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A study on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Korean classical mystery tales: Inference as cognitive imagination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123 Viewed
66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1)
열림/닫힘 버튼[book] 김동욱 / 2008 / 국역 기문총화-새벽강가에 해오라기 우는 소리 상 / 아세아문화사 : 1~688
[book] 김동욱 / 2008 / 국역 기문총화-새벽강가에 해오라기 우는 소리 중 / 아세아문화사 : 1~686
[book] 김동욱 / 2008 / 국역 기문총화-새벽강가에 해오라기 우는 소리 하 / 아세아문화사 : 1~689
[book] 김현룡 / 2008 / 고금소총 1 / 자유문학사 : 1~357
[book] 김현룡 / 2008 / 고금소총 2 / 자유문학사 : 1~355
[book] 김현룡 / 2000 / 한국문헌설화 / 건국대학교 출판부 : 1~503
[book] 대중문학연구회 / 1997 /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/ 국학자료원 : 1~356
[book] 노양진 / 2008 / 도덕적 상상력: 체험주의 윤리학의 새로운 도전 / 서광사 : 1~528
[book] 움베르트 에코 / 2014 / 셜록 홈스, 기호학자를 만나다 / 이마 : 1~440
[book] 이브 뢰테르 / 2000 / 추리소설 / 문학과 지성사 : 1~268
[book] 이정화 / 2009 / 인지시학 개론 / 한국문화사 : 1~304
[thesis] 강태경 / 2014 / 법적 추론에 대한 인지적 분석방법 / 박사 / 서울대학교
[journal] 김경섭 / 2002 / 한국 수수께끼의 장르 정체성 및 소통 상황의 특징 / 한국민속학 / 한국민속학회 36 : 53~82
[thesis] 김옥숙 / 2009 / 한국 구비지혜담 연구 / 박사 / 울산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류정월
/ 2016
/
Study on a literature transmission of Arang[阿娘]’s folk tales - focusing on narrative compositions and character figures
/ 人文學硏究
/ 인문학연구소
25
: 71~101
[journal] 박여범 / 1996 / 說話에 나타난 訟事의 樣相과 意味 / 한국언어문학 / 한국언어문학회 37 : 359~374
[journal]
서경희
/ 2019
/
The Narrative of Suspicious Crime and the Technique of Reasoning-Focused on Okseongmong
/ 韓國古典硏究
/ 한국고전연구학회
(46)
: 79~112
[journal]
신동흔
/ 2016
/
The Research on Stories as a Cognitive Mechanism and Folktales as a Way to Study Humans
/ 구비문학연구
/ 한국구비문학회
(42)
: 59~104
[journal]
연남경
/ 2011
/
A study on the mystery narrative technique used in novels of Kim Yu Jung
/ 한중인문학연구
/ 한중인문학회
(34)
: 55~79
[journal]
오윤선
/ 2009
/
The Mystery Novels in Korean Classical Narrative
/ 어문논집
/ 민족어문학회
(60)
: 37~66
[journal]
이윤희
/ 2018
/
Peirce’ diagrammatic reasoning and allegorical reading: An analysis of Kim Yeonsu’s works
/ 기호학 연구
/ 한국기호학회
55
: 195~223
/ https://doi.org/10.24825/SI.55.7
[journal]
이인경
/ 2007
/
A Study on ‘The Folktales of Lawsuit’
/ 구비문학연구
/ 한국구비문학회
(25)
: 335~390
[journal]
이정옥
/ 2009
/
A Comparative Study on tales of ratiocination of Lawsuit Novel Style and Detective Novel Style
/ 대중서사연구
/ 대중서사학회
(21)
: 239~277
/ 10.18856/jpn.2009..21.007
[journal] 이헌홍 / 1989 / 문헌소재 송사설화의 유형과 의미 / 배달말 / 배달말학회 14 : 337~369
[thesis] 장현곤 / 2016 / 『消閒細說』 硏究 / 석사 / 성균관대학교
[journal]
조형래
/ 2018
/
The Real and Empirical Fact of Soseol(小說), Law and Court : A Study on the Law and Court Presented Wa-sa-ok-an and Yi Hae Jo’s Gu-ma-gum and Gu-ui-san
/ 민족문학사연구
/ 민족문학사연구소
(66)
: 41~67
[journal]
황인순
/ 2019
/
Cultural and Social Signification of the Ruling tales with People-Assistants
/ 한국문학이론과 비평
/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
23(1)
: 95~1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