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2021 KCI Impact Factor : 0.89
How Literature Education Called Digital Literacy?
ABSTRACT
열림/닫힘 버튼KEYWORDS
열림/닫힘 버튼269 Viewed
0 Downloaded
KCI Citation Counts (7)
열림/닫힘 버튼[other] 교육부 / 1997 /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서
[other] 교육부 / 1997 / 국어과 교육과정 / 교육부 고시 제 1997-15호 「별책 5」
[other] 교육인적자원부 / 2007 / 국어과 교육과정 /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-79호
[other] 교육과학기술부 / 2012 / 국어과 교육과정 /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-14호
[other] 교육부 / 2015 / 국어과 교육과정
[book] 김대행 / 2000 / 문학교육원론 / 서울대출판부
[journal]
강연호
/ 2012
/
A study of Literature and it’s Status in the Digital Media Age
/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
/ 인문학연구소
13(2)
: 79~96
[journal]
고정희
/ 2015
/
Empathy Education through Creative Integration of Literature and Pictures - Focusing on ‘NT Live: King Lear’ -
/ 문학치료연구
/ 한국문학치료학회
35
: 71~108
[journal] 권성호 / 2011 / 소셜 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재개념화: Jenkins의 컨버전스와 참여문화를 중심으로 / 미디어와 교육 / 한국교육방송공사 1(1)
[journal] 김대행 / 1998 / 매체언어 교육론 서설 / 국어교육 / 한국국어교육연구회 97
[journal]
김신정
/ 2008
/
Multicultural Environment and Literary Competence
/ 문학교육학
/ 한국문학교육학회
(26)
: 37~61
[book] 김아미 / 2015 /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/ 커뮤니케이션북스
[journal]
김종윤
/ 2016
/
Correlational Analyses between the Constructs of Affective Instruments for the Investigation of Affective Features of Digital Literacy
/ 새국어교육
/ 한국국어교육학회
(107)
: 37~65
/ 10.15734/koed..107.201606.37
[journal] 김치수 / 2000 / 문화의 시대와 한국문학 / 21세기문학 (여름)
[book] 류수열 / 2018 / 고등학교 문학 / 금성출판사
[journal]
류수열
/ 2015
/
Design of The Way to Teaching-Learning Classical Literature for Creative Cultural Generation - Concentring on the Parody of Korean Classic Literary Works -
/ 국어교육연구
/ 국어교육학회(since1969)
(58)
: 281~308
/ 10.17247/jklle.2015..58.281
[book] 류수열 / 2001 / 판소리와 매체언어의 국어교과학 / 역락
[journal]
서영인
/ 2014
/
Changes of Literary Environment in the Digital Age and the Formation of Online Literary Field
/ 한민족문화연구
/ 한민족문화학회
46(46)
: 259~286
/ 10.17329/kcbook.2014.46.46.009
[confproc] 손현화 / 2015 / ‘스크롤’의 미디어, 웹툰의 스토리텔링 특성 연구–출판 만화, 영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/ 아시아디지털아트앤디자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/ 아시아디지털아트앤디자인학회 2015(10)
[journal]
송여주
/ 2013
/
A Study For Constructing the Teaching Materials of Literature on Multimodality
/ 새국어교육
/ 한국국어교육학회
(96)
: 433~455
/ 10.15734/koed..96.201309.433
[journal]
엄해영
/ 2013
/
The Critical Study on the Taking Aspect of Media Language in Literature Education for Elementary Education
/ 새국어교육
/ 한국국어교육학회
(94)
: 225~248
/ 10.15734/koed..94.201303.225
[journal]
옥현진
/ 2018
/
Reflecting and Prospecting Current and Future Reading Space
/ 독서연구
/ 한국독서학회
(47)
: 69~94
/ http://dx.doi.org/10.17095/JRR.2018.47.3
[journal]
옥현진
/ 2018
/
Developing digital literacy achievement standards for middle school students
/ 국어교육연구
/ 국어교육연구소
(41)
: 81~112
/ 10.17313/jkorle.2018..41.81
[journal] 이용욱 / 2000 / 가상 공간의 문학적 가능성에 대한 시론: 기술형 문학 형식을 중심으로 /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/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9
[journal] 이용욱 / 1996 / 사이버 문학의 정체성에 대한 시론 / 외국문학 / 열음사 49
[report] 임학순 / 2010 / 디지털 미디어 발전에 따른 문화예술 환경 분석 및 정책적 대응 방안 연구 / 한국문화관광연구원
[book] 전경란 / 2015 / 미디어 리터러시의 이해 / 커뮤니케이션북스
[journal]
정현선
/ 2014
/
The meanings and methods of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
/ 우리말교육현장연구
/ 우리말교육현장학회
8(2)
: 61~93
[journal]
정현선
/ 2004
/
Conceptualising Digital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
/ 국어교육학연구
/ 국어교육학회
(21)
: 5~42
[journal]
정혜승
/ 2008
/
Changes of Literacy and Model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a Semiotics Perspective
/ 교육과정연구
/ 한국교육과정학회
26(4)
: 149~172
/ 10.15708/kscs.26.4.200812.007007
[journal]
조용훈
/ 2016
/
Literature Education and the Increase of the Aesthetic Sensitivity - Focus on the‘the Wind’ Motif -
/ 문학교육학
/ 한국문학교육학회
(52)
: 337~371
[journal] 최성민 / 2013 / 뉴미디어 시대의 새로운 서사 양상과 미디어 리터러시 / 한국어와문화 /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13
[journal]
황혜진
/ 2016
/
Adaptation of Ko woo-young’s Nolbudyeon and Reception Culture in Heungbu and Nolbu
/ 고전문학과 교육
/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
(33)
: 5~44
/ 10.17319/cle.2016..33.5
[book] 커넌 A. / 1999 / 문학의 죽음 / 문학동네
[book] 맥루언 M. / 2002 / 미디어의 이해 / 민음사
[book] 벤야민 W. / 2003 / 발터 벤야민의 문예 이론 / 민음사
[book] 옹 W. / 2000 /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/ 문예
[book] Hague, C. / 2010 / Digital literacy across the curriculum / Futurelab
[book] Straubhaar J. D. / 2009 / Media Now:Understanding media, culture, and technology / wadsworth