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The Weaving Technique of the Discourse and the Meaning of ‘Sipjangga’ in『Chunhyangjeon』 -Focused on Wanpan 84 sheets version of Yeoleochunhyangsujeolga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285 Viewed
80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3)
열림/닫힘 버튼[book] 김진영 / 1997 / 춘향전 전집 4 / 박이정 : 299~377
[web] / 2015 / 김세종제 <춘향가> 완창판소리 공연실황자료, 김경애 창,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관 / https://youtu.be/RuQt5yhOtr4?list=PLa-xhv5AJeqU1YcdrE1tx5npCqZNQDl-p
[other] / 1986 / 동초제 <춘향가> 완창판소리 공연 실황 자료, 오정숙 창, 국립극장, 1986년 5월 31일 /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소장 공연실황자료
[web] / 1988 / 박동진 <춘향가> 완창판소리 공연실황자료, 박동진 창, KBS 토요국악 프로그램, 1988. 8.6. 방송 / https://youtu.be/NDT42v6L-1M?list=PLfC8Jev4CowNN-037FEBatCMio41_D74
[journal]
김경미
/ 2007
/
Supply and Development of Yolnyojun(列女傳):Process of Confucian Woman Self’s Formation and Internalization
/ 한국문화연구
/ 한국문화연구원
13
: 51~82
/ 10.17792/kcs.2007.13..51
[journal]
김경호
/ 2012
/
Where is sadness come from? - focused on 'embodied mind' and the origin of sadness
/ 철학탐구
/ 중앙철학연구소
31
: 125~152
[journal]
김동건
/ 2009
/
The research of Transmission and Transition Aspect of the Sipjangga
/ 국어국문학
/ 국어국문학회
(151)
: 177~208
/ 10.17291/kolali.2009..151.007
[journal] 김문희 / 2000 / 완판 『춘향전』 의 계열과 위상 - 『완판 26장본』, 『완판 29장본』, 『완판 33장본』, 『완판 84장본』 을 중심으로 / 고소설연구 / 고소설학회 10 : 75~115
[thesis] 金奭培 / 1993 / 春香傳 異本의 生成과 變貌 樣相 연구 / 박사 / 慶北大學校 大學院
[book] 김욱동 / 1999 / 은유와 환유 / 민음사 : 1~321
[book] 김현주 / 2006 / 고전서사체 담화분석 / 보고사 : 1~318
[journal]
김현주
/ 2013
/
The spatiality of dialogic joke of Korean family novel
/ 시학과 언어학
/ 시학과언어학회
(24)
: 63~83
[book] 노양진 / 2009 / 몸, 언어, 철학 / 서광사 : 1~368
[thesis] 류수열 / 2001 / 판소리 구연성의 매체언어적 의의 / 박사 / 서울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서유석
/ 2009
/
A Study on the Meaning Changes of Chunhyang's Resistance in ‘sipjangga’
/ 韓國古典硏究
/ 한국고전연구학회
(20)
: 249~282
[journal] 설성경 / 1983 / 십장가의 변이상과 본질 / 연세교육과학 /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4 : 119~130
[journal] 성기련 / 2000 / 완판84장본 <열녀춘향수절가>의 김세종제 <춘향가> 수용과 개작 / 판소리연구 / 판소리학회 11 : 220~221
[journal]
오형엽
/ 2006
/
Psychoanalytic Poetics and Rhetoric
/ 어문논집
/ 민족어문학회
0(53)
: 239~265
[journal]
이윤희
/ 2018
/
Principles of Constructing Intertextual Meaning by Intersubjective Readers - Focusing on Metaphoric and Metonymic Relation of Texts -
/ 문학교육학
/ 한국문학교육학회
(61)
: 237~267
/ http://dx.doi.org/10.37192/KLER.61.7
[journal]
이정원
/ 2010
/
The Presentation of the Body in <HWAYONGDO>
/ 한국문학이론과 비평
/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
14(3)
: 285~306
[thesis] 이채은 / 2019 / 연행의 신체화 과정 연구-동초제 <춘향가>를 중심으로 / 박사 / 서강대학교
[book] 일라이다 아스만 / 2011 / 기억의 공간: 문화적 기억의 형식과 변천 / 그린비 : 1~575
[thesis] 田耕旭 / 1989 / 春香傳 作品群 歌謠의 形成과 機能 / 박사 / 高麗大學校 大學院
[journal] 정양 / 1995 / 신재효의 십장가 / 판소리연구 / 판소리학회 6 : 55~74
[book] Patrick Hogan / 2011 / Affective Narratology: The Emotional Structure of Stories /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: 1~27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