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2021 KCI Impact Factor : 0.89
The Korean Modern Poetry and Islands - Focusing on the Spatial Recognition and Meaning -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230 Viewed
57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1)
열림/닫힘 버튼[book] 가스통 바슐라르 / 1986 / 물과 꿈 / 문예출판사
[book] 가스통 바슐라르 / 1990 / 공간의 시학 / 민음사
[confproc] 강봉룡 / 2012 / ‘도서해양’에 대한 인식의 굴곡과 변천 / 제3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 자료집 /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1
[book] 고진하 / 1990 / 지금 남은 자들의 골짜기엔 / 민음사
[book] 구모룡 / 2004 / 해양문학이란 무엇인가 / 전망
[book] 김기태 / 2008 / 세계바다와 해양생물 / 채륜
[book] 김선태 / 2014 / 그늘의 깊이 / 문학동네
[book] 김명수 / 1996 / 내 마음의 바다·1 / 엔터
[book] 김영원 / 2006 / 항해와 표류의 역사 / 솔출판사
[confproc] 남진숙 / 2012 / 한국 현대 ‘해양생태시’의 특징 및 의의 / 제3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자료집 /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4
[journal]
남진숙
/ 2013
/
The space and meaning of island in the Korean modern poetry
/ 『도서문화』
/ 도서문화연구원
(42)
: 181~203
[book] 노드롭 프라이 / 1971 / 신화문학론 / 을유문화사
[book] 문충성 / 1978 / 제주바다 / 문학과지성사
[book] 박수현 / 2006 / 재미있는 바다생물 이야기 / 추수밭
[book] 에드워드 렐프 / 1996 / 장소와 장소 상실 / 논형
[book] 오세영 / 2010 / 내가 사랑하는 섬 / 굿글로벌
[book] 윤명철 / 2003 / 한국해양사 / 학연문화사
[book] 윤치부 / 1994 / 한국 해양문학 연구 / 학문사
[journal] 이경수 / 2013 / 두 개의 시선, 섬의 이중성-90년대 이후의 섬의 시 / 여수작가 / 여수민예총문학위원회 (창간)
[book] 이동근 / 2003 / 역사와 해양의식 / 한국해양수산개발원
[book] 이생진 / 1995 / 먼 섬에 가고 싶다 / 평단문화사
[book] 이재무 / 1997 / 시간의 그물 / 문학동네
[book] 구동회 / 1995 / 공간과 장소 / 대윤
[book] 장 그르니에 / 2008 / 섬 / 민음사
[book] 정현종 / 1997 / 사람과 사람 사이에 섬이 있다 / 미래사
[confproc] 조규익 / 2012 / 해양시가의 관습성 / 제3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자료집 /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4
[book] 조태일 / 1983 / 가거도 / 창작과비평사
[book] 주경철 / 2009 / 문명과 바다 / 산처럼
[book] 최영호 / 1995 / 한국해양문학선집 / 한국경제신문사
[book] 함민복 / 2005 / 말랑말랑한 힘 / 문학세계사
[book] 황을문 / 2001 / 해양문학소요 / 전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