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e Research of the Korean Classic 2021 KCI Impact Factor : 0.53
A study on the method of utilizing portrait panegyrics in university education: Focusing on the jachan(self‐praise) of portrait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59 Viewed
23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3)
열림/닫힘 버튼[other] 金正喜 / 阮堂全集 /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
[other] 兪彦鎬 / 燕石 /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
[other] 兪漢雋 / 自著 /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
[other] 李尙迪 / 恩誦堂集 /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
[other] 丁範祖 / 海左集 /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
[other] 趙觀彬 / 悔軒集 /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
[book] 가와이 코오조오 / 2002 / 중국의 자전문학 / 소명출판 : 1~319
[journal] 강관식 / 2001 / 조선시대 초상화의 圖像과 心像 : 조선 중후기 선비 초상화의 修己的 의미를 통해서 본 再現的 圖像의 實存的 의미와 기능에 대한 성찰 / 미술사학 / 한국미술사교육학회 15 : 7~55
[journal]
고연희
/ 2012
/
The Tradition of Interaction between Poetry and Painting & Today’s Education of Literature-Related to the Functions of “Graphic Image,” Xing 形-
/ 문학교육학
/ 한국문학교육학회
(37)
: 33~62
/ http://dx.doi.org/
[journal]
고연희
/ 2018
/
Application of Paintings to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
/ 고전문학연구
/ 한국고전문학회
(53)
: 99~127
[book] 고연희 / 2015 / 화상찬으로 읽는 사대부의 초상화 /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: 1~153
[thesis] 김기완 / 2009 / 조선후기 사대부 초상화찬 연구 / 석사 / 연세대학교 대학원
[journal]
김기완
/ 2012
/
노론의 학통적 맥락에서 본 송시열 초상화찬
/ 열상고전연구
/ 열상고전연구회
(35)
: 293~332
/ 10.15859/yscs..35.201206.293
[book] 김기완 / 2013 / 한국학, 그림을 그리다 / 태학사 : 321~335
[journal]
김기완
/ 2018
/
The visual self-representation of thewriter of exile in the early 20th century-portrait, photographic portrait, self‐praise on portrait-
/ 한국한문학연구
/ 한국한문학회
(69)
: 257~290
/ 10.30527/klcc..69.201803.008
[journal]
김기완
/ 2019
/
Self-otherize and set phrases in the traditional Korean portrait panegyrics
/ 민족문화연구
/ 민족문화연구원
(82)
: 91~116
/ 10.17948/kcs.2019..82.91
[journal]
김기완
/ 2020
/
Portrait of Diaspora in the Era of National Crisis: An experience including national decay · exile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and a change of portrait panegyrics
/ 韓國古典硏究
/ 한국고전연구학회
(49)
: 33~75
[journal]
김기완
/ 2020
/
A study on portrait panegyrics and related poetry of Chusa school
/ 열상고전연구
/ 열상고전연구회
(72)
: 247~289
[journal]
김기완
/ 2021
/
A study on portrait panegyrics and related poetry of Chusa school (2) -Focusing on the description of appearance and the View on portrait
/ 韓國古典硏究
/ 한국고전연구학회
(52)
: 35~74
[journal] 김동준 / 2006 / 이불과 베개에 새긴 잠언-침명(枕銘)과 금명(衾銘) / 문헌과 해석 / 태학사 35 : 11~26
[journal] 김울림 / 2004 / 옹방강의 금석고증학과 소동파상 / 미술사논단 / 한국미술연구소 18 : 89~113
[thesis] 김울림 / 2018 / 18 · 19세기 동아시아의 소동파상 연구: 청조 고증학과 관련을 중심으로 / 박사 / 홍익대학교
[book] 김종철 / 2003 / 한문 운문문체의 이해와 분석 / 청문각 : 1~251
[journal]
김현권
/ 2006
/
The Acceptance and Creation of the Sage's Image by Chusa Kim Jeonghee's School
/ 강좌미술사
/ 한국불교미술사학회
(26)
: 1045~1077
[journal]
김현주
/ 2018
/
The significance and way of artistic education for Korean classical literature
/ 고전문학연구
/ 한국고전문학회
(53)
: 5~26
/ http://dx.doi.org/10.17838/korcla.2018..53.5
[journal]
모문방
/ 2015
/
Kim Jung Hee and Yanqing receive friends laying friendship give a picture.
/ 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
/ 근역한문학회
42
: 9~40
/ 10.17260/jklc.2015.42.42.9
[journal]
박진성
/ 2021
/
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(自傳文學) term
/ 韓國古典硏究
/ 한국고전연구학회
(52)
: 75~106
[book] 박철상 / 2014 / 서재에 살다 / 문학동네 : 1~318
[book] 신대현 / 2006 / 진영과 찬문: 참 아닌 참의 세계 / 혜안 : 1~313
[book] 심경호 / 2010 / 나는 어떤 사람인가 / 이가서 : 1~663
[journal]
심경호
/ 2015
/
Portraits and panegyrics(贊) in Chosŏn Period
/ 국문학연구
/ 국문학회
(31)
: 71~109
[journal]
양승민
/ 2013
/
A Study on the Process of Revised-Copying the Portraits of Maewoldang Kim Si-seup and Its Meanings
/ 열상고전연구
/ 열상고전연구회
(38)
: 416~455
/ 10.15859/yscs..38.201312.416
[book] 유광수 / 2013 / 비판적 읽기와 소통의 글쓰기 / 박이정 : 1~241
[journal]
이경화
/ 2017
/
A Recluse Wearing an Official’s Hat: Kang Sehwang’s Self-Perception Expressed in His Self-Portrait at the Age of 70
/ 미술사와 시각문화
/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
(20)
: 68~99
/ 10.22835/ahvc.2017..20.003
[confproc] 이송희 / 2021 / 그림과 시를 활용한 자화상쓰기: 전남대 〈성찰과 소통을 위한 글쓰기〉 사례를 중심으로 / 국제어문학회 제96차 정기 학술대회(주제: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인문학) 발표자료집 : 158~173
[book] 이혜순 / 1980 / 비교문학 Ⅱ: 논문선 / 중앙출판 : 1~281
[book] 이혜순 / 1981 / 비교문학 Ⅰ: 이론과 방법 / 중앙출판 : 1~367
[journal]
임준철
/ 2009
/
Self-eulogy to Portrait:Its Ways of Writing and Characteristics of Self-figuration
/ 고전문학연구
/ 한국고전문학회
(36)
: 259~300
/ 10.17838/korcla.2009..36.009
[book] 임준철 / 2013 / 전형과 변주 / 글항아리 : 159~200
[book] 조선미 / 1983 / 한국의 초상화 / 열화당 : 1~501
[book] 조선미 / 2007 / 초상화 연구 / 문예출판사
[journal] 진준현 / 2007 / 선비의 초상화 (Ⅰ) / 자연과 문명의 조화(구 대한토목학회지) / 대한토목학회 55(9) : 79~83
[journal] 진준현 / 2007 / 선비의 초상화 (Ⅱ) / 자연과 문명의 조화(구 대한토목학회지) / 대한토목학회 55(11) : 103~107
[confproc] 진준현 / 2007 / 19-20세기 사대부 초상화 / 다시보는 우리 초상의 세계: 조선시대 초상화 학술논문집 / 국립문화재연구소
[book] 하승현 / 2015 / 잠, 마음에 놓는 침: 고전작품선집 / 한국고전번역원 : 1~287
[journal]
최재목
/ 2008
/
A Strategic Target by Yangming’s Portraits in Modern Korea and Japan
/ 양명학
/ 한국양명학회
(21)
: 233~260
/ 10.17088/tksyms.2008..21.009
[journal]
황혜진
/ 2012
/
The Tradition and Educational Innovation of 'Writing after Viewing'-Focused on the MaSangChungAengDo(馬上聽鶯圖)-
/ 고전문학과 교육
/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
(23)
: 125~150
/ 10.17319/cle.2012..23.12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