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2022 KCI Impact Factor : 0.48
A Study of Placesness in Arirang written by Jo Jeong-Rae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340 Viewed
1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3)
열림/닫힘 버튼[book] 조정래 / 2002 / 아리랑 전12권 / 해냄
[journal]
강찬모
/ 2009
/
A Study on Korean-race Diaspora Demonstrated in 『Arirang』, Epic Novel by Jo, Jung-rae -Focusing on the Diaspora of Korean Emigrants to US-
/ 비평문학
/ 한국비평문학회
(33)
: 1~24
[book] 권희영 / 2001 / 우즈베키스탄 한인의 정체성 연구 / 한국정신문화연구원 : 21~66
[book] 김균태 / 2015 /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이주와 삶 / 글누림
[book] 김민영 / 2005 / 철도, 지역의 근대성 수용과 사회경제적 변용―군산선과 장항선 / 선인
[book] 김영필 / 2013 /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만주아리랑 / 소명
[journal] 김창식 / 1996 / 민족사의 복원과 민족혼의 부활을 위하여―조정래의『아리랑』 / 오늘의 문예비평 / 오늘의 문예비평 : 303~323
[book] 김호경 / 2010 / 일제 강제동원, 그 알려지지 않은 역사 / 돌베개
[book] 마이클 김 / 2009 / 기억과 전쟁―미화와 추모 사이에서 / 휴머니스트 : 323~344
[book] 문재원 / 2010 /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 / 혜안 : 21~51
[journal] 왕은철 / 2000 / 식민지 시대의 지식인상을 통해서 본 민족주의―조정래의『아리랑』론 / 비평문학 / 한국비평문학회 (14) : 232~249
[journal]
우수영
/ 2014
/
A Study on the Sympathy Solidarity in Jo Jeong-rae's 『Arirang』
/ 현대문학이론연구
/ 현대문학이론학회
(59)
: 183~203
[journal]
윤영옥
/ 2011
/
A Research of The Image of Peasants and the nation in Modern Korean Peasants fictions -with a focus on the web of social connections at Tuman River and Arirang-
/ 국어국문학
/ 국어국문학회
(159)
: 295~328
[book] 이덕희 / 2003 / 하와이 이민 100년―그들은 어떻게 살았나? / 중앙 M&M
[book] 이상근 / 2010 / 러시아·중앙아시아 이주한인의 역사 / 국학자료원
[book] 이-푸 투안 / 1995 / 공간과 장소 / 대윤
[book] 장석주 / 2006 / 장소의 탄생 / 작가정신
[book] 장영우 / 조정래 / 글누림 : 297~324
[journal]
전영의
/ 2011
/
Orientalism and Diaspora of Arirang
/ 현대소설연구
/ 한국현대소설학회
(46)
: 187~224
[journal] 정종진 / 2005 / 조정래의『아리랑』,『태백산맥』에 나타난 사서인(士庶人) 정신연구 / 비평문학 / 한국비평문학회 (20) : 263~284
[book] 조남현 / 2010 / 조정래 / 글누림 : 279~296
[book] 조정래 / 2003 / 누구나 홀로 선 나무 / 문학동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