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The Representation of Violence in Jangkkijeon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303 Viewed
104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2)
열림/닫힘 버튼[web] / 표준국어대사전 / https://stdict.korean.go.kr
[book] 김진영 / 2004 / [단행본] 실창판소리사설집 / 박이정 : 1~387
[book] 이유경 / 2013 / 장끼전의 작품세계 / 보고사 : 1~472
[book] 최진형 / 2008 / 장끼전 / 지만지 : 1~109
[journal] 권영호 / 1991 / 장끼전 연구의 반성과 전망 / 어문학 / 한국어문학회 52 : 1~35
[book] 권영호 / 2013 / 고전서사문학의 전승에 나타난 변이와 담당층 의식 / 지성인 : 1~366
[book] 박인혜 / 2009 / 가정폭력 : 여성인권의 관점에서 / 한울 : 1~404
[book] 김종철 / 1996 / 판소리의 정서와 미학 / 역사비평사 : 1~340
[journal] 박일용 / 1993 / <장끼전>의 문학적 의미 재론 / 동리연구 / 동리연구회 (창간) : 139~157
[journal]
서유석
/ 2010
/
The Meaning of "Twisted" Characters and the Women's perspectives in『Jangkkijeon』
/ 서강인문논총
/ 인문과학연구소
(29)
: 235~264
[journal]
서유석
/ 2019
/
A Study on Masculinities in Silchang Pansori
/ 구비문학연구
/ 한국구비문학회
(53)
: 95~128
/ http://dx.doi.org/10.22274/KORALIT.2019.53.003
[journal] 소인호 / 2010 / <장끼전>에 나타난 수절과 개가의 문제 / 인문과학논집 / 청주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41 : 123~133
[journal]
이문성
/ 2013
/
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Jachiga
/ 판소리연구
/ 판소리학회
(36)
: 421~447
[journal]
정선희
/ 2007
/
The Narrative Perspective of <Sohyeonseong-rok> -Focused on the Violence of Husbands-
/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
/ 한국고전여성문학회
0(14)
: 452~487
/ 10.17090/kcwls.2007.0.14.452
[journal] 정출헌 / 1991 / <장끼전>에 나타난 조선후기 유랑민의 삶과 그 형상 / 고전문학연구 / 한국고전문학회 6 : 234~277
[journal] 정출헌 / 1995 /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여성형상과 그 의미 / 민족문학사연구 / 민족문학사연구소 7 : 156~189
[book] 정항균 / 2017 / 아비뇽의 여인들 또는 폭력의 두 얼굴 / 서울대학교 출판부 : 1~715
[journal]
정환국
/ 2009
/
A study on the role of ‘Inconvenience’ in 19th-Century Korean literature: Focused on the aspect of the Grotesque
/ 한국문학연구
/ 한국문학연구소
(36)
: 253~287
/ 10.20881/skl.2009..36.007
[book] 정희진 / 2016 / 아주 친밀한 폭력 : 여성주의와 가정 폭력 / 교양인 : 1~279
[thesis] 최어진 / 2019 /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폭력의 형상과 의미 연구 / 박사 / 서울대학교
[book] 최진형 / 2008 / 서사 문학과 문화 담론 / 보고사 : 1~347
[journal]
최혜진
/ 2010
/
A Study of an Existence Aspect and the Hand Down Process of <Jangkkijeon> Pieces
/ 판소리연구
/ 판소리학회
(30)
: 353~394
[journal]
한길연
/ 2010
/
The Aspects and Meanings of Husbands' Violence Narratives in River-Novels
/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
/ 한국고전여성문학회
(21)
: 69~121
/ 10.17090/kcwls.2010..21.69
[book] 민족문학사연구소 / 2017 / 한국고전문학작품론 / 휴머니스트 : 1~494
[book] 나카지마 요시미치 / 2018 / 차별 감정의 철학 / 바다출판사 : 1~206
[book] 조계원 / 2015 / 혐오와 수치심 : 인간다움을 파괴하는 감정들 / 민음사 : 1~725
[book] 마사 누스바움 / 2018 / 분노와 용서-적개심, 아량, 정의 / 뿌리와 이파리 : 1~583
[book] 베르너 바르텐스 / 2019 / 감정폭력-세상에서 가장 과소평가되는 폭력 이야기 / 걷는 나무 : 1~267
[book] 슬라보예 지젝 / 2012 / 폭력이란 무엇인가 / 난장이 : 1~335
[book] 요한 갈퉁 / 2000 /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/ 들녘 : 1~581
[journal] Galtung, Johan / 1969 / Violence, Peace, and Peace Research / Journal of Peace Research 6(3) : 167~191
[journal] Scanlon, Christopher / 2013 / Reflexive Violence / Psychoanalysis Culture & Society 18(3) : 1~3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