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2021 KCI Impact Factor : 0.89
The Symbiosis and Problem of ‘Three Jang Six Gu’ and the ‘First Gu of Jongjang’ in Sijo —Investigating the Form and the Meter of Sijo—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383 Viewed
1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2)
열림/닫힘 버튼[journal]
고정희
/ 2012
/
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Meter in Korean Classical Poetry
/ 국어교육연구
/ 국어교육연구소
(29)
: 415~447
/ 10.17313/jkorle.2012..29.415
[book] 고창옥 / 1948 / 國語國文學要綱 / 대학출판사
[book] 구자균 / 1957 / 국문학개론 / 일성당서점
[book] 김대행 / 2015 / 한국문학강의 / 길벗
[book] 김대행 / 1986 / 시조유형론 / 이화여대출판부
[book] 김대행 / 1989 / 우리詩의 틀 / 문학과비평사
[book] 김동준 / 1996 / 韓國詩歌의 原型理論 / 진명출판사
[journal]
김성룡
/ 2002
/
On the Poetics of Parallelism in the Medieval poetry in Chinese character
/ 문학교육학
/ 한국문학교육학회
9
: 101~126
[book] 김학성 / 1997 / 한국 고시가의 거시적 탐구 / 집문당
[journal]
金學成
/ 2002
/
The Formal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a-seol-si-jo
/ 어문연구(語文硏究)
/ 한국어문교육연구회
30(4)
: 77~96
[journal]
김혜숙
/ 2011
/
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Stream of Sentiment in a Sijopoem and the Structure of the Kagok
/ 고전문학연구
/ 한국고전문학회
(39)
: 5~38
/ 10.17838/korcla.2011..39.001
[book] 김흥규 / 1984 / 운율 / 문학과지성사
[journal]
류수열
/ 2018
/
The Distance Between the Discourse of Academy and Education About the Rhythm of Sijo -Can The Rhythm ofThe Distance Between the Discourse of Academy and Education About the Rhythm of Sijo -Can The Rhythm of Sijo Be Explained on The Base of Foot?- Sijo Be Explained on The Base of Foot?-
/ 시조학논총
/ 한국시조학회
(48)
: 7~30
[journal]
박연호
/ 2016
/
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jo lyricsand the Kagok - Chang Melody
/ 문학교육학
/ 한국문학교육학회
(50)
: 9~32
[journal] 박철희 / 2009 / 시조, 무엇이 문제인가 / 시와 수필 마당 / 청어출판사 (6)
[book] 박해남 / 2003 / 고전시가 엮어읽기(하) / 태학사
[book] 성기옥 / 1986 / 한국시가 율격의 이론 / 새문사
[book] 성기옥 / 2006 / 고전시가론 /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
[book] 성호경 / 1995 / 한국시가의 유형과 양식 연구 / 영남대학교 출판부
[other] 안확 / 1930 / 時調의 淵源 二 / 동아일보
[other] 이광수 / 1928 / 時調의 自然律 五 / 동아일보
[book] 이동철 / 1993 / 고전문학의 이해 / 우리문학사
[other] 이병기 / 1926 / 시조란 무엇인고 三 / 동아일보
[other] 이병기 / 1926 / 시조란 무엇인고 四 / 동아일보
[other] 이병기 / 1926 / 시조란 무엇인고 七 / 동아일보
[other] 이병기 / 1928 / 律格과 時調 二 / 동아일보
[other] 이병기 / 1928 / 律格과 時調 三 / 동아일보
[book] 이병기 / 1961 / 국문학개론 / 동아출판사
[book] 이병기 / 1957 / 시조의 개설과 창작 / 현대출판사
[book] 이병기 / 1957 / 國文學全史 / 신구문화사
[other] 이은상 / 1928 / 時調短型芻議 一 / 동아일보
[other] 이은상 / 1932 / 時調創作問題 五 / 동아일보
[book] 이정자 / 2004 / 시와 시조 창작론 / 국학자료원
[book] 이종출 / 1985 / 국문학개론 / 정화출판문화사
[book] 이창식 / 2013 / 고전시가강의 / 역락
[book] 이태극 / 1959 / 時調 槪論 / 새글사
[journal] 이태극 / 1967 / 時調의 章句攷 / 韓國文化硏究院 論叢 /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
[journal] 이희승 / 1933 / 시조기원에 대한 일고 / 學燈 2
[journal] 이희승 / 1959 / 시조와 신시의 한계 / 자유문학 4(11)
[journal]
정소연
/ 2012
/
The Manners of Emotion Expression in Sijo of Orality and Direction of Sijo Education
/ 고전문학과 교육
/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
(24)
: 97~124
/ 10.17319/cle.2012..24.97
[book] 조동일 / 1982 / 한국시가의 전통과 율격 / 한길사
[book] 조동일 / 1996 / 한국민요의 전통과 시가율격 / 지식산업사
[journal] 조윤제 / 1930 / 時調字數考 / 新興 4
[book] 조윤제 / 1948 / 한국시가의 연구 / 을유문화사
[book] 조윤제 / 1968 / 한국문학사 / 탐구당
[book] 조태흠 / 1997 / 고시조연구 / 태학사
[journal] 최남구 / 1940 / 時調唱法小考 / 朝光
[book] 최동국 / 2003 / 국문학개론
[journal]
최홍원
/ 2016
/
Sijo, We were Sure Aboutbut We didn’t Know About - discovering errors and misconceptions in the discourses of Sijo -
/ 문학교육학
/ 한국문학교육학회
(51)
: 235~264
[journal] 허영호 / 1927 / 時調復興에 對한 管見 / 新民 24
[book] 홍재휴 / 1977 / 시조론 / 일조각
[thesis] 洪貞子 / 1984 / 辭說時調의 半句構造 硏究 : 時調와 辭說時調의 關聯樣相을 통하여 / 석사 / 서강대학교 대학원
[book] 劉若愚 / 1976 / 중국시학 / 범학도서
[book] 劉勰 / 1994 / 문심조룡 / 민음사
[book] 시나다 요시카즈 / 2002 / 창조된 고전 / 소명출판
[book] Reboul Olivier / 2003 / 수사학 / 한길사
[book] Pillsbury W. B. / 1973 / Attention / Arno Pres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