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The Way of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in Classical Literature in the Era of Disconnection and Isolation -Focusing on the Story-in-depth of Classic Novels and their Female Readers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340 Viewed
209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3)
열림/닫힘 버튼[book] 김만중 / 2014 / 사씨남정기 / 문학동네 : 1~438
[book] 김시습 / 2009 / 금오신화 / 민음사 : 1~173
[book] 김현양 / 1996 / 수이전 일문 / 박이정 : 1~244
[book] 신광한 / 2008 / 기재기이 / 범우 : 1~258
[book] 이상구 / 1999 / 17세기 애정전기소설 / 월인 : 1~338
[book] 이상구 / 2010 / 숙향전⋅숙영낭자전 / 문학동네 : 1~294
[book] 이상보 / 1979 / 한국가사선집 / 집문당 : 1~440
[book] 정병헌 / 2000 / 한국의 여성영웅소설 / 태학사 : 1~318
[journal]
강명관
/ 2016
/
Establishment of the Noble Rule System and Suppression of Women in Joseon
/ 여성학연구
/ 여성연구소
26(3)
: 101~127
/ 10.22772/pnujws.26.3.201611.101
[journal]
권순회
/ 2006
/
Creation, Communication and the Meaning of Hwajeonga from a new Perspective
/ 어문논집
/ 민족어문학회
0(53)
: 5~29
[journal] 김동규 / 1998 / 화전가에 나타난 화전놀이의 유형과 기능 / 도남학보 / 도남학회 17 : 73~99
[journal]
김수연
/ 2011
/
Imagination, dream of communication and healing, <Sookhyangjeon>
/ 韓國古典硏究
/ 한국고전연구학회
(23)
: 429~459
[thesis] 김영선 / 1995 / 조선시대 양반가옥의 공간구조를 통해 본 여성통제에 관한 연구 : 영남 良洞마을 香壇을 중심으로 / 석사 /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
[journal]
김정애
/ 2013
/
The Characteristics of Gyeseomweol Love and The Meaning of Literary Therapy on <Guunmong> - In Comparison with Beado on <Jusaengjeon> -
/ 통일인문학
/ 인문학연구원
56
: 115~147
[journal] 김현양 / 1997 / 사씨남정기와 욕망의 문제 -소설사적 평가와 관련하여 / 고전문학연구 / 한국고전문학회 12 : 91~113
[journal]
박경주
/ 2017
/
Comparison of Women's Consciousness of play and travel experiences on Hwajenga and Women's Travel Gasa
/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
/ 한국고전여성문학회
(34)
: 133~165
/ 10.17090/kcwls.2017..34.133
[book] 박무영 / 2004 / 조선의 여성들, 부자유한 시대에 너무나 비범했던 / 돌베개 : 1~349
[journal] 박일용 / 1991 / 인물형상을 통해 본 〈구운몽〉의 사회적 성격과 소설사적 위상 / 한국학 / 한국학중앙연구원 14(3) : 187~207
[journal]
박일용
/ 2013
/
The Setting of 'Joo-Saeng jeon' and the Fantasy
/ 고소설연구
/ 한국고소설학회
(35)
: 139~166
[journal] 송성욱 / 2002 / 17세기 소설사의 한 국면 -〈사씨남정기〉⋅〈구운몽〉⋅〈창선감의록〉⋅〈소현성록〉을 중심으로 / 한국고전연구 / 한국고전연구학회 8 : 241~270
[journal]
신동흔
/ 2005
/
A study on the Reality Embedded in the Endingsof Pansori Works - Focused on Simcheongjeon and Heungbujeon
/ 판소리연구
/ 판소리학회
(19)
: 313~349
[book] 신동흔 / 2009 / 서사문학과 현실 그리고 꿈 / 소명출판 : 1~617
[journal]
신동흔
/ 2011
/
Problems of Sociocultural Situation and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in the 21^st Century -From the capital and desire to the root of human existence and value-
/ 고전문학과 교육
/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
(22)
: 117~146
/ 10.17319/cle.2011..22.117
[book] 신동흔 / 2012 / 삶을 일깨우는 옛이야기의 힘 / 우리교육 : 1~340
[journal]
신동흔
/ 2016
/
<Okrumong> and the Philosophy of the Rectification of Names, and Healing
/ 국어국문학
/ 국어국문학회
(176)
: 371~418
/ 10.17291/kolali.2016..176.013
[journal]
신동흔
/ 2018
/
The Symbolic Meaning of ‘Fallen Flower’ in Korean Shaman Myth “Princess Bari”
/ 구비문학연구
/ 한국구비문학회
(49)
: 273~309
/ http://dx.doi.org/10.22274/KORALIT.2018.49.008
[journal] 신재홍 / 1990 / 구운몽의 서술원리와 이념성 / 고전문학연구 / 한국고전문학회 5 : 128~167
[journal]
신재홍
/ 2019
/
The Maternal Reader and Kim Man-jung's Novel Writing
/ 고전문학과 교육
/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
(40)
: 117~148
/ 10.17319/cle.2019..40.117
[journal]
이강옥
/ 2010
/
The Reinterpretation of Kuwoonmong and the Narrative Education of Hope
/ 국어교육연구
/ 국어교육학회(since1969)
(46)
: 117~160
/ 10.17247/jklle.2010..46.117
[journal] 이상구 / 1991 / 숙향전의 현실적 성격 / 고전문학연구 / 한국고전문학회 6 : 64~103
[book] 임해리 / 2007 / 누가 나를 조선 여인이라 부르는가 / 가람기획 : 1~304
[journal]
장정수
/ 2011
/
A Study on the festive character of Whajeonnori and the Solidarity between women
/ 우리어문연구
/ 우리어문학회
(39)
: 147~179
[book] 정길수 / 2000 / 구운몽 다시 읽기 / 돌베개 : 1~272
[journal]
정병설
/ 2013
/
Rethinking the theme of The Nine Cloud Dream (Kuunmong)
/ 한국문화
/ 규장각한국학연구원
(64)
: 315~337
/ 10.22943/han.2013..64.010
[journal]
정운채
/ 2008
/
Literary Therapeutics and Theory of Epic
/ 문학치료연구
/ 한국문학치료학회
9
: 247~278
[journal]
정운채
/ 2012
/
The Change Process of the Epic of Self and Resonance of the Epic as the Principles of Sympathy and Deep Emotion
/ 문학치료연구
/ 한국문학치료학회
25
: 361~381
[book] 정지영 / 2005 / 한국의 규방문화 / 박이정 : 127~161
[book] 정출헌 / 1999 / 고전소설사의 구도와 시각 / 소명출판 : 1~401
[journal] 조혜란 / 2003 / 17세기 조선의 규방 현실에 대한 보고 / 한국고전연구 / 한국고전연구학회 9 : 353~379
[journal] 조혜란 / 2005 / 조선시대 여성 독서의 지형도 / 한국문화연구 /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8 : 29~59
[book] 조혜란 / 2011 / 삼한습유: 19세기 서얼 지식인의 대안적 글쓰기 / 소명출판 : 1~285
[book] 조홍윤 / 2016 / 신로맨스의 탄생: 고전문학에서 배우는 사랑의 기술 / 역사의아침 : 1~348
[journal] 지연숙 / 2000 / 사씨남정기의 이념과 현실 / 민족문학사연구 / 민족문학사연구소 17 : 146~172
[web] / 한국민요대전 홈페이지 / http://www.urisori.co.kr/