신연우
/ 2010
/
Transcendental Space and Core Space of The 'Chogong Bonpury'
/ 탐라문화
/ 탐라문화연구원
(36)
: 85~110
/ 10.35221/tamla.2010..36.002
[journal] 신월균 / 1989 / <초공본풀이>의 구조 고찰 / 국어국문학 / 국어국문학회 110 : 359~370
[journal]
이경화
/ 2017
/
A Study on Characters Relationship and Its Meaning in <Chogong bonpuri> and <Omoimatsukane>
/ 한국무속학
/ 한국무속학회
(34)
: 199~220
[journal]
전주희
/ 2011
/
The meaning of the founder of shaman and simbang(shaman) through 'Sammengdu' the shaman's paraphernalia of Jeju island
/ 민속학연구
/ 국립민속박물관
(29)
: 5~28
/ 10.35638/kjfs..29.201112.001
[journal] 최시한 / 1986 / <초공본풀이>의 구조 분석 / 배달말 / 배달학회 11 : 185~214
[journal] 홍태한 / 1998 / 동해안지역 당금애기 연구 / 한국민속학 9 : 173~193
[book] Gennep, Arnold V / 1961 / The Rite of Passage / Chicago University Press : 1~198
[book] Riffaterre / 1978 / Michael Semiotic of Poetry / Indiana Univ. Press
[book] Kermode, John Frank / 2000 / The Sense of an Ending-Studies in the Theory of Fiction / Oxford Univ. Press : 3~34
[journal] Miller, D.A / 1982 / Narrative and its Discontents: Problems of Closure in the Traditional Novel / Criticism-a Quarterly for Literature and the Arts /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4 : 78~8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