On the prefinal morph '-ni-' in Middle Korean
[book] 고영근 / 1981 / 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 / 탑출판사
[journal] 김영욱 / 1989 / 중세국어 원칙법 ‘-니-’와 둘째설명법 어미 ‘-니라’의 설정에 따른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/ 관악어문연구 /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4 : 27~36
[thesis] 김완진 / 1957 / -n, -l 동명사의 통사론적 기능과 발달에 대하여 / 석사 / 서울대학교
[book] 나진석 / 1971 / 우리말의 때매김 연구 / 과학사
[thesis] 문병열 / 2007 / 한국어의 보문 구성 양태 표현에 대한 연구 / 석사 / 서울대학교 대학원
[book] 박재연 / 2006 /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/ 태학사
[confproc] 박진호 / 2013 / 日本語の「ノダ」 文と韓国語の「-은 것이다」 構文をめぐって / 일본 도쿄대학 Korea 콜로키움 발표자료집
[journal] 심재기 / 1979 / 관형화의 의미 기능 / 어학연구 / 서울대 어학연구소 15 (2)
[book] 양주동 / 1965 / 증정 고가연구 / 일조각
[book] 임홍빈 / 1982 / 백영 정병욱 선생 환갑기념 논총 / 신구문화사
[book] 유창돈 / 1964 / 이조국어사연구 / 이우출판사
[book] 이기문 / 1998 / 개정 국어사 개설 / 탑출판사
[journal] 이남덕 / 1967 / 15세기 국어의 직설법 종결어미 변화에 대하여 /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/ 이화여자대학교 11 : 11~32
[book] 이숭녕 / 1981 / 중세국어문법 / 을유문화사
[journal]
이유기
/ 2013
/
The Function of Prefinal Morpheme ‘-ni-’
/ 국어사연구
/ 국어사학회
(16)
: 173~204
[book] 이인모 / 1976 / 고전국어의 연구(증보개정판) / 선명문화사
[book] 이현희 / 1994 / 중세국어 구문연구 / 신구문화사
[journal] 임동훈 / 1995 / 통사론과 통사 단위 / 어학연구 / 서울대 어학연구소 31 (1) : 87~138
[book] 장윤희 / 2002 / 중세국어 종결어미 연구 / 태학사
[book] 허웅 / 1975 / 우리 옛말본 / 샘문화사
[journal]
홍종선
/ 2008
/
The System of Tense Morphemes and Their Function Changing in Korean
/ 한글
/ 한글학회
(282)
: 97~123
[other] Ramstedt, G. J / 1939 / A Korean Grammar, Mėmories de la Sociėtė Finnoougrienne 57/역대문법대계 2부 5책 재수록